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검색결과 1,054건 처리시간 0.025초

농약이 오이흰가루병 방제용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ochemicals on mycelial growth and spore germin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controlling cucumber powdery mildew)

  • 이상엽;이상범;김용기;김홍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78
    • /
    • 2004
  •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다양한 작물에서 발생한 흰가루병균을 채집하여, 흰가루병균에 기생되어 있는 Ampelomyces quisqualis를 분리하여 오이흰가루병방제에 우수균주로 선발된 A. quisqualis 94013(AQ 94013)에 대하여 오이에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와 살충제가 AQ94013의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AQ94013이 기생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착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착제와 혼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AQ94013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는 공시한 34종의 살균제를 첨가한 배지에서 검정한 결과, 흰가루병 약 triadimefon, pyrazophos, 노균병약 dimethomorph, kasugamycin+copper oxychloride, dichlofluanid + copper oxychloride, copper hydroxide, tribasic copper sulfate, 이외에 잿빛곰팡이병약 iprodione, vinclozolin, procymidon 과 공시한 11종의 살충제중에서 immidacloprid, teflubenzuron, bifenthrin, ethofenprox, deltamethrin, phenthoate이 AQ94013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에 영향을 적게 미쳤다.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A. quisqualis 94013 의 기생력을 증진하는 전착제는 mineral oil로서 방제효과를 7.9%향상시켰다.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 병행에 의한 Bacillus cereus 포자 불활성화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EDTA and Heat on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 양승국;김정지;김석중;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69-1473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천연항균제인 lysozyme,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처리를 병행하여 Bacillus cereus 포자에 대한 저감효과를 측정하였다. B. cereus 포자는 5 ${\mu}g/mL$ $MnSO_4$-$H_2O$을 첨가한 nutrient agar에 접종, 3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제조하였으며 실험 직전 $8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영양 세포는 불활성화 시켰다. Lysozyme, 자몽종자추출물, EDTA를 항균제로 사용하였으며 열은 $70^{\circ}C$, $80^{\circ}C$, $90^{\circ}C$ 온도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단독처리 시 $90^{\circ}C$ 열처리 조건에서만 약 2.3 log 수준의 불활성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단독처리 조건에서 효과가 없었던 1% 자몽종자추출물과 0.5 mM EDTA 농도 조건으로 $80^{\circ}C$ 열처리를 병행한 경우 각각 2.1 log, 3.2 log 수준의 포자 불활성화 효과가 있어 상승효과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농도의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을 병행처리하면 상승효과에 의해 효율적인 포자 불활성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ow-Cost Cultivation and Sporulation of Alkaliphilic Bacillus sp. Strain AK13 for Self-Healing Concrete

  • Hong, Minyoung;Kim, Wonjae;Park, Woo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1982-1992
    • /
    • 2019
  • The alkaliphilic,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ng Bacillus sp. strain AK13 can be utilized in concrete for self-repairing. A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develop an economical medium for its mass cultivation and sporulation. Two types of screening experiment were first conducted to identify substrates that promote the growth of the AK13 strain: the first followed a one-factor-at-a-time factorial design and the second a two-level full factorial design. Based on these screening experiments, barley malt powder and mixed grain powder were identified as the substrates that most effectively promoted the growth of the AK13 strain from a range of 21 agricultural products and by-products. A quadratic statistical model was then construct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wo substrates was optimized. The estimated growth and sporulation of Bacillus sp. strain AK13 in the proposed medium were 3.08 ± 0.38 × 108 and 1.25 ± 0.12 × 108 CFU/ml, respectively, which meant that the proposed low-cost medium was approximately 45 times more effective than the commercial medium in terms of the number of cultivatable bacteria per unit price. The spores were then powdered via a spray-drying process to produce a spore powder with a spore count of 2.0 ± 0.7 × 109 CFU/g. The AK13 spore powder was mixed with cement paste, yeast extract, calcium lactate, and water. The yeast extract and calcium lactate generated the highest CFU/ml for AK13 at a 0.4:0.4 ratio compared to 0.4:0.25 (the original ratio of the B4 medium) and 0.4:0.8. Twenty-eight days after the spores were mixed into the mortar, the number of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the AK13 strain had reached 106 CFU/g within the mortar. Cracks in the mortar under 0.29 mm were healed in 14 days.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was observed on the crack surface. The mortar containing the spore powder was thus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healing micro-cracks.

