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ke variabl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유도 전동기 구동용 다이오드 브릿지-타입 ZVT 인버터 (A Diode Bridge-type ZVT Inverter for Induction Motor Drive Application)

  • 이성룡;고성훈;권순신;송인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199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8
    • /
    • 1999
  • In this paper, the diode bridge-type ZVT(Zero-Voltage Transition) inverter is proposed. It consists of one auxiliary switch, three resonant inductors and six blocking diodes. So,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topology is the reduction of the auxiliary switch. The topology of the proposed ZVT inverter is analyzed with a description of the control conditions based on the load current. Therefore, this paper two control algorithms were discussed. A variable resonant pattern control algorithm by using load current feedback and a resonant period control algorithm by using resonant inductor current feedback is proposed in order to achieve the ZVT switching condition in full control range and the reducing current spike main switches cause by reverse recovery problem.

  • PDF

해양과학기지 시계열 관측 자료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국제 관측자료 품질관리 방안 수온 관측 자료 시범적용과 문제점 (Quality Control of Observed Temperature Time Series from the Korea Ocean Research Stations: Preliminary Application of Ocean Observation Initiative's Approach and Its Limitation)

  • 민용침;정진용;장찬주;이재익;정종민;민인기;심재설;김용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195-210
    • /
    • 2020
  • The observed time series from the Korea Ocean Research Stations (KOR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YECS) have various sources of noise, including bio-fouling on the underwater sensors, intermittent depletion of power, cable leakage,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ors' signals. Besides these technical issues, intricate waves associated with background tidal currents tend to result in substantial oscillations in oceanic time series. Such techn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require a regionally optimized automatic quality control (QC) procedure. Before the achievement of this ultimate goal, we examined the approach of the Ocean Observatories Initiative (OOI)'s standard QC to investigate whether this procedure is pertinent to the KORS. The OOI QC consists of three categorized tests of global/local range of data, temporal variation including spike and gradient, and sensor-related issues associated with its stuck and drift. These OOI QC algorithms have been applied to the water temperature time series from the Ieodo station, one of the KORS. Obvious outliers are flagged successfully by the global/local range checks and the spike check. Both stuck and drift checks barely detected sensor-related errors, owing to frequent sensor cleaning and maintenance. The gradient check, however, fails to flag the remained outliers that tend to stick together closely, as well as often tend to mark probably good data as wrong data, especially data characterized by considerable fluctuations near the thermocl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adient check might not be relevant to observations involving considerable natural fluctuations as well as technical issues. Our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new algorithm such as a standard deviation-based outlier check using multiple moving windows to replace the gradient check and an additional algorithm of an inter-consistency check with a related variable to build a standard QC procedure for the KORS.

재래종 쌀보리의 형태적 특성 및 RAPD에 의한 유연 관계 분석 (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PD Analysis in Korean Landraces of Naked Barley)

  • 조원경;이정민;권무식;정태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17-222
    • /
    • 2002
  • 재래종 쌀보리 들은 추파형이며 내한성이 약하고 장간이면서 밀수, 장망으로 출수가 늦은 품종이 많았다. 그러나 파성, 내한성, 출수기, 간장, 수장의 변이가 컸으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 uzu 유전자, 찰성, 자색종피 등 다양한 유용 돌연변이를 보였다. 재래종들의 유연관계를 형태적 특성과 RAPD분석 결과, 112품종 모두 다른 품종으로 밝혀졌으며, 재래종 쌀보리와 겉보리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일양성이 인정되어 쌀보리 품종들이 겉보리 재래종으로부터 돌연변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Propofol이 개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fol on Electroencephalogram in Dogs)

