• 제목/요약/키워드: stage II and IIIA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Long-term Survival Outcomes of Laparoscopic Gastrectom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Five-year Results of a Phase II Prospective Clinical Trial

  • Ahn, Sang-Hoon;Kang, So Hyun;Lee, Yoontaek;Min, Sa-Hong;Park, Young Suk;Park, Do Joong;Kim, Hyung-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1호
    • /
    • pp.102-110
    • /
    • 2019
  • Purpose: Despite an increased acceptance of laparoscopic gastrectomy (LG) in early gastric cancer (EGC),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for its oncological safet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GC). This is a prospective phase II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LG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LND) in AGC. Materials and Methods: The primary endpoint was set as 3-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The eligibility criteria were as follows: 20-80 years of age, cT2N0-cT4aN3,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 of 3 or less, and no other malignancy.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ingle-arm study between November 2008 and May 2012. Exclusion criteria included cT4b or M1, or having final pathologic results as EGC. All patients underwent D2 lymphadenectomy. Three-year DFS rates were estim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A total of 157 patients were enrolled. The overall local complication rate was 10.2%. Conversion to open surgery occurred in 11 patients (7.0%).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5.0{\pm}20.4months$ (1-81 months). The cumulative 3-year DFS rates were 76.3% for all stages, and 100%, 89.3%, 100%, 88.0%, 71.4%, and 35.3% for stage IB, IIA, IIB, IIIA, IIIB, and IIIC, respectively. Recurrence was observed in 37 patients (23.6%), including hematogenous (n=6), peritoneal (n=13), locoregional (n=1), distant node (n=8), and mixed recurrence (n=9). Conclusions: In addition to being technically feasible for treatment of AGC in terms of morbidity, LG with D2 LND for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showed acceptable 3-year DFS outcomes.

Prognostic Value of Peritoneal Washing Cytology in Gynecologic Malignancies: a Controversial Issue

  • Binesh, Fariba;Akhavan, Ali;Behniafard, Nasim;Zabihi, Somayeh;Hosseinizadeh, Elhamsad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405-9410
    • /
    • 2014
  •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peritoneal washing cytolog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86 individuals with ovarian carcinomas, ovarian borderline tumors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s. The patients had been treated at Shahid Sadoughi Hospital and Ramazanzadeh Radiotherapy Center, Yazd, Iran between 2004 and 2012. Survival differences were determined by Kaplan-Mei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x regression method. A p<0.05 value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 were 36 patients with ovarian carcinomas, 4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s and 46 with endometrial carcinoma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3.8{\pm}15.2years$. In patients with ovarian carcinoma the overall survival in the negative cytology group was better than the patients with positive cytology although this difference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p=0.30). At 0 to 50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better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negative cytology than the patients with positive cytology but then it decreased (p=0.85). At 15 to 60 months patients with FIGO 2009 stage IA-II endometrial andocarcinoma and negative peritoneal cytology had a superior survival rate compared to 1988 IIIA and positive cytology only, although this difference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p=0.94).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showed that stage and peritoneal cytology were predictors of death. Conclusions: Our results show good correlation of peritoneal cytology with prognosis in patients with ovarian carcinoma. In endometrial carcinoma it had prognostic importance. Additional research is warranted.

Scree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mong Various TNM Stages of Lung Adenocarcinoma by Genomewide Gene Expression Profile Analysis

  • Liu, Ming;Pan, Hong;Zhang, Feng;Zhang, Yong-Biao;Zhang, Yang;Xia, Han;Zhu, Jing;Fu, Wei-Ling;Zhang, Xiao-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81-6286
    • /
    • 2013
  • Backgrou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molecular basis of lung cancer development, we utilize a microarray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ssociated with various TNM stages of adenocarcinoma, a subtype with increasing incidence in recent years in China. Methods: A 35K oligo gene array, covering about 25,100 genes, was used to screen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mong 90 tumor samples of lung adenocarcinoma in various TNM stages. To verify the gene array data, three genes (Zimp7, GINS2 and NAG-1) were confirmed by real-time RT-PCR in a different set of samples from the gene array. Results: First, we obtained 64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lung adenocarcinomas compared to the surrounding normal lung tissues. Then, from the 640 candidates we identified 1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mong different TNM stages (Stage I, II and IIIA), of which Zimp7, GINS2 and NAG-1 genes were first reported to be present at a high level in lung adenocarcinoma. The results of qRT-PCR for the three gen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the gene array. Conclusions: We identified 10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different TNM stages in lung adenocarcinoma in the Chinese population, which should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olecular basis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lung adenocarcinoma and may offer new targets for the diagnosis, therapy and prognosis prediction.

