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language therapy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활동이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Fairy Tales on Receiv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Facilities)

  • 류정미;김충명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21
  • 목적: 지적장애인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사용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그림동화를 활용하여 읽기 교육을 지도한 후에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20~40세미만의성인지적장애인 12명이다. 이들은 중재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나누어서 매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를 중재하였다. 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시행한 중재집단에서는 수용어휘의 사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표현어휘의 활용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아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를 지도한 후에는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활용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가 되리라 평가한다.

정상 노인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자발화 산출에서의 언어적 특징 (Linguistic Features of Spontaneous Speech Production in Normal Aging, Alzheimer's Disease)

  • 김정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47-758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정상 노인과 변별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자발화 과제에서의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65세 이상의 정상노인 13명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26명(치매 의심(questionable) 9명, 경도(mild) 치매 9명, 중도(moderate) 치매 8명)을 대상으로 대화하기 및 연속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전체 발화 템포, 주저시간(초단위), 조음 음운 오류, 그리고 문법적 오류를 포함한 네 가지 구어적 요소에 대해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네 가지 요소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전체 발화 템포는 정상노인과 세 치매 환자군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주저시간은 중도 치매에서만, 그리고 조음 음운 오류는 경도, 중도 치매군에서만 증가되었다. 문법적 오류는 정상노인과 비교하여 치매의심군과 중도 치매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상기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상노인과 세 치매 환자군을 가장 변별력있게 구분할 수 있는 구어적 요소는 전체 발화 템포이다. 둘째, 조음 음운능력은 치매의심군에서는 감소하지 않지만, 경도 및 중도치매군에서는 그 수행력이 떨어진다. 셋째, 문법적 오류는 중도 치매환자군에서부터 확연히 증가한다. 향후, 자발화 과제를 통해 의료기관 외의 장소에서도 치매 선별의 용이성을 더할 수 있으며, 담화 차원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원인질환을 가진 치매 환자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Development of smartphone-based voice therapy program)

  • 이하나;박준희;유재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51-61
    • /
    • 2019
  • 본 연구는 음성장애환자를 위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분석,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를 통해 음성치료에 필요한 콘텐츠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기능적 음성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음성치료관련 모바일 콘텐츠는 주로 호흡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도와 노래 순으로 분포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음성치료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13개에 불과하였다. 전문가 및 사용자 수요조사 결과 환자와 치료사 모두 치료실 이외에 장소에서 음성훈련을 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스마트폰기반 음성치료프로그램인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개발하였다. 홈 보이스 트레이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음성치료 및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다. 기존 오프라인에서 훈련한 음성치료활동을 가정에서도 훈련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환자의 음성훈련 기록을 온라인으로 관리하여 음성치료 종결 후에도 지속적인 음성컨설팅을 통해 환자의 음성개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사용자 평가 결과 환자는 홈 보이스 트레이너에서 제공하는 음성치료프로그램의 난이도, 내용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홈 버튼 및 화면 간 연계성에 대한 부분과 같은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음성장애 환자에게 홈 보이스 트레이너를 사용한 임상 적용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음성치료관련 스마트 콘텐츠에 대한 개발 연구와 임상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Linear Precedence in Morphosyntactic and Semantic Processes in Korean Sentential Processing as Revealed by Event-related Potential

