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안정골구조물 중첩법(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을 사용해야 하는 합리적 근거 및 그 중첩방법의 소개 (Logic for the use of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and introduction of its application)

  • 전윤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69-682
    • /
    • 1997
  • [$Bj\ddot{o}rk$]와 Skieller는 상, 하악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안면골 성장유형을 관찰한 결과 성장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골구조물(stable structure)의 존재를 확인했고 성장중에 있는 환자의 안면골을 중첩할 때에는 반드시 이러한 부위를 기준으로 중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0여년이 흐른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안정골구조물을 이용한 중첩법(structural method) 보다는 최적중첩법(best fit method)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Angle씨 부정교합 II급 2류의 하악골과 같이 특징적으로 전상방 성장을 하는 골격구조를 갖는 증례와, 치료 후 장기관찰 증례에서는 두 중첩법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제는 윤리적인 문제때문에 더이상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관찰하는 연구를 할 수 없게 되어 $Bj\ddot{o}rk$가 연구해왔던 임플란트 자료를 근거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실용화를 위하여 본 저자들은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합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중첩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growth changes induced by functional appliances in childr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Superimposition of lateral cephalograms on stable structures

  • Oh, Eunhye;Ahn, Sug-Joon;Sonnesen, Liselott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0-180
    • /
    • 2020
  • Objective: To compare short- and long-term dentoalveolar, skeletal, and rotational changes evaluated by Björk's structural method of superimposition between childr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treated by functional appliances and untreated matched controls. Methods: Seventy-nine prepubertal or pubertal children (mean age, 11.57 ± 1.40 years) with Class II malocclusion were included. Thirty-four children were treated using an activator with a high-pull headgear (Z-activator), while 28 were treated using an activator without a headgear (E-activator). Seventeen untreated children were included as controls. Lateral cephalograms were obtained before treatment (T1), after functional appliance treatment (T2), and after retention in the postpubertal phase (T3). Changes from T1 to T2 and T1 to T3 were compared between the treated groups and control group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lative to the findings in the control group at T2, the sagittal jaw relationship (subspinale-nasion-pogonion, p < 0.001), maxillary prognathism (sella-nasion-subspinale, p < 0.05), and condylar growth (p < 0.001)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Z- and E-activator groups, which also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p < 0.001) and decreased overjet (p < 0.001). Only the E-activator group exhibited significant backward rotation of the maxilla at T2 (p < 0.01). The improvements in the sagittal jaw relationship (p < 0.01) and dental relationship (p < 0.001) remained significant at T3. Condylar growth and jaw rotations were not significant at T3. Conclusions: Functional appliance treatment in childr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agittal jaw relationship and dental relationships in the long term.

성장기 환자에서 하악의 차등적 소구치 발치 (MANDIBULAR DIFFERENTIAL PREMOLAR EXTRACTI0N IN GROWING PATIENTS)

  • 김도훈;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01
  • 성장기 환자에서 치아의 배열이나 입술의 외형을 개선하거나 경미한 악골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을 절충(camouflage)하기 위하여 발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하악 치열궁에 총생의 양이 미약하거나 전치부 분절을 과도하게 후방견인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하악 제 2소구치 발치를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서 이러한 제 2소구치 발치의 기준과 치료에 의한 상, 하악 치아의 이동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시행한 성장기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제 1소구치와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군(4/4발치군, 14명)과 상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를 발치한 군(4/5발치군, 15명)의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하악 제 2소구치 발치의 적응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평가하고, 안정골 구조물을 참고한 중첩법을 이용하여 치아이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4발치군과 4/5발치군은 치료 전 계측치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전치의 치축각도, 구치부 교합관계, IMPA 그리고 interincisal angle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하악 제 1 대구치의 전방 이동량은 4/5 발치군에서 더 전방이동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치료 전, 후의 상악 치아의 이동양상은 4/4 발치군과 4/5 발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