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ul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Armillaria mellea on Oak Sawdust Medium Covered with Ground Raw Carrots

  • Shim, Jae-Ouk;Chang, Kwang-Choon;Lee, Youn-Su;Park, Cheol-Ho;Kim, Hey-Young;Lee, U-Youn;Lee, Tae-Soo;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06-208
    • /
    • 2006
  • To produce an artificial fruiting body of Armillaria mellea on the oak sawdust medium, seven strains of A. mellea were used. The top surface of oak sawdust medium covered with ground raw carrot was inoculated with each of 7 strains and cultur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A. mellea completely colonized the medium from top to bottom. Then, the mycelia which were fully cover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dium were scratched slightly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the 7 strains of A. mellea were transferred to the growth chamber under the illumination (350 lux) of 12 hours and relative humidity of $85{\pm}5%$ in a day and then cultured at $16{\pm}1^{\circ}C$. Only A. mellea IUM 949 could form primordia on the sawdust medium, but the other strains did not make primordia at the same condition. The primordia of A. mellea IUM 949 were formed 10 days after complete colonization of the medium and the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7 days after a primordial form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ed that IUM 949 strain might be a good candidate for mass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of A. mellea.

초등학교 학생ㆍ예비 교사ㆍ현직 교사의 실험 기구 명칭과 용도에 대한 이해 (Elementary Students사,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사 Understanding on the Name and use. of Labware)

  • 여상인;이병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2004
  •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urvey on the name of 13 basic experimental instruments us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 Schale, evaporating dish, mortar & pestle, beaker, erlenmeyer flask, spuit(medicine dropper), graduated cylinder, balance, spatula, dropping bottle, gas collecting bottle, funnel, alcohol burner, and their uses. To implement this study,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tur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attended at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knew correct name of experimental instruments were not hig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es were especially very low. In this study, we found several reasons which they wrote inaccurately: the name to be represented at the textbook that they had studied, the confusion of the name about a fortis pronunciation, the recognition as the vocabulary like flask and cylinder to be meaningless, the habit to say in an everyday life, wrong expression in the internet and general book. All respondents had a wide range of perceptions of uses for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Their understanding of uses for evaporating dish, erlenmeyer flask, balance, gas collecting bottle were very poor. And then most of them understood that graduated cylinder, beaker, and erlenmeyer flask were tools to measure the volume of solution or liquid, so they did not exactly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their uses.

  • PDF

한국산 관박쥐 (Rhinozophus ferrumequinum korai)와 긴가락박쥐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정자의 형태 비교 (Morphological Comparison of Spermatozoa in the Korean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and Long-Fingered Bat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 김상식;이정훈;손성원;최병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10
    • /
    • 1999
  • 본 연구는 정자저장형에 속하는 한국산 관박쥐와 지연착상형에 속하는 한국산 긴가락박쥐 정자들의 형태를 각각 비교 관찰하였다. 정자두부의 형태에 있어서, 관박쥐는 긴 탄환형이었고, 긴가락박쥐는 주걱형이었다. 관박쥐는 두부의 2/3부분이 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긴가락박쥐는 1/2부분이 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Segmented column들은 관박쥐의 경우 $12\sim14$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긴가락박쥐의 경우 $10\sim12$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satellite fiber의 경우 관박쥐는 중편부의 외측섬유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지만, 긴가락박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관찰 결과에서 볼 때 이들 박쥐정자의 외형 및 내부 구조적 특징들이 생식패턴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EP Activity for the Education of Experimental Apparatus at Elementary School)

  • 전소연;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79-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교육을 위한 TEP 활동(Trigger interest; 흥미 유발-Explore experimental apparatus; 실험기구 탐색-Practice experimental apparatus; 실천적 사용)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과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실험기구 중 4가지(비커, 전자저울, 유리막대, 약숟가락)를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TEP 활동을 통해 단편적인 사용법이나 주의사항만을 알고 있던 학생들이 실험기구의 생김새에 따른 특징과 연관 지어 실험기구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제로 사용해보는 활동을 통해 실험기구 사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평소 과학 수업에서의 모습을 관찰한 결과 실험기구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적절하게 사용하려는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 그 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에서 처음 배우게 되는 실험기구에 대한 지식적 이해와 사용 능력은 초, 중, 고등학교를 지나 실험이 주로 이루어지게 되는 대학교까지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용도와 사용법으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실험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확률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험기구에 대한 교육을 초등 과학 교육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실제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자료나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령느타리 신품종 '보람'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the new cultivar of Pleurotus nebrodensis 'Boram')

