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ague-dawley rat

검색결과 1,864건 처리시간 0.038초

결명자 첨가식이가 흰쥐의 체내 카드뮴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ssia tora L. Powder Added-Diets on the Accumulation of Cadmium in Rat)

  • 김성조;백승화;허종욱;김운성;이주돈;강경원;박성혜;한종현;정성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4-565
    • /
    • 2002
  • 본 연구는 식이에 결명자 분말 첨가가 흰쥐 체내의 카드뮴 축적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행하였다. 실험 동물은 Sprague-Dawley계(4주령,♂) 5마리를 한 군으로 정상군(Cn) 대조군(Cs), 카드윰 첨가군(Cl), 결명자(C2, C3, C4) 분말을 각각 0.5, 1.0,1.5% 수준으로 첨가한 군으로 나누어 S주간 실험을 수행하여 성장률, 식이 효율, Cd 축적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 증가 경향은 C3>C2>C4>Cn>Cs>Cl군 순이었으며, 카드뮴만을 섭취한 Cl군이 가장 낮았으며, Cl군과 C3군 사이에 1%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식이 효을은 C3>C2>Cs>Cn>C4>Cl군 순이었으며, 식이 효율이 가장 낮은 Cl군보다 각각 22.87, 19.89, 18.54, 14.20, 13.17% 높은 식이 효율을 보였다. 3. 날 결명자 분말을 첨가한 군의 각 장기 즉, 뇌, 심장, 비장, 간, 폐, 고환, 신장, 대퇴부근육, 다리뼈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은 각각 0.45$\pm$0.04~0.83$\pm$0.04, 1.68 $\pm$0.02~2.16$\pm$0.02, 3.26$\pm$0.05~4.62$\pm$0.27, 37.82$\pm$0.09~47.71 $\pm$0.73, 1.07$\pm$0.10~1.66$\pm$0.04, 1.030$\pm$0.06~l.24$\pm$0.08, 36.79$\pm$0.20~39.61 $\pm$0.53, 0.87$\pm$0.02~1.00$\pm$0.02, 0.65$\pm$0.17~l.27$\pm$0.06 $\mu$g/g 범위였다. 4. 날결명자 분말첨가군 각 조직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이 제일 낮았던 C4를 Cl과 비교한 결과 뇌, 심장, 비장, 간, 폐, 고환, 신장, 대퇴부근육, 다리뼈에 각각 49.03, 22.56, 36.02, 35.75, 41.75, 36.20, 37.00, 22.77, 56.67 %의 감소를 보였으며, 각 장기의 함량은 뇌<다리뼈<대퇴부 근육<고환<폐<심장<비장<신장<간 순 이었다. 5. 카드뮴 총 섭취량으로 장기 및 조직의 카드뮴 평균함량에 대한 축적율은 카드뮴만 섭취한 군(Cl) 의 경우 7.14%이었으며, 결명자 분말 첨가군인 C2, C3, C4군의 경우 각각 4.91, 4.81, 4.50 %이었다. 6. 체모의 카드뮴 함량은 Cl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6주째까지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분변 중 카드뮴 함량은 C4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C3군과 C4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째에 카드뮴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가 6주 이후에 다시 카드뮴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홍삼사포닌이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Sciatic Nerve Regeneration)

  • 한혜정;이해준;강성수;이수한;조익현;이종환;나승열;박창현;엄창섭;배춘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03-109
    • /
    • 2003
  • 실험적으로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홍삼사포닌을 투여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회복에 미치는 홍삼사포닌의 효과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한 조직ㆍ형태학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손상된 신경재생에 가장 유효한 홍삼사포닌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kg, 100mg/kg, 150mg/kg의 홍삼사포닌을 3주간 투여한 결과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홍삼사포닌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을 1주 간격으로 1주부터 3주까지 투여한 결과 총 유수신경섬유 수는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1주에서 2주 사이에 급격히 증가를 하고 3주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1주에서 3주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수신경섬유 수가 홍삼사포닌 투여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현저히 적은 양이지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축삭절단만 시키고 신경 연결을 완전히 절단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연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많은 수의 유수신경섬유 수를 가지고 이로 인해 홍삼사포닌은 말초신경 손상 시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 1주와 2주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신경 재생의 초기 단계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말초신경 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것은 자연 회복의 속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방법을 임상에 적용한다면 조기에 신경재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다.X>$_4$ ratio도 대조그룹 대비 RFEY-1.0, RFEY-3.0, RFEY-5.0의 투여그룹은 각각 39.5%, 67.3% 및 96.3%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미열매 추출물을 주재로 한 장미 요구르트의 항스트레스작용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흰쥐에서 양파 농축액의 고지혈 개선 작용 (A Concentrated Onion Extract Lowers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 김주연;서윤정;노상규;차용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8-404
    • /
    • 2010
  • 양파 농축액이 흰쥐 동물모델에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가 혼합된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고지방 식이와 함께 양파 농축액 중 양파만 제거된 농축액만 공급된 동물군을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 식이와 양파 농축액을 함께 공급된 동물군을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고농도군으로 8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 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되었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연구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파 농축액을 공급받은 동물군들의 혈액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non-HDL콜레스테롤 수치는 고지방 식이를 지속적으로 동시에 공급받았음에도 불구하고 6주째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총지방 함량이나 총지방산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양파농축액 고농도 급여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6주 동안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실험동물의 고지혈은 양파 농축액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실험 결과는 양파 농축액이 혈액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고지혈증 개선에 효과가 있어 고지혈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식이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내독소로 자극된 당뇨 쥐에서 단백분해효소와 그 억제제 발현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after Administration of Endotoxin in Diabetic Rats)