진행 위암에서의 위 전절제술에 동반된 원위부 췌-비장 절제 (Total Gastrectomy with Distal Pancreatico-splenectomy for Treating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 이성호;김욱;송교영;김진조;진형민;박조현;전해명;박승만;안창준;이준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2호
    • /
    • pp.74-81
    • /
    • 2007
  • 목적: 위암이 국소적으로 진행하여 췌장과 비장으로 직접 침윤이 발생되었을 췌-비장 절제를 시행하는 것에는 반대 의견이 없지만, 췌-비장의 보존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비장혈관이나 비문부 림프절의 완전 절제를 위해서 췌-비장 절제가 시행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저자들은 위 중-상부의 진행암으로 위 전절제술과 함께 원위부 췌-비장 절제가 시행되었던 환자들의 수술 결과 분석을 통하여 불필요한 합병절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 전절제술과 동반되어 원위부 췌-비장 절제가 시행된 118명의 환자 중, 병리 조직학적으로 암의 췌장 침윤이 없었던 90예(I군)와 침윤이 확인된 28예(II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이환율과 사망률 및 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118예 중 췌장 침윤이 확인된 pT4는 28예(23.7%)였고, 침윤이 없었던 pT3과 pT2가 각각 65예(55.1%) 와 20예(16.9%)였으며, pT1도 5예(4.3%)였다. 병기는 28예의 pT4 중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어 IV기인 경우가 25예(89.3%)였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IIIa기는 3예(10.7%)에 불과하였다. 또한 I군은 la (pT1N0)기 4예, Ib (pT2N0)기 7예였고, II기는 pT2N1 8예, pT3N0 12예, pT1N2 1예였으며, III기는 IIIa 15예, IIIb 17예, IV기는 26예였다.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중 병기, 절제연 및 근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단변량 분석에서는 병기, 위벽 침윤, 췌장 침윤, 림프절전이, 비장혈관과 비문부 림프절 전이, 전이 림프절 비율, 근치도, 간 및 복막 전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중 병기와 전이 림프절 비율 및 근치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5년 생존율은 I군이 36.2%, II군이 13.9%였고, 술 후 합병증으로 췌장 루 6예(5.1%), 복강 내 농양 5예(4.2%), 출혈 5예(4.2%)로 수술로 인한 전체 이환율은 22.1%였으며, 사망률은 6.8% (8예)였다. 결론: 진행성 상부 위암으로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할 때 원위부 췌-비장 절제는 이환율이 비교적 높은 술식이기 때문에 간이나 복막전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암의 병기가 높고, 절제연이 불충분하며,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PDF

다형성 암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leomorphic Carcinoma)