  • Kim, Choong-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4호
    • /
    • pp.30-37
    • /
    • 2014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activation sequences related to morphosyntactic, semantic and orthographic-lexical sentences,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orthographic and lexical-semantic deviation processes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The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of 15 healthy students were adopted to explore the processing of head-final critical words in a sentential plausibility task. Specifical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 ERP-pattern to orthographic-lexical violation might show linear precedence over other processes, or the presence of additivity across combined processing components. For the morphosyntactic violation, fronto-central LAN followed by P600 was found, while semantic violation elicited N400, as expected. Activation of P600 was distributed in the left frontal and central sites, while N400 appeared even in frontal sites other than the centro-parietal areas. Most importantly, the orthographic-lexical violation process revealed by earlier N2 with fronto-central activity was shown to be complexes of morphological and semantic functions from the same critical word.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linear precedence over the morphological deviation and its lexical semantic processing based on the immediate possibility of lexical information, followed by sentential semantics. Finally, late syntactic integration processes were completed, showing different topographic activation in order of importance of ongoing sentential information.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에 대한 전침 치료 : 체계적 문헌 고찰 (Electro-Acupuncture on Aphasia after Stroke: A System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하정빈;이수정;양지수;유재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3-339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aphasia after stroke. Methods: A search of OASIS, NDSL, PubMed, Cochrane, and CNKI was executed between 4 January 2021 and 4 February 2021, with no limitation on publication year. Extraction and selection from the studies were made by 3 author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RoB) tool. Results: 10 studies met the selection criteria. As the treatment site for electro-acupuncture, GV20 (Baihui) was used the most. In all studies, the region located on the head was used for treatment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cupoints and areas of scalp acupuncture, and the stimulation was organized into 3 conditions: speed, intensity, and time. The outcome indicators u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language function and the degree of aphasia.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electro-acupuncture with speech rehabilitation therapy for aphasia after stroke was more effective than using speech rehabilitation therapy alone. Conclusions: In this review, electro-acupuncture for aphasia after strok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the previous treatment alone. However, because of limitations, information was not reliable enough.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produce more objective evidenc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elderly(HHIE)로 선별한 난청 노인들의 삶의 질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hearing loss selected by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elderly (HHIE))

  • 이현정;허승덕;황수연
    • 대한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9-45
    • /
    • 2018
  • Objective: The aim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bycusis on the quality of life. Method: 47-elderly wer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suspected hearing impaired group (N=18) and the within normal limits (WNL) group (N=29).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HIE and WHOQOL-BREF scores by age group, and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ter-group relations. Results: The scores in WHOQOL-BREF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group (p=.011): people in their sixties scored $3.7{\pm}.62$, those in their seventies $3.3{\pm}.56$, and those in their eighties $2.8{\pm}.60$,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000),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Conclusi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lowered depending on age and hearing impairment.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임상특성 및 치료경과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COURSES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 정선주;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74-89
    • /
    • 1995
  • 본 연구는 DSM-IV에 의해 선택적 함구증으로 진단된 23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인 특성(인구학적 특성, 임상경과, 발달력, 성격특성, 가족력, 지능지수, 학업성취도), 치료방법 및 기간, 치료경과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군의 남녀 비율은 1 : 4.8로 여아에서 높았으며 발병시 평균연령을 3세 4개월, 치료시작의 평균연령은 7세 7개월이었다. 2) 주산기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아동은 22%였으며 언어발달이 지연되었던 아동은 26%였다. 3세 이전에 주 양육자와의 분리경험이 있던 아동은 26%, 3세 이전에 외상이나 심리적 충격을 입었던 아동은 26%였다. 유뇨증의 병력은 30%에서, 유분증의 병력은 4%에서 있었다. 3) 어머니의 공생적인(symbiotic relationship) 관계에 있는 아동은 61%였고 가정내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영향력이 우세한 경우는 65%였다. 부모중 정신병리나 알콜/약물중독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39%였다. 과거력상 신체적인 학대를 받았던 아동은 26%였다. 4) 환아들의 성격특성중 가장 많은 것은 수줍음(100%)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불안해 한다(83%), 고집이 세다(83%), 아기 같고 의존적이다(65%), 화를 잘 낸다(52%), 조종하려고 한다(39%) 순으로 많았다. 5) 지능검사를 실시한 16명 아동의 평균 지능지수는 88.3이었고 이중 정신지체의 기준은 IQ 69 이하의 아동이 7명, 70 이상인 아동아 9명이었다. 6) 치료방법중 놀이치료를 받은 아동이 65%로 가장 많았으며 약물치료를 받은 아동은 21%, 행동치료를 받은 아동은 8%, 한 가지 이상의 방법을 복합하여 치료받은 아동은 12%였다. 7) 치료종료시 최우수 평가를 받은 아동은 8.6% 였고 우수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30.4% 양호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52%, 불량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8.7%였다. 추적도사의 최우수의 평가를 받은 아동은 21.7%였고 우수는 13%, 양호는 21.7%, 불량은 34.8% 였다. 치료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지능지수로 나타났다. 8) 대상군을 공생형 함구증(symbiotic mutism), 언어공포성 함구증(speech phobic mutism), 반응성 함구증(reactive mutism), 수동-공격성 함구증(passive aggressive mutism)으로 분류하였을때 각각 65%, 8.6%, 12%, 30%였다. 지능지수에 따라 정신지체로 분류된 7명과 정상지능군에 속하는 9명을 비교적 언어발달 및 성격특성, 가족역동, 치료성과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발성 뇌경색으로 인한 거짓연수마비 환자의 연하장애 및 어삽에 유효하였던 한방 치료 1례 - 반하후박탕을 중심으로 (The Case of a Patient with Dysphagia and Dysarthria Diagnosed as Pseudobulbar Palsy Caused by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Banhahoobak-tang)