꿀벌에 기생(寄生)하는 Nosema apis의 병원성(病原性)과 발육단계(發育段階)에 관한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Pathogeniciti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Nosema apis(Zander, 1909))

  • 강영배;김동성;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5
    • /
    • 1976
  • Studies on pathogeniciti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Nosema apis (Zander, 1909) were carried out through artificial infection to Nosema free honey bees with various levels of spores isolated from local honey bee colon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as dysentery, enteritis of mid-gut (enlargement and decoloration), crawling posture and shortening of the longevity of worker bees in the rearing honey bee colony inoculated with the spores. 2. Number of spores harvested from laboratory rearing honey bees were progresively increased to 4 weeks after inoculation. The regression equations and coefficients of correlations to various spore levels were as follows in each treatment colony. Colony 1. ($$1,000{\times}10^4spores/ml$$) $$y_{c1}=471{\times}10^{4}x+454{\times}10^4(r=0.65^*$$) Colony 2. ($$500{\times}10^4spores/ml$$) $$y_{c2}=340{\times}10^{4}x+207.8{\times}10^4(r=0.99^{**}$$) Colony 3. ($$100{\times}10^4spores/ml$$) $$y_{c3}=150{\times}10^{4}x+84.2{\times}10^4(r=0.99^{**}$$) Colony 4. ($$10{\times}10^4spores/ml$$) $$y_{c4}=13.8{\times}10^{4}x+13{\times}10^4(r=0.98^{**}$$) 3. Average longevity of worker bees artificially infected with Nosema apis was shortened as 21.7~43.8% compare to the control. (p<.05, p<.01) 4. The spores which were isolated from honey bee colony infected with Nosema disease were ovoid or spherical form, and measured, as a rule, from $4.7{\mu}m$ to $6.1{\mu}m$ (mean $5.3{\mu}m$) in length and from $2.4{\mu}m$ to $3.2{\mu}m$ (mean $2.9{\mu}m$) in width. 5. In the mid-gut of honey bees, the spore was progresively germinated and became trophozoite stage. The trophozoites were grown to meronts and their binary fission were begun. The divided two sporoblasts were developed to the spores which had elastic membrane. The new spores were shed in excreta of honey bees 10~15 day after inoculation at $25{\pm}2$ centigrade. 6. The ultrastructure of spore membrane consisted of three layers, such as,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sporoplasm consisting lamellar structure occupied only anterior part of the spore and was often extended to posterior direction where definite vacuoles and a polar filament was able to detect.

  • PDF

당근검은잎마름병균 Alternaria dauci에 대한 살균제 효과 검정 및 병원균 집단에 대한 저항성 검정 (Detection of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Alternaria dauci Causing Alternaria Leaf Spot in Carrot and Monitoring for the Fungicide Resistance)

  • 도지원;민지영;김용수;박용;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71
    • /
    • 2020
  • 당근검은잎마름병균인 Alternaria dauci KACC42997에 대해서 32개 살균제를 선발하여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2'군, '다5'군, '사1'군, '마2'군, '마3'군에 속하는 살균제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Iminoctadine tris-albesilate를 제외한 '카'군에 속하는 보호살균제와 '다3'군에 속하는 pyraclostrobin은 병원균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했던 숙신산탈수소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다2'군과 탈메틸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사1'군 살균제는 우수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면서도,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저조하였다. 하지만 '다5'군에 속하는 fluazinam은 균사생장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포자발아 억제효과도 우수하였다. 특별히 '다2'군에 속하는 fluxapyroxad를 100 ㎍/ml 처리한 경우, 배지 상에서 포자형성을 47.1% 억제하였다. 구미, 평창, 제주 등에서 분리한 검은잎마름병균 집단의 '사'군, '다'군, '마'군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값을 비교하면, 제주 지역 병원균 집단의 저항성 요인값이 가장 낮았다. 평창 지역 균주 집단에서 '마2'군에 속하는 fludioxonil 저항성 균주가 2개 발견되었으며, 그들은 모두 iprodione과 procymidone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은나노 제품인 Pyto-patch의 제조공정 및 Pyto-patch의 고추 탄저병 방제효과 (Synthesis of Pyto-patch as Silver Nanoparticle Produ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 곽영기;김성일;이종만;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2
  • 나노 크기인 5nm 이하로 제조한 은나노제품(파이투패치)은 주요 식물병원균인 탄저병원균(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균핵병원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항균력이 있었다. 파이투패치 살포에 의한 고추탄저병 방제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파이투패치 희석액에 포자를 침지하여 포습시킨 후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5ppm까지 희석한 처리구에서 병원균의 포자발아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균사는 10ppm에서 생장억제효과가 15일간 지속되었다. 특히 파이투패치를 10ppm으로 희석하여 배지표면에 도말한 후 탄저병원균 포자를 접종하면 3일간 발아가 억제되어 식물체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였으며, 40% 이상 발병한 시험구에 4ppm 파이투패치를 살포한 결과 21일 후 7% 이하의 발병과율로 무처리 대비 70% 방제효과가 있었다. 장마철 탄저병 발생율이 94.6%인 시험포장에서 10ppm 농도로 파이투패치를 7일간격으로 엽면살포한 결과 발병과 발생율이 5.8%로 방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수확한 홍고추를 자연건조한 후에도 발병과율이 24.2%로 건고추 수확량도 증가하였다. 장마철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은 장마가 끝난 무피복시험구에서 8월 11일 15%이었으며 고온기를 지난 9월 7일에는 발병율이 74%로 수확을 포기하였으나, 파이투패치를 코팅처리한 피복재를 씌운 시험구에서는 발병주가 2.3%로 장마철 역병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발병 조건에 따른 fludioxonil의 상추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a New Fungicide Fludioxonil on Lettuce Gray Mold According to Several Conditions)