  • 서기현;최재성;나주옥;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56-264
    • /
    • 2006
  • 연구배경: 급성폐손상에서 염증세포의 모집과 활성, 그 염증세포의 부산물인 활성산소, 사이토카인, 기질단백분해효소등과 기획성 세포사멸이 폐실질 파괴와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환자에서 세균 감염 시 중성구의 기능 이상과 활성 산화기의 기능이상, 살균 능의 저하를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으나 단백분해효소 대한 견해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 모델에서 내독소로 유발된 급성폐손상의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분해효소와 그 억제제의 분비를 비교 관찰하였다. 방 법: 생후 6주된 수컷 쥐 40마리를 정상군, 당뇨군, 내독소군, 당뇨-내독소군으로 나누어 당뇨군은 streptozotocin을 투여하였고 내독소군은 지질다당질을 투여하고서 희생시켰다. 각각 혈액,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얻어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MMP-9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Western blot으로 TIMP-1을 측정하였다. 결 과: 1) 내독소군과 당뇨-내독소군은 정상과 당뇨군에 비해 폐 무게의 증가와 기관지폐포세척액과 폐 조직 소견상 염증세포, 특히 중성구의 증가를 보였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단백질 양의 증가를 보였다 (p < 0.05). 또한 당뇨-내독소군은 내독소군과 달리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총 염증세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2) MMP-9의 활성은 혈청에서는 당뇨-내독소군이 다른 세 군보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는 내독소군과 당뇨-내독소군은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과 당뇨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p < 0.05). TIMP-1 발현은 혈청에서는 네 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기관지폐포세척액은 당뇨-내독소군이 가장 낮은 발현을 보였다 (p < 0.05). MMP-9/ TIMP-1 density ratio를 비교했을 때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당뇨-내독소군이 다른 세 군보다 높았고 내독소군도 정상과 당뇨군보다 높았다 (p < 0.05). 결 론: 급성폐손상이 있는 당뇨에서는 염증세포의 화학 주성 감소로 중증 감염에 민감해지고, 기질단백분해효소 활성 증가와 그 억제제의 감소로 폐손상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백서에서 Depulpin®과 Formocresol에 대한 치수와 치근단 조직의 반응 (PULPAL AND PERIAPICAL REACT10N TO FORMOCRESOL AND DEPULPIN® IN THE RAT TEETH)

  • 문형인;김선호;황윤찬;오병주;황인남;김선헌;정선와;윤창;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55-362
    • /
    • 2002
  • One fifth dilution of formocresol is usually used for pulpotomy of the primary teeth and emergency pulpotomy of the permanent teeth. However the use of formaldehyde has been subjected to criticism because it may be absorbed into the blood stream and become distributed systemically, it nay also alter the pulp tissue rendering it immunologically active, and have carcinogenic potential. Recently Depulpin$^{\circledR}$(VoCo., Germany) gains popularity as a devitalizing agent during root canal therapy in spite of high concentration of 49 % paraformaldehyde because it facilitate devitalization of pulp and make root canal therapy easier But there have been not enough publications about the reaction of pulp and periapical tissue caused by Depulp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istological changes in pulp and periapical tissue of rats after pulpotomy using formocresol and Depulpin and to elucidate the toxic effects of these agents. Thirty six Sprague-Dawley rats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ketamine Maxillary first molar teeth were used for pulpotomy with formocresol and Depulpin. Rats were sacrificed after 2 days, 4 days,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respectively. Specimens were histologically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changes in pulp and periapical tissu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mocresol group A zone of fixed tissue. in which odontoblasts could clearly be defined, was present directly underneath the pulpotomy dressing in almost all teeth of this group. This was followed by an area of necrotic tissue which resembled dried out fibrous tissue with no cellular detail except some pyknotic nuclei. In the specimens of after 2 days, 4 days, 1 week, 2 weeks in which vital tissue was present, it was separated from the fibrous area by a zone of inflammation. In the specimens of after 3 weeks and after 4 weeks, inflammatory infiltrate wa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adjacent to the apical foramina of the teeth. 2. Depulpin$^{\circledR}$ group The area of necrotic tissue which had no cells and fibers, was present adjacent to the dressing. This was followed by dried out fibrous tissue with no cellular details except some pyknotic nuclei, A short stump of vital pulp with odontoblasts was present at the end of the canal after 2 days. Inflammatory infiltrate wa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after 4 days and after 1week. Severe root resolution and necrosis of periapical tissue opposite the root resorption site were defined after 2 weeks and after 3 weeks. Periapical lesion which consist of necrotic tissue surrounded by a fibrous connective wall, was found after 4 wee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pulpin can cause more adverse reaction to the dental pulp and periapical tissue than formocresol,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its clinical use with safety.

