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7초

장애학생 통합교육 사회과 교수·학습자료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 분석 (Analysi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pplication for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이옥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사회과 교수·학습자료가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 3~6학년까지 일반 교과서 내용을 장애학생을 위해 교수적합화(adaptation)한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수·학습자료: 사회과」교재를 선정하였다. 사회과 3~6학년 교재의 세부영역은 일반사회, 지리, 역사이며 총 20개 단원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기준은 CAST(2018)에서 제시된 UDL 3개 원리에 따른 9개 항목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과 교수·학습자료는 다양한 행동과 표현수단의 제공 원리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표상수단의 제공 원리와 다양한 참여수단의 제공 원리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이 사회과 자료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나 교과서를 개발하는 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가르치는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Korean parents' perceptions of the challenges and needs on school re-entry during or after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a multi-institutional survey by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 Lee, Jun Ah;Lee, Jae Min;Park, Hyeon Jin;Park, Meerim;Park, Byung Kiu;Ju, Hee Young;Kim, Ji Yoon;Park, Sang Kyu;Lee, Young Ho;Shim, Ye Jee;Kim, Heung Sik;Park, Kyung Duk;Lim, Yeon-Jung;Chueh, Hee Won;Park, Ji Kyoung;Kim, Soon Ki;Choi, Hyoung Soo;Ahn, Hyo Seop;Hah, Jeong Ok;Kang, Hyoung Jin;Shin, Hee Young;Lee, Mee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4호
    • /
    • pp.141-145
    • /
    • 2020
  • Backgroun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going back to school is a key milestone in returning to "normal life." Purpose: To identify the support vital for a successful transition, we evaluated the parents' need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when their children return to school. Methods: This multi-institu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The written survey comprised 24 questions and was completed by 210 parents without an interviewer. Results: Most parents (165 of 206)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physical status (n=60), peer relationships (n=30), academic performance (n=27), emotional/behavioral issues (n=11),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n=4) on reentering school. Parents wanted to be kept informed about and remain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lives and reported good parent-teacher communication (88 of 209, 42.1%). Parents reported that 83.1% and 44.9% of teachers and peers, respectively, displayed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s condition. Most parents (197 of 208) answered that a special program is necessary to facilitate return to school after cancer therapy that offers emotional support (n=85), facilitates social adaptation (n=61), and provides tutoring to accelerate catch up (n=56), and continued health care by hospital outreach and school personnel (n=50). Conclusion: In addition to scholastic aptitude-oriented programs, emotional and psychoso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a successful return to school. Pediatric oncologists should actively improve oncology practices to better integrate individualized school plans and educate peers and teachers to improve health literacy to aid them in understanding the needs of children with cancer.

균형있는 환경 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고등학교 환경 교재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aterial for High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chiece Balanced Objectives)

  • 박진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5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of high school appropriate to Sixth Natinal Education Curriculum. In view that ultimat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forming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s and the goals of values and behaviors are as important as knowledges and skills, A new environmental text of high school level was developed and it was based on analysis of seven tex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Fifth Korean Curriculum. This text have seven units, 1.Habitates : What're the Meanings?, 2.Nuclear Energy: Can't be Avoid?, 3.Acid Rain : What're the Messages", 4.Ethanol : Is this Future Fuel?, 5.Wastes : A New War!, 6.What're the National and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7.Our Water: Can Drink, Really? This text was stressed equally in goals of fou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voided from the array of knowledges. Therefore includ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nd independent actions of students. 'Open-ended value learning' and 'free behavior learning' in text were special learning parts for aquisition of values and formation of behaviors. To verify the effects of new developed environmental text, the direct learning was carried out by 286 students in total. Post 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per each un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about four goal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by 50 teacher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were as follows. For validity of selecting contents for units, 74% of respondents replied positively. For class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four goal-groups, 90% replied positively in validity and 82%, in utility. For validity of various teaching strategies, 88% and for the degree of including student-centered independent actions, 86% replied positively. For importances and expected effects of 'open-ended value learning' and 'free behavior learning', showed positive responses respectively, 88%, 92%. Therefore this text is effective to acheive four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equally.

  • PDF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Multimedia Rich Project Based Learning)

  • 이영민;류진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3-23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이 인식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J기계공업고등학교 환경에서 시행된 현장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3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관찰,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백분율로 처리 되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효과로서 전공교과내용의 종합적 이해, 컴퓨터 멀티미디어 처리능력과 자료 탐색 및 조직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동기, 학습자들 간의 협동 활동, 학습 참여 정도, 학습의 만족감, 학습에 대한 자신감,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학습 흥미 등이 높아진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에서 황사에 관한 환경교육 교재의 개발과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xt Book about the Asian Dust in the Elementary School)

  • 천종숙;문윤섭;허양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51-6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in order to solve its problem and to improve attitude related to the Asian dust.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ree groups who composed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recognized the serosit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sian dust form TV, and that such problem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of the desertification and the global warming. Especially the student group insist that the cause in Asian dust is due to the natural phenomena or industrialization. Second, as a result in analysis on the Asian dust through both textbooks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contents concerning Asian dusts was little or noting. In addition, in the subjects of Science, Society and Health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explained partially as one of the air pollutants. Third,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on the Asian dust was developed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The textbook is composed of four contents on the material which is harmful of the human health and life in Asian dust, the special news of Asian dust, and the best answer to solve Asian dust as well as the cause and the source of Asian dust. Forth, as a result in classes using the environmental textbook developed by four themes about the Asian dust, its application i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 value in the view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They was more improved in 37%, 14%, and 15%, respectivel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textbook related to Asian dus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right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which makes an effort on its effective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PDF