  • 장환수;장광호;채형규;권은주;김정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9-367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pofol on cortical electroencephalogram (EEG) in seven dogs. Propofol infusion was accomplished from low concentration to high concentration in series, and each concentration was infused for 20 minutes (M0: 0, M0.5: 0.5, M1.0:1.0, and M1.5: 1.5 mg/kg/min of infusion rate). EEG was recorded via needle electrode placed at Cz, which was applied to International 10-20 system. Arterial blood pressure. blood gas analysis and ECG were also measured. Hoemodynamics, Pa$CO_2$, PaO$_2$,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were variable, but were net significant(p>0.05). The power spectra of EEG in every concentration was compared wish those of control (MO). The powers at a1l frequencies at M1.0 and Ml.5 were decreased. Especially, the powers of the frequencies over 20 Hz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O5). Powers at frequencies between 8 and 15Hz at MO.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response to the painful stimuli. It was inferred that they may reflect activity of the brain which is consciously processing the external Stimuli. Like the Power spectra, al1 the band powers of He EEG ($\delta$ 1-4, $\theta$4-8, $\alpha$ 8-13, $\beta$L13-21. $\beta$H 21-30, \ulcorner 30-50, and total 1-5OHz) wer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infusion rate at M1 .0 and M1.5. Especially, decrease of $\beta$H and ${\gamma}$ were significant(p<0.01). At M0.5, $\alpha$ b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mong all the bands. Seizure activities which were concide with occurrence of spike wave were shown in all dogs at Ml .0 and M1.5.

  • PDF

The Early Chemical Enrichment Histories of Two Sculptor Group Dwarf Galaxies as Revealed by RR Lyrae Variables

  • Yang, Soung-Chul;Wagner-Kaiser, Rachel;Sarajedini, Ata;Kim, Sang Chul;Kyeong, Jaemann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39.1-39.1
    • /
    • 2014
  • We presen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RR Lyrae (RRL) variable stars detected in two transition-type dwarf galaxies (dTrans), ESO294-G010 and ESO410-G005 in the Sculptor group,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closest neighboring galaxy groups to our Local Group. Using deep archival images from the Advanced Camera for Surveys (ACS) onboard the Hubble Space Telescope (HST), we have identified a sample of RR Lyrae candidates in both dTrans galaxies [219 RRab (RR0) and 13 RRc (RR1) variables in ESO294-G010; 225 RRab and 44 RRc stars in ESO410-G005]. The metallicities of the individual RRab stars are calculated via the period-amplitude-[Fe/H] relation derived by Alcock et al. This yields mean metallicities of <[Fe/H]>_{ESO294} = -1.77 +/- 0.03 and <[Fe/H]>_{ESO410} = -1.64+/- 0.03. The RRL metallicity distribution functions (MDFs) are investigated further via simple chemical evolution models; these reveal the relics of the early chemical enrichment processes for these two dTrans galaxies. In the case of both galaxies, the shapes of the RRL MDFs are well-described by pre-enrichment models. This suggests two possible channels for the early chemical evolution for these Sculptor group dTrans galaxies: 1) The ancient stellar populations of our target dwarf galaxies might have formed from the star forming gas which was already enriched through "prompt initial enrichment" or an "initial nucleosynthetic spike" from the very first massive stars, or 2) this pre-enrichment state might have been achieved by the end products from more evolved systems of their nearest neighbor, NGC 55.

  • PDF

대맥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ies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Barley)