백서 두개골결손모델에서 실크단백과 골형성단백 이식체가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lk fibroin and rhBMP-2 on bone regeneration in rat calvarial defect model)

  • 남정훈;노경록;방은오;유우근;강응선;권해용;김성곤;박영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5호
    • /
    • pp.366-374
    • /
    • 2010
  • Introduc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capability of silk fibroin (SF) and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loaded SF (SF-BMP) as a bone defect replacement matrix when grafted in a calvarial bone defect of rats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70 calvarial critical size defects (5.0 mm in diameter) made on 35 adult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efects were transplanted with (1) rhBMP-2 loaded silk fibroin graft (SF-BMP: 0.8+$10\;{\mu}g$), (2) Silk fibroin (SF: $10\;{\mu}g$), and (3) no graft material (Raw). The samples were evaluated with soft x-ray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alcium/phosphate quantification,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at postoperative 4 and 8 weeks. Results: The SF-BMP group ($48.86{\pm}14.92%$)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percentage bone area than the SF group ($24.96{\pm}11.01%$) at postoperative 4 weeks.(P<0.05) In addition, the SF-BMP group ($40.01{\pm}12.43%$) had a higher % bone area at postoperative 8 weeks than the SF group ($33.26{\pm}5.15%$). The mean ratio of gray scale levels to the host bone showed that the SF-BMP group ($0.67{\pm}0.08$) had a higher mean ratio level than the SF group ($0.61{\pm}0.09$) at postoperative 8 week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68 and P=0.243,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calcium and phosphate contents of the SF-BMP ($0.93{\pm}0.22$)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F ($1.90{\pm}1.42$) group at postoperative 4 weeks. However, the SF-BMP group ($0.75{\pm}0.31$) had a higher Ca/$PO_4$ ratio than the SF ($0.68{\pm}0.04$) at postoperative 8 week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26 and P=0.627, respectively) For the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hich is recognized a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osteoblast function, the SF-BMP ($23.71{\pm}8.60\;U/L$) groups ha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SF group ($12.65{\pm}6.47\;U/L$) at postoperative 4 weeks.(P<0.05) At postoperative 8 weeks, the SF-BMP ($21.65{\pm}10.02\;U/L$) group had a lower bone-specific ALP activity than the SF group ($16.72{\pm}7.35\;U/L$).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263) For the histological evaluation, the SF-BMP group revealed less inflammation, lower foreign body reactions and higher bone healing than the SF group at postoperative 4 and 8 weeks. The SF group revealed more foreign body reactions at postoperative 4 weeks. However, this immunogenic reaction decreased and the remnant of grafted material was observed at postoperative 8 weeks.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SF-BMP group had a significantly longer bone length to total length ratio than those of the SF group at postoperative 4 and 8 weeks.(P<0.05) Conclusion: The rhBMP-2 loaded silk fibroin graft revealed fewer immunoreactions and inflammation as well as more new bone formation than the pure silk fibroin graft. Therefore, silk fibroin may be a candidate scaffold for tissue engineered bone regeneration.