  • 이덕헌;박훈;박창권;권건영;박남희;최세영;이광숙;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397-403
    • /
    • 2003
  • 폐의 다형성 암종은 일반적으로 드문 폐암종의 아형으로 알려져 있다. 1999년 WHO 폐암분류의 기준을 적용하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진단된 42예의 다형성 암종에 대한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폐암으로 폐 절제술을 시행한 256예 중, 광학현미경적 재검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다형성 암종으로 진단한 42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42예 중 남자는 31예, 여자는 11예였고, 나이는 26세부터 77세까지였다. 임상증상은 기침, 객혈, 객담이 주로 나타났으며, 진단 시 병기는 Ia 3예, (7%), Ib 16예(38%), IIa 1예 (2%), IIb 8예(19%), IIIa 15예(35%), IIIb 1예(2%)였고, 이 중 림프절 전이가 없는 N0 경우는 23예(54%), 림프절 전이가 있는 N1과 N2인 경우는 19예(46%)로 나타났다. 원격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총 19예로 뇌 5예(26%),뼈 4예(21%),근육 4예(21%), 림프절 2예(10%), 간, 난소, 편측 폐, 부신이 각 1예씩 발생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1 cm부터 11 cm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5.85 cm이었다. 42예의 환자에서 조사 기간 중 생존자는 11예(26%), 사망자는 31예(74%)이었다. Kaplan-Meier method에 의한 이들의 전체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26%와 13%로 조사대상 256예에서 다형성암종을 제외한 증례의 2년생존율 44%와 5년 생존율 34%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2). 나이와 종양의 크기, 병기 I과 병기 II 이상, N0 N1 이상의 생존율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후 원격전이가 발생한 증례는 모두 사망하였고 이들은 원격전이가 없는 증례에 비하여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2). 걸론: 1999년 WHO 폐암분류에 따른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적용할 경우 다형성 암종은 이전의 WHO 폐암분류에서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술 후 이들의 생존율은 다른 비소세포암종의 유형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 성적 (Clinical Experience of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은경;이병용;강원철;노영주;정원규;안승도;김종훈;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65-274
    • /
    • 1998
  • 목적 :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의 임상적용 가능성과 기존의 치료법에 비한 장점을 찾고자 1994년부터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1) 가장 효과적인 3차원 입체조형 치료 방법의 개발, 2) 가능한 총 치료 선량증가, 3) 선량 증가에 따른 방사선 폐렴 발생 위험군 예측, 4) 선량증가에 따른 국소관해 및 생존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2월까지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된 95명의 환자(stage I: 4명, stage II; 1명, stage IIIa; 14명, stage IIIb; 76명)에 대하여 3차원 입체조형 치료를 시행하였다. 3차원입체조형 치료를 위하여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앙와위 혹은 복와위 상태로 자세를 고정한 다음 CT-simulator를 이용하여 5 mm간격으로 CT 영상을 얻고 GTV (Gross Tumor Volume), CTV (Clinical Target Volume), PTV(Planning Target Volume)를 정한 후 3차원 치료계획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웠다. 방사선 치료는 육안적 종양과 림프절을 포함하는 부위에 36-40 Gy를 AP-PA로 치료한 후 25-34 Gy의 3차원 입체조형 치료를 추가조사하여 총 65-70 Gy를 시행하였다. 이중 78명 (82.1$\%$)의 환자는 2회의 MVP (Mitomycin C, Vinblastine, Cisplatin) 복합항암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3차원 입체조형 치료 계획은 1) 표적 부위의 3차원 선량분포, 2) DVH (Dose Volume Histogram), 3) NTCP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를 이용하여 기존의 2차원 통상 치료 계획과 비교하였다. 결과 : 78명의 환자에서는 4-8 조사영역을 이용하는 비동일 평면 입체조형 치료 (Non-coplanar 3DCRT)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7명에서는 Coplanar segmented 3DCRT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거의 모든 환자에서 표적부위에 100$\%$의 선량 조사가 가능하였으며 심장에 대한 DVH 분석결과 좌폐하엽 부위 종양 치료시에는 특히 3차원 입체조형 치료가 심장 선량을 줄여줌을 알수 있었다. 3차원 입체조형 치료에 의한 동측폐의 NTCP 평균값은 0.26 (0.17-0.43)으로 2차원 통상 치료의 NTCP 평균값 0.38 (0.27-0.66)에 비하여 부작용이 생길 확률이 32$\%$ 줄어들었다. 치료 결과는 26$\%$(25/95)의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53$\%$ (50/95)에서는 부분관해를 보여 전체 79$\%$의 환자에서 부분관해 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1기와 2기 환자 5명을 제외한 3기 환자 90명의 1년과 2년 생존율은 62.6$\%$와 35.2$\%$로 같은 기간에 2차원 통상치료로 치료받은 환자의 1년과 2년 생존율 51.9$\%$와 26.8$\%$에 비하여 다소 증가 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치료후 19명 (Grade 1:8, Grade 2:11)의 환자에서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였으나 steroid 치료후 모두 호전되었으며 치료 후 발생하는 방사선 폐렴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는 동측폐에 대한 NTCP 값이었다 (35$\%$ vs 22$\%$). 결론 : 이상의 결과 폐암에 대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는 기존의 치료법에 비하여 부작용의 증가 없이 총 방사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되며 방사선 폐렴의 예측인자로는 동측폐에 대한 NTCP 값이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향후 NTCP 값에 따른 선량증가 연구와 이에 따른 생존율의 증가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II 병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 치료성적 (Local Control and Survival in Radiatio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송미희;양진영;오원용;유남수;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11-319
    • /
    • 1993
  • 본 국립의료원 치료 방사선과 에서는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5년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III병기 비소세포성 폐암 3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중 29예가 사망시 또는 1991년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치료후 추적 조사기간은 최소10개월, 최고60개월 이었고, 추적율은 $78.4\%$이었다. Kaplan-Meier법에 따른 전체 환자 37예의 2, 5년 생존율은 각각 $20.6\%,\;6.9\%$이었으며 중앙생존 기간은 10개월 이었다. Performance status에 의하면 KPS가 $80\%$ 이상인 I군의 2,5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29.2\%,\;9.7\%,$ 13개월 이었고, KPS가 $80\%$ 이하인 II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13.7\%$와 7개월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AJCC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 간을 보면 $III_a$ 병기의 2,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이 $29.2\%,9.7\%$및 12개월 이었고 $III_b$ 병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8.6\%$와 10개월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그외 조직 병리학적 유형별, 방사선 선량별, 방사선 반응군별, 항암화학요법 유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verall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은 $6.7\%$와 10개월 이었고 performance status 만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 방사선 치료선량, 방사선 반응유무와 항암화학요법 등의 예후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PDF