  • 최경자;장경수;최용호;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17-221
    • /
    • 2009
  • Fludioxonil은 미국 EPA에 의해 저독성(reduced-risk) 살균제로 분류되었으며, 이 살균제는 Pseudomonas pyrrocinia가 생산하는 항균 물질인 pyrrolnitrin을 선도 물질로 하여 합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추 품종, 기주 식물의 생육 시기, Botrytis cinerea 포자농도, 접종원의 영양분 농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fludioxonil의 상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온실에서 실험하였다.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fludioxonil 방제효과를 실험한 결과, 2 ${\mu}g$/ml 처리구는 어린 유묘에서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가 더 높았으나, 10 ${\mu}g$/ml 이상 농도에서는 생육 시기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또한 fludioxonil 10 ${\mu}g$/ml 이상 농도 처리구는 B. cinerea의 포자 농도(2.5$\times$10개/ml 부터 $2{\times}10^6$ 개/ml까지)에 관계없이 모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fludioxonil 2 ${\mu}g$/ml은 접종원의 포자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영양분농도에 따른 fludioxonil의 잿빛곰팡이병 방제효과를 실험한 결과, potato dextrose broth의 농도가 낮을수록 fludioxonil은 상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살균제 fludioxonil은 상추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효과적인 살균제임을 알 수 있었으며, 다만 낮은 농도에서는 발병 조건에 따라 다소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타정 압력에 의한 세균포자의 파괴현상 (The Destruction of Bacterial Spores Upon Compressional Pressure)

  • 이철호;김영만;이정치;정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2-277
    • /
    • 1980
  • 본 연구는 유용 세균의 포자를 정제화(tabletting)하는 과정에서 포자의 내구성 특히 타정 압력에 대한 세균 포자의 파괴율을 규명하려 하였다.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및 Clostridium butyricum의 세가지 포자 형성균의 포자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인 Streptococcus faecalis의 영양세포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정제제조 과정에서 포자의 파괴는 주로 타정과정에서 일어나며 세균의 포자는 타정압력에 대하여 대수적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세균포자의 압력에 의한 파괴율은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이것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Decimal Reduction Pressure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P-value라 칭하고 각 세균 포자의 P-value를 구하였든 바 B. subtilis의 포자는 $2.9\;ton/cm^2$, B. coagulans의 포자는 $2.6\;ton/cm^2$, Cl. butyricum의 포자는 $2.1\;ton/cm^2$의 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반면, Str. faecalis의 영양세포는 $1.7\;ton/cm^2$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세균포자의 파괴율은 사용하는 부형제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동일한 B. coagulans의 포자라도 lactose filler에서는 그 P-value가 $2.8\;ton/cm^2$이었으며 starch filler에서는 $2.0\;ton/cm^2$이었다. 동일한 부형제를 사용하였을 때 생존 포자수는 정제의 경도와 밀도에 역비례하였다. 그러나 경도와 밀도가 낮은 starch filler에서는 lactose filler에 비교하여 더 높은 포자 파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부형제의 종류는 정제 형성뿐만 아니라 세균 포자의 생존에도 중요한 요인이며,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부형제를 알맞게 혼합함으로서 타정시 유용세균포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표고 톱밥재배용 무포자 신품종 '대담'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spore-less cultivar Lentinula edodes 'Daedam' for sawdust cultivation)

  • 김정한;강영주;이채영;김연진;최준영;이찬중;하태문;임갑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4-159
    • /
    • 2023
  • 표고 톱밥재배용 무포자 품종의 육성을 위해 수집균주 중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를 통해 육성된 '대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담'의 균사생장 적온은 22~.25℃, 발이 및 생육온도는 16~18℃이었으며, 자실체 형태는 평반구형이며 갓을 형성하지 않는 무포자품종이다. '대담'은 배양기간이 21일, 갈변기간 96일로 대조품종('화담')과 유사하였고, 발이기간은 5일, 생육기간은 9일로 전체 재배기간은 134일로 같았다. '대담'의 개체중은 32.4g으로 대조품종과 유사하였고, 유효개체수는 6.8개로 대조품종 보다 1.3개 낮았으며, 총수량은 222g으로 대조품종의 266g에 비해 낮았다. '대담'의 자실체는 대조품종 대비 갓이 두껍고, 갓 직경은 다소 작았으며, 대의 굵기는 작고 긴 특성을 보였다. '대담'의 배지형태별 생산성 분석결과, 1.2kg 원통형 배지에서 생물학적 효율이 26.7%로 3kg 봉형배지보다 높았으며, '하나참'와 비교 시 재배기간이 40일 짧고 수량도 유사하여, 단기 재배용 품종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