톳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흰쥐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비타민 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Vitamin E Concentration in Rats)

  • 김향숙;최은옥;박철;최영현;현숙경;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56-1561
    • /
    • 2011
  • 본 연구는 용매의 극성에 따른 톳 분획물을 흰쥐에게 4주간 경구투여한 후 톳의 항산화효소 활성 및 비타민 E 농도 차이를 평가하여 톳 추출물이 체내의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간에서의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톳 추출물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톳 추출물 투여군 중 $CH_2Cl_2$군과 $H_2O$군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청에서의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톳 추출물 투여군에 서 유의적으로 높으며(p<0.05). 특히 EtOH 군과 $H_2O$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간에서의 catalase 활성은 대조군과 톳 추출물 투여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톳 추출물 투여군 간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톳 추출물을 투여한 n-BuOH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효소 활성이 높았다(p<0.05). 간에서의 GSH-Px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톳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간에서의 MDA 농도는 대조군과 톳 추출물 투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에서의 MDA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톳 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n-BuOH군과 $H_2O$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alpha}$-tocopherol 농도값은 EtOA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EtOAc군을 제외하고는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청 ${\gamma}$-tocopherol 농도 값은 $H_2O$군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EtOH 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간조직의 ${\alpha}$-tocopherol 농도 값은 $CH_2Cl_2$군과 $H_2O$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나머지 그룹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 ${\gamma}$-tocopherol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톳 추출물 투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H_2O$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톳 추출물 중 특히 $H_2O$ 분획물의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톳 추출물의 투여가 항산화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님추출물이 랫드의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Azadirachta indica Extract on Hepatotoxicity in Rats)

  • 박경훈;윤현주;한범석;이제봉;정미혜;조남준;엄애선;백민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5-402
    • /
    • 2014
  • 님추출물은 유효성분(active ingredient)으로 azadirachtin을 함유하여 전세계적으로 충해방제용 유기농업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님추출물은 님 원료부위 및 추출용매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안전성에 크게 차이가 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유기농업자재 제품의 원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님추출물이 주요 독성기관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SD 랫드를 이용하여 4주 반복경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님추출물 시험물질의 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의 상대중량이 증가하였다(p <0.05). 혈액 생화학분석 결과, 수컷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험물질 처리시 혈중 LDH는 감소하였으나 GOT와 GPT가 증가하였으며(p <0.05), 특히 GPT가 시험물질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컷에서 간 손상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고농도로 님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경우 수컷의 혈중 GGT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혈중 GLU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 <0.05), 뇨 중 GLU는 님추출물의 처리농도증가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님추출물 시료 처리에 따른 간의 병변도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 사용된 수용성 님추출물 시료는 혈액 생화학적 분석 결과 수컷에서 간손상의 가능성은 있었으나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용성 님추출물 2.0 g/Kg 을 4주간 랫드에 경구투여한 결과 간에 독성을 미치지 않고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발현에 미치는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의 효과 (Effect of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 on the Expression of Pituitary Gonadotropin in Male Rats)

  • 손혁준;김수웅;백재승;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2007
  •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은 Leydig cells(LC)만을 선별적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가역적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 결핍 흰쥐 모델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컷 흰쥐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인 LH와 FSH의 발현에 미치는 EDS 투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 흰쥐(SD strain, $300{\sim}350\;g$ B.W.)에 EDS(75 mg/kg, i.p.)를 1회 복강주사하고 주사 후 0, 1, 2, 3, 4, 5, 6 그리고 7주가 경과한 날 희생시켰다. 뇌하수체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한 후 뇌하수체 glycoprotein hormone common alpha subunit($C{\alpha}$), LH beta subunit($LH{\beta}$), FSH beta subunit($FSH{\beta}$) 그리고 GnRH 수용체(GnRH-R)의 발현 변화를 semi-quantitative RT-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lpha}$ 전사수준은 주사 후 1주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주사 후 4주까지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다가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LH{\beta}$ 전사 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4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FSH{\beta}$ 전사수준은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4주 후부터 감소하여 5주 후에 최소치를 보였다. 유사하게, GnRH-R 전사 수준도 주사 후 2주부터 유의하게 상승하여 주사 후 3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5주 후부터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EDS 주사에 의해 수컷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생식소 자극호르몬 subunit들과 GnRH-R의 발현 변화가 가역적으로 유도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EDS 주사 모델은 수컷 흰쥐에서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호르몬 조절에 대한 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모시잎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 이재준;박미란;김아라;이명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3-90
    • /
    • 2011
  • 본 연구는 모시잎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in vivo에서 5주령 된 흰쥐 수컷 24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시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HFC)이 가장 낮았으며, 모시잎 분말 급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10% 모시잎 분말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의 식이효율 수준과 유사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는 10% 모시잎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보다 오히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ST, ALT, ALP 및 LDH 활성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저하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되었으나, 모시잎 분말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5%와 10%의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모시잎 분말을 급여하였을 경우 감소효과가 커 정상 식이군(N)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대조군(HF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모시잎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 급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급여한 모시잎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시잎 분말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클로로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와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 대사성 합병률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외에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