위암 환자의 담즙 CEA 농도와 장기 생존율 및 간전이와의 연관성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the Gallbladder Bile (b-CEA) of Gastric Carcinoma Patients with Long-term Follow up)

  • 백상현;김현구;강민수;신연명;최경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1호
    • /
    • pp.1-6
    • /
    • 2004
  • Purpose: Despite numorous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gall bladder bile and liver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no similar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gastric carcinomas. We, therefore, undertook the present stud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ll bladder bile CEA and liver metastasis as well as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 in gastric carcinoma patients with curative resections. Materials and Methods: In 373 gastric cancer patients (252 males, 121 females, age $21\∼76$ years) operated on at Kos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9 1996, the CEA concentration in the gall bladder bile was determine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value was related to the rates of post-operative survival and liver metastasis during follow-up period. Results: The overall rate of patient survival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e in TNM stage. The 13-year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for stages Ia, Ib, II, IIIa, and IIIb were $95.7\%,\;92.5\%,\;79.9\%,\;50.9\%,\;and\;43.3\$, respectively, and the 10-year survival rate for stage IV was $22.6\%$. The patients with a high ($\geq$10 ng/ml)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survival than those with a low (<10 ng/ml) biliary CEA. The 1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55.4\%$ for the high CEA group and $76.5\%$ for the low CEA group (P<0.01). Also, the patients with a high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11.5\%$) of liver metastasis than those with a low biliary CEA ($1.9\%$) (P<0.000). In patients with TNM stages (I and II), the CEA level did not affect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95.4\%\;and87.7\%$ in the high and low CEA groups, P>0.10), but in those with high TNM stages (III and IV),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CEA group ($25.9\%$) than in the low CEA group ($57.8\%$) (P<0.05).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gall bladder bile CEA level obtained in an advanced-staged gastric cancer operation may be used in predicting the post-operational survival rate and in sorting out patients with a high risk for cancer recurrence, especially in the liver area.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와 복합 항암화학요법의 동시치료 결과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A Phase I/II Prospective Study)