웹을 기반으로 한 계발 활동 편성 프로그램 개발 -제7차 교육과정에서 ICT 활용에 관한 연구 : 특별활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nlightenment Activity Composition Program Based-on Web)

  • 임경희;양권우;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79-287
    • /
    • 2002
  • 오늘날 사회가 점차 세계화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학교교육도 21세기 사회에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에 7차 교육과정에서는 특별활동을 3대 영역에서 5대 영역으로 확대 개편하는 한편, 학생들의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계발 활동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능력 적성에 따른 계발 활동 조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기초에 계발 활동 조직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능력과 적성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일 뿐 아니라,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하여 계발 활동을 효과적으로 조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중지능 이론에서는 현재까지 9가지 지능을 소개하고 있는데, 각각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연주의적 지능, 실존지능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MIDAS 검사를 바탕으로 7가지 지능 영역만을 다루어 웹을 통해 다중지능을 검사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다중지능 검사 결과를 토대로 피검사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계발 활동 내용을 소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적절히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계발 활동 편성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한편,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 학생들에게 적용해 본 후, 적용 전과 후의 안내된 계발 활동 만족도를 분석한다.

  • PDF

Peirce의 귀추법 양식을 이용한 교육 대학생들이 생성한 가설의 특징 분석 (The Features of the Hypotheses Gener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the Form of Peirce's Abduction)

  • 정용재;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26-140
    • /
    • 2006
  • 본 연구는 '가설 생성 과정에서 귀추법 사용을 유도하는 틀', 즉 '귀추법 양식'을 고안하고, 그 틀을 사용하여 생성한 가설의 특징을 틀을 사용하지 않고 생성한 가설의 특징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귀추법 양식'은 Peirce가 제시한 귀추법의 의미와 형식에 관한 고찰을 통해 (i) 의심의 대상을 명기하는 단계, (ii) 의심의 대상을 믿음의 대상이 되게 하는 설명을 명기하는 단계, 그리고 (iii) 그 설명을 가설로 명기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예비 교사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대상에게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게 한 결과, 고안된 '귀추법 양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한 경우는, 첫째, 가설의 의미를 혼동하거나 충실히 반영하지 못한 경우로 볼 수 있는 유형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적었고, 둘째, '부분적으로 유사성을 지닌 다른 현상이나 상황에 관한 기존 지식으로부터 유추하여 문제 상황의 원인에 관해 설명하는 유형'의 비율이 특정한 틀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결국, '귀추법 양식'을 사용하여 생성된 가설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현상의 원인에 관한 설명과 지식의 확장 초래'라는 가설의 본래적 의미에 좀 더 충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귀추법 양식'이, 그 형태가 비교적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과학 수업 현장에서 바람직한 형태의 가설이 생성되도록 돕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한다.

  • PDF

미국 다문화 특수학급의 학부모 및 전문가의 의사소통, IEP, 교수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Professionals Communication, IEP, Teaching Strategies in the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 김현욱;김정민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미국의 다문화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와 학부모 및 전문가의 의사소통이 개별화 교육계획(IEP)과 교수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관련 변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변인 사이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2015~2016년에 걸쳐 미국의 초 중 고 특수교사 406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MOS 21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IEP와 교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는 전체적으로 -.044에서 .489로 높은 유의수준을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전략과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전문가의 의사소통보다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489)를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은 개별화 교육계획과 교수전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전문가와의 의사소통은 교수전략에만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문화 장애학생에 대한 개별화 교육계획의 수립은 학부모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해 보다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수전략은 전문가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증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차 한국에서도 적용되어야 할 다문화 특수교육에서, 다문화 장애학생의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의견이 IEP와 교수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역코스로 회귀하였다.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G지역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Reading Effectiveness - represented mainly from special high School in G city)

  • 정대근;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5-25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독서태도, 독서 롤모델(부모, 교사, 친구), 도서관 영향(도서관이용, 도서관방문, 도서관심리)을 제시하였고, 독서유효성과 독서교육영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제시한 영향 변인들의 모든 차원에서 영향의 정도에 따라 독서유효성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독서태도와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독서유효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 testing for fragile X syndrome in school for severely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in Korea

  • Hong, Sung-Do David;Lee, So-Young;Oh, Myung-Ryurl;Jin, Dong-Kyu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2권2호
    • /
    • pp.83-86
    • /
    • 1998
  • Though Fragile X syndr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inherited causes of mental retardation, it is not much detected yet in Korean population. One of the reason may be that the syndrome is not well known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to the clinicians in this country. Thus, molecular test was undertaken to screen out fragile X syndrome in 122 children of two Korean schools for emotionally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all boys, previously known as having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with or without mental retardation. Southern blot analysis of peripheral blood showed the abnormally enlarged (CGG)n repeat sequence associated with fragile X syndrome in two childre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NA testing for fragile X syndrome is warranted for Korean high risk population and that more concern about this syndrome is needed for the professionals who work f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issues involved in genetic counseling for fragile X syndrome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