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eader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5초

미니 스프링클러의 살수 기능 - (2) 살수 입자의 크기 (Performance of Mini-Sprinkler - (2) Size of Droplets)

  • 서상룡;성제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3-189
    • /
    • 1997
  • 구조와 크기가 각각 다른 12종의 미니 스프링클러를 대상으로 살수입자의 크기에 대한 분두의 구경과 살수압력의 영향을 조사하고 스프링클러 종류별로 각 살수 도달거리에서의 살수입자의 크기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액분산기를 갖은 미니 스프링클러 살수입자 크기와 분두 구경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살수입자의 크기는 스프링클러의 분두 구경 보다는 스프링클러의 구조 특히 액분산기의 형태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수압력이 살수입자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살수입자의 크기는 살수압력의 1/3승에 반비례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의 압력하에서 살수되는 스프링클러 살수입자의 크기는 특정 압력하의 실험결과로부터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살수입자 도달거리와 살수입자 크기와의 관계는 살수입자 도달거리의 2차 함수에 비례하여 살수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판되고 있는 미니 스프링클러의 대표적인 종류를 이용하여 실험한 스프링클러의 살수입자 도달거리별 살수입자의 크기는 스프링클러 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 크기를 보면 도달거리 1m 이내에서는 100~300$\mu\textrm{m}$, 도달거리 1m~2m 범위에서는 230~470$\mu\textrm{m}$, 도달거리 2~3m 범위에서는 300~770$\mu\textrm{m}$으로 나타났다.

  • PDF

KNF-1002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 증진에 의한 보리 흰가루병 방제 효과 (Fungicidal Activity Enhancement of KNF-1002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by Facilitating Foliar Uptake and Deposition)

  • 유주현;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2-279
    • /
    • 2010
  • KNF-1002는 strobilurin계 합성 살균 활성물질로 여러 가지 식물병에 대하여 예방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작물의 경엽 침투성이 매우 약하여 보랴 흰가루병 등에 대한 치료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ngo Red 방법을 이용하여 KNF-1002의 보리와 밀의 경엽 침투성과 부착량을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물질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증진된 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KNF-1002를 100 mg/L 함유하는 acetone 수용액으로 보리 잎에 분무하였을 때 24시간 동안 유효성분의 0.1%가 침투하였지만, heptaethylene glycol monooctadecenyl cther(OE-7), dodccacthylene glycol monohexadecyl ethcr(CE-12) 등의 계명활성제를 500 mg/L 첨가하였을 때는 침투율이 최고 48.5%까지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KNF-1002 분무용 용액은 밀에 대해서도 침투성과 부착성을 매우 증진하였으며, 그 효과는 polyoxyethylene계 계면활성제의 지방족 알콜의 종류와 ethylene oxide 부가몰수에 따라 달랐다. 침투성과 부착량을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보조제로써 nonacthylene glycol monododccyl ether(LE-9)틀 함유하는 KNF-1002 제제는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뚜렷하게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水稻) 문고병방제용(紋枯病防除用)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의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Feasibility of Water-Floating Fungicide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Sheath Blight(Caused by Rhizotonia solani) in Rice)

  • 오병열;김진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26-233
    • /
    • 1988
  • 수도작(水稻作)에 있어 주요한 병해(病害)의 하나인 문고병(紋枯病)을 조기(早期)에 생력적(省力的)으로 방제할 수 있는 신농약제형(新農藥劑型)의 개발가능성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pencycuron과 flutolanil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물성유지(植物性油脂)와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각각 부유제(浮遊劑) 및 확전제(擴展劑)로 사용하여 4%의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 시제품(試製品)을 제조(製造), 그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생물효과를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제품(試製品)의 수면확전성(水面擴展性)은 $35cm^2/mg$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담수중(湛水中) 유효성분의 분포(分布)는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이 수표면(水表面)에 존재한 반면 flutolanil은 담수중(湛水中)으로의 확산(擴散)이 용이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은 사용(使用)한 부제(副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모두 주성분(主成分)의 경시분해(經時分解)가 완만하여 화학적(化學的)으로 안정(安定)하였다. 실험실하(實驗室下)에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의 균핵발아저지력(菌核發芽沮止力)은 30일 이상 지속하였다. 친유성(親油性)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사용하여 제조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은 수도유묘이앙(水稻幼苗移秧) 1일(日) 전(前)에 유효성분으로 20g/10a을 수면살포(水面撒布)하였을 매 수화제(水和劑)와 동등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5일 이내의 담수범람(湛水汎濫)은 방제효과를 현저히 저하시켰다.

  • PDF

ProFile, ProTaperTM K-Flexofile 근관 성형시 근관의 만곡도에 따른 근관 형태 변화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NAL CONFIGURATION AFTER SHAPING BY PROFILE, PROTAPERTM AND K-FLEXOFILE IN SIMULATED CANALS WITH DIFFERENT ANGLES OF CURVATURE)