  • 김수빈;김경묵;서원주;문상관;정우상;권승원;조기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9-14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linical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Banhahoobak-tang in the case of a 57-year-old woman with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causing dysphagia and dysarthria diagnosed as pseudobulbar palsy. Methods: A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and language therapy. We focused on the effect of Banhahoobak-tang by evaluating improvements in symptoms by examining times of aspiration and changes in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scores. Results: After three month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language therapy,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patient's symptoms, including dysphagia and dysarthria.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pseudobulbar palsy in patients. Specifically, herbal medicine (Banhahoobak-tang) could be an effective choice for treating dysphagia.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Acoustic Analysis and Melodization of Korean Intonation for Language Rehabilitation)

  • 최진희;박정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1호
    • /
    • pp.49-6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특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 결과를 음악적 요소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율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근거 기반 음악-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25세의 남성과 여성 각각 30명으로부터 3음절의 두 강세구로 이루어진 6음절 한국어의 음성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평서문과 의문문을 포함하였다. 이를 Praat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음절별로 음향적 속성을 추출하고, 각 음향적 속성,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세구, 억양구에 따라 각 음절의 주파수와 지속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p < .001), 의문문이 평서문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 < .001), 평서문이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 < .001).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 < .001), 지속시간도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 < .001). 또한 조사인 음절의 강도가 유의미하게 세게 나타났다(p < .001).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따라 나타난 음향적 속성을 음악적 요소인 음고, 음가, 악센트로 변환한 선율들을 악보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음절 한국어문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대규모 한국어 음성 데이터의 선율화 시스템 개발 연구를 진행하려 하며, 이는 음악을 활용한 언어재활 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조음복잡성에 따른 자음과 단어의 음향학적 길이 (Acoustic Duration of Consonants and Words by Phonetic Complexity in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 강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67-181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honetic complexity affected the type and frequency of articulation errors and the acoustic duration of consonants and words produced by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nd 20 children without such disorders who were between 3 years 7 months old and 4 years 11 months ol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name what they saw in pictures and their responses were record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articulation errors and the acoustic duration of words were analyzed and words were categorized as being of either 'high' or 'low' phonetic complexity. The acoustic duration of initial and final consonants and vowels following initial consona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articulatory complexity. Results :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produced articulation errors more frequently when saying high complexity words and had longer word duration when saying low-complexity words than children without such disorders.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 in initial and final consonant duration between the groups. but the main effect of articulatory complexity on the duration of both consonants was significa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rticulatory-phonic structure of words influences the speech motor 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When articulating consonants,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had speech motor control ability similar to that of children without such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