  • 박정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88-123
    • /
    • 1975
  • 본 연구는 대맥의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작물시험장(수원) 맥류포장에서 수원18호를 공시하여 1969년부터 1970년까지 2개년간 시비량, 파종기 및 파종량을 달리 하여 이들 처리가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형성과정을 추구하였으며 또한 수원18호외 7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이동에 따른 품종들의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의 변화를 검토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원에서 대맥 수원 18호의 출현이수는 파종기 (9월 21일에서 10월 31일까지)에 따라 8~19일정도 소요되었고 조파할수록 빠른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로 지중 5cm의 적산온도가 15$0^{\circ}C$내외면 출현하였다. 2. 파종기에 따른 냉해정도의 차이는 월동기간의 대맥 생육정도와 기상조건의 영향이 크며 월동전 생육이 과도하거나 주간출엽수가 5~6엽에 미달되면 냉해에 약하였다. 3. 주간출엽수는 파종기에 따라 11매로부터 16매까지 변화하지만 대체로 원동전 주간출엽수의 차이가 심하고 원동후 주간출엽수의 차이는 적으며 특히 9월 21일 파종부터 10월 11일 파종까지의 주간출엽수의 차이는 월동전 주간출엽수의 차이에 의하여 나타났다. 4. 월동전 지상부 건물생산량은 조파구에서 많고 만파할수록 적었으나 월동후에는 파종기에 따른 지상부 건물생산량의 차이가 적었으며 생육 재생기부터 출수기까지는 건물생산량이 급증하고 등숙기간에는 증가율이 낮았다. 5. 1$\m^2$당 경수는 대체로 조파한 것이 만파한 것보다, 후파한 것이 박파한 것보다 많았다. 개체당 분얼은 후파할 때는 적고 파종기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박파하였을 때는 파종기에 따른 변이가 컸다. 조파에서는 파종량이 많아 질수록 개체당 분얼수가 현저히 감소되나 만파시에는 파종량의 영향이 적었다. 6. 최고분얼기는 조파할 경우에 일찍 오고 만파할 경우에 늦게 오며 파종량에 따른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빨리 오는 경향이었다. 7. 분얼최성기는 파종기에 관계없이 주간출엽수가 4~6매일 때이었다. 8. 1$\m^2$당수수는 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시비량이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아졌으며 시비량과 파종량을 함께 증가할 때에는 수수의 확보가 용이하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적기파종에서 컸다. 또한 많은 수수를 확보하는 데는 적기 파종이 파종량 증가보다 중요하고 만파시에는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였다. 9. 품종별 파종기에 따른 1$\m^2$당 수수는 대체로 모든 품종에서 만파할수록 감소되었으나 수원18호, 여기, 항미, 부흥는 수원 004, 수원006 칠보 및 영월 6각보다 만파에 의한 감소율이 적었다. 10. 1$\m^2$당 수수와 1$\m^2$당 경수와의 상관 관계를 보면 9월 21일 파종에서는 출수기부터, 10월 1일 파종에서는 월동전에, 10월 11일 파종부터 10월 31일 파종까지는 전 생육기간에서 대체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까지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상관정도가 낮았다. 11. 유효경 비율은 파종기 및 파종량에 따라 33~76%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50%정도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고 파종량에 따른 변이폭보다 파종기에 따른 변이폭이 컸다. 또한 조파에서 유효경 비율이 낮고 만파일수록 높아 가는 경향이었으며 파종량이 증가하면 유효경 비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품종별로는 수원18호, 항미, 여기 및 부흥는 유효경 비율이 높으며 이들 품종들은 만파할 경우의 증가율이 컸고 칠보, 수원004, 수원006, 영월6각은 유효경 비율이 낮고 만파에 의한 증가율도 낮았다. 12. 1수립수는 어느 경우에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파종기에 따라서는 10월 21일(1969), 10월 1일(1970)파종에서 1수립수가 가장 적었으며 이보다 조파하거나 만파할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품종별로는 파종기에 따른 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13. 천립중은 1$\m^2$당 수수와 1수립수에 비하여 시비량, 파종기 및 파종량 차이에 따른 변이폭이 작았으나 년차변이는 컸으며,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천립중은 다소 감소하였다. 품종별로는 차이가 뚜렷하여 부흥과 칠보는 대체로 무거웠고 수원18호, 항미 및 여기는 비교적 가벼웠다. 14. 수원지방의 파종적기는 10월 1일~10월 11일로 인정되었고, 시비량 증가에 따라 수량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조기 파종시의 수량감소를 비료증가로 다소 경감시킬 수 있었다. 15. 파종량 차이에 따른 수량의 변이폭은 시비량이나 파종기차이에 따른 변이폭보다 비교적 적었고, 조파나 소비조건에서는 파종량 차이에 따른 수량 변이가 미미하였다. 또한 파종량은 증가시킬 경우 증비의 효과가 크며 만파시에는 파종량의 증가로 수량의 심한 감소를 보상할 수 있었다. 16. 적정 파종량은 시비량 증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10a당 시비량 10.5-6.6kg 수준에서는 10a당 파종량을 18~26$\ell$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수량의 안정을 기할 수 있었다. 17. 파종적기는 품종별로 다소 달랐으며, 수원006 수원004 및 부흥은 비교적 조기 파종에서 증수되었고 수원18호, 여기 및 항미는 19월 1일경 파종에서 증수를 보였으며 부흥은 만파 적응성이 높았다. 18. 수량과 수수와는 모든 처리에서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는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상관이 높아졌고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수량과 수수의 상관은 낮았다. 수량과 1수립수는 대체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천립중과 수량과는 상관 정도가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