  • 이보금;김동준;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294-302
    • /
    • 2005
  • 본 연구는 ProFile, ProTaper 및 K-Flexofile로 근관 성형시 근관의 만곡도에 따라 근관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ISO #15 finger spreader를 15도, 30도 및 45도로 만곡시키고 에폭시 레진으로 각각도의 근관을 갖는 30개의 근관 모형을 제작하였다. 근관의 길이는 18mm로 하였고 근관의 만곡은 근관의 입구로부터 10mm 부위에서 시작하도록 제작하였다. 근관 성형에는 엔진 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인 ProFile과 ProTaper, 수동형 stainless steel 파일인 K-Flexofile을 사용하였다. ProFile과 ProTaper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크라운다운법으로 근관 성형하였고, K-Flexofile은 스텝백법으로 근관 성형하였다. 근첨부 성형은 #25파일 크기까지 시행하였다. 근관 성형 전 후 이미지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고 Photoshop 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근단 쪽에서부터 1, 2, 3, 4, 5, 6, 7, 8, 9및 10mm부위의 내 외측 폭경 변화와 총폭경 및 근관의 중심축에 대한 근관 변위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에서 내 외측 폭경과 총폭경 및 근관 변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기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Scheffe's test로 사후 분석하였다. 또한 기구의 변형과 파절 여부를 평가한 결과 엔진 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인 ProFile과 ProTaper를 사용하여 근관성형시 수동형 스테인레스 스틸 파일인 K-Flexofile에 비해 근관의 변위를 적게 유발하고 특히 ProFile이 근관 성형시 바람직한 기구임을 시사하였다.

Triangular Resection of the Upper Lateral Cartilage for Middle Vault Deviation

  • Ryu, Gwanghui;Seo, Min Young;Lee, Kyung Eun;Hong, Sang Duk;Chung, Seung-Kyu;Dhong, Hun-Jong;Kim, Hyo Yeol
    •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 /
    • 제11권4호
    • /
    • pp.275-280
    • /
    • 2018
  • Objectives. Middle vault devi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nose, and its management continues to be a challenge. Spreader graft and its modification techniques have been focused, but there has been scarce consideration for removing surplus portion and balancing the upper lateral cartilage (ULC).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newly invented triangular-shaped resection technique ("triangular resection") of the ULC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for correcting middle vault devi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7 consecutive patients who presented with middle vault deviation and underwent septorhinoplasty by using triangular resection at a tertiary academic hospital from February 2014 and March 2016. Their outcomes were evaluated pre- and postoperatively including medical photographs, acoustic rhinometry and subjective nasal obstruction using a 7-point Likert scale. Results. The immediate outcomes were evaluated around 1 month after surgery, and long-term outcomes were available in 12 patien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9.1 months. Nasal tip deviation angle was reduced from $5.66^{\circ}$ to $2.37^{\circ}$ immediately (P<0.001). Middle vault deviation also improved from $169.50^{\circ}$ to $177.24^{\circ}$ (P<0.001). Long-term results were $2.49^{\circ}$ (P=0.015) for nasal tip deviation and $178.68^{\circ}$ (P=0.002) for middle vault deviation. The aesthetic outcome involved a complete correction in eight patients (47.1%), a minimally visible deviation in seven patients (41.2%) and a remaining residual deviation in two patients (11.8%). Pre- and postoperative minimal cross-sectional areas (summa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0.86 and 1.07, respectively (P=0.021). Fifteen patients answered about their nasal obstruction symptoms and the median symptom score had alleviated from 6.0 to 3.0 (P=0.004). Conclusion. Triangular resection of the ULC is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ng middle vault deviation and balancing the ULCs without complications as internal nasal valve narrowing.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미니 임플란트의 디지털 수복 증례 (Mini-implant with additional retentive structure by using digital method)

  • 황수현;배은빈;조원탁;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9-126
    • /
    • 2022
  • 하악 전치부와 같이 골 폭이 좁은 환자에서 미니 임플란트 사용은 기존의 직경 임플란트의 대안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기존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의 사용시 보철물 탈락과 시멘트 사용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미니 임플란트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부에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가 소개되었다. 상부 탄성부를 스프레더로 벌려 줌으로써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의 결합구조와 결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본 증례는 좁은 폭경의 하악 전치부에서 상부에 결합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를 통하여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치료기간을 단축하였다. 두명의 환자에서 유지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밀 기계화 작업체계에 의한 노력 절감 효과 (Effect of Mechanical Working System on Labor-Saving in Wheat Cultivation)

  • 김학신;김영진;김경훈;이광원;신상현;정영근;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31-336
    • /
    • 2012
  • 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노력절감을 통하여 생산비를 낮추고 농가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수입산 밀과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밀 재배 작업의 단계별 체계적인 기계화로 노력절감 및 기계 이용효율 효과를 분석한 다음과 같다. 1. 밀 재배 작업 중 복토작업이 ha당 683분이 소요되어 작업소요시간이 가장 길었으며, 파종단계인 파종, 시비와 복토작업을 한번에 할 수 있는 동시작업기 이용, 제초제 살포는 승용살포기 이용으로 노력절감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2. 밀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작업 소요시간은 ha당 부분 기계화 작업인 관행(인력)의 118시간 대비 트랙터부 착용 살포기로 밑거름 시비와 파종+트랙터부착용 배토기로 복토+승용관리기 제초제 살포+트랙터부착용 살포기로 웃거름 살포+콤바인 수확 작업체계(작업체계 I)에서 26시간으로 78% 절감되었으며, 작업체계 I에서 파종단계인 시비, 파종, 복토 작업을 트랙터부착용 동시작업기 활용 작업(작업체계 II)으로 18시간으로 85%가 절감되었다. 3. 밀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등 모두 인력에 비해 기계파종이 짧거나 적어서 수량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계파종 방법에 따라 적합한 파종량 설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어 졌다. 4. 기계화에 따른 기계비용 부담을 감안하여 볼 때 손익분기점은 작업체계 I은 3.7ha, 작업체계 II는 4.2 ha로 판단되었으며, 농가 소득은 ha당 각각 778,110원, 849,930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