  • 강원철;최은경;정원규;김종훈;장혜숙;김용만;김영탁;남주현;목정은;이무송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11-323
    • /
    • 1998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와 5-FU, CDDP 복합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의한 종양관해율, 치료부작용, 예후인자, 실패양상과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향적 제 2상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울산대학교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와 산부인과에서 1992년 5월부터 1997년 1월까지 FIGO병기 IIB, III, IVA의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환자 73명중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2회의 FP 항암요법을 시행한 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병기에 의한 분포는 IIB 46명, IIIA 2명, IIIB 15명, IVA 5명이었고, 이들의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7세까지로 중앙값 58세이었다. 방사선치료시 외부조사는 전골반부에 4,140-5,040 cGy를 시행후 192Ir 고선량 근접치료기로 주 3회씩 6-7회의 강내조사를 시행하며 동시에 B점추가 조사를 시행하여 A점에 7,500-8,000 cGy, B점에 6,000-6,500 cGy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FP(5-FU; 1,000mg/$m^2$/24 hours, 4 days+CDDP; 20mg/$m^2$/3 hours, 3 days)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시작 제 1일과 제 29일에 각각 4일간 투여하도록 하였다. 치료효과는 치료종료시점과 치료후 1개월, 3개월에 시행한 부인과 검사와 MRI로 판정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추적기간은 4개월에서 68개월 (중앙값 24개월)이었다. 생존율을 분석한 환자 64명의 5년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52$\%$와 64$\%$였으며, FIGO병기 IIB인 환자의 5년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58$\%$, 71$\%$이었고, FIGO병기 III와 IVA인 환자는 각각 36$\%$, 46$\%$이었다. 재발양상은 전체 재발율이 27.9$\%$ (19/68)로, 국소재발이 5.9$\%$ (4/68), 원격전이가 10.3$\%$(7/68),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같이 있는 경우가 11.8$\%$ (8/68)로 나타났다. 치료종료 한달 후 치료 효과를 판정할 수 있었던 64명중 78$\%$ (50/64)가 완전관해를 보였다. 예후인자는 단변량분석시 5년생존율에 FIGO병기, 치료반응율, 골반내와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유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고, 다변량분석시 치료반응율과 치료중 혈색소 농도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나타났다. 치료에 따른 독성은 10$\%$내외로 치료후 대부분 자연 회복되었으나, 2차 항암약물투여중 폐부종이 발생한 1명과 치료종료후 8개월에 만성합병증인 장천공이 발생한 1명은 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와 복합항암요법의 동시치료는 수용 가능한 독성을 보였고, 진행된 경우 생존율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좀 더 장기적인 추적관찰후 여러 예후인자들을 고려하여 초기 치료반응율을 높이는 치료방법의 선택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동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종양관해율과 생존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제 3상 무작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after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 Kim, Sup;Kim, Jun-Sang;Jeong, Hyun-Yong;Noh, Seung-Moo;Kim, Ki-Whan;Cho, Moon-Jun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52-259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retrospectively the survival outcome, patterns of failure,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in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80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concurrent CRT were included. Pathological staging was IB-II in 9%, IIIA in 38%, IIIB in 33%, and IV in 21%. Radiotherapy consisted of 45 Gy of radiation. Concurrent chemotherapy consisted of a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of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on the first 4 days and last 3 days of radiotherap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8 months (range, 3 to 83 months). The 5-year overall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s were 62%, 59%, and 80%, respectively.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factors for disease-free survival were T stage (hazard ratio [HR], 0.278; P = 0.038), lymph node dissection extent (HR, 0.201; P = 0.002). and maintenance oral chemotherapy (HR, 2.964; P = 0.004). Locoregion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5 (6%) and 18 (23%) patients, respectively. Mixed failure occurred in 10 (16%) patients. Grade 3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were observed in 4 (5%) and one (1%) patient, respectively. Grade 3 nausea and vomiting developed in 8 (10%) patients. Intestinal obstruction developed in one (1%). Conclusion: The survival outcome of the postoperative CRT in advanced gastric cancer was similar to those reported previously. Our postoperative CRT regimen seems to be a safe and effective method, reducing locoregional failure without severe treatment toxicity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