  • 김연진;하태문;김정한;최준영;이채영;이찬중;임갑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5-149
    • /
    • 2023
  • 일부 버섯품목의 편중재배 해소를 목적으로 경쟁력이 있고 상품성 있는 백령느타리를 육성하고자 하였다. 국내 외에서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교배하여, 특성검정 및 생산력 검정, 농가실증의 과정을 통해 육성된 백령느타리 신품종 '보람'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6~29℃, 발이 및 생육온도는 15~18℃이고, 병재배 기준으로 재배일수는 95일로 대조품종(우람)과 유사하였고, 형태는 둥근형으로 주걱형인 대조품종(우람)과 구별되었다. 병재배에서 자실체 갓의 직경과 두께, 대굵기는 각각 73.5 mm, 15.7 mm, 37.0 mm로 대조품종에 비해 갓 직경이 작지만 갓 두께와 대 굵기는 두꺼웠다. 병당 수량은 1,100 cc(∅ 75 mm)병 기준 181.1 g으로 대조품종(180.4 g)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기도 여주 소재 병재배, 봉지재배 농가에서 실증한 결과, 재배방법과 배지량의 차이가 자실체 크기와 형태,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품종 '보람'을 대상으로 대치배양 하였을 때 대치선이 뚜렷하고, 균사체의 PCR 증폭 결과 밴드패턴이 모본 및 대조품종과 다른 양상을 보여 교배종임을 확인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 종자산포 및 발아 특성 (Diaspore, seed dispersion 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two myrmecochrous spring ephemerals -Jeffersonia dubia and Corydalis remota-)

  • 김회진;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5-491
    • /
    • 2017
  •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 특성, 종자분산 및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2014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열매 수집, 전파체의 전처리에 따른 포장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깽깽이풀의 전파체는 5mm 정도의 황갈~암갈색의 장타원형 종자에 부정형의 백색 지방체가 붙어 있고, 전파체는 15.86mg, 종자는 13.46mg, 지방체는 2.40mg 등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지방체의 중량비는 15.13% 였다. 현호색 전파체는 지름이 1.2mm 정도의 광택이 나는 검은색 난형의 종자에 주걱형의 백색 지방체가 붙어 있고, 전파체는 2.58mg, 종자는 2.05mg, 지방체는 0.53mg 등의 평균값을 보였으며, 지방체의 중량비는 20.54% 였다. 털왕개미와 곰개미가 깽깽이풀 전파체를 물어가고, 곰개미와 고동털개미가 현호색 전파체를 물어갔다. 깽깽이풀의 발아율은 지방체 제거 유무에 무관하며, 전처리와 파종 시기 간에는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6월 20일에 파종에서, 깽깽이풀은 평균 발아율은 65%, 8월 19일 파종에서는 17.50%, 10월 20일 파종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현호색의 발아율은 지방체 제거 유무간에 5%, 파종시기 간에는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무처리구에서 평균 54.17%가 발아하였고, 지방체를 제거한 처리구에서 평균 35.0%가 발아하였다. 6월 20일에 파종에서 발아율은 75%, 8월 19일 파종에서 53.75%, 10월 20일 파종에서 5.0%가 발아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 식물종의 발아는 성숙하여 종자가 낙하하는 시기에 개미들이 개미집으로 부지런히 물어가는 것을 고려할 때 채종 후 곧바로 파종하는 것이 이들 식물종들이 진화해온 특성에 적합한 방법이며, 가장 높은 발아율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춘계단명 식물종들은 개미와의 상리공생을 위하여 지방체를 생산하여 종자에 부착하고, 개미에 의하여 적온 적습한 환경조건, 개미집,으로 이동되어 배가 충분히 자라서 이듬해 봄에 발아에 성공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소규모 한과제조업체의 제조공정에 대한 미생물 오염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manufacturing processes for small-scale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nufacturers)

  • 김솔아;이정은;박현진;박미선;최송이;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93-5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과자인 유과와 강정을 원·부재료와 기기 및 도구, 작업자의 개인위생, 제조공정별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을 분석하였다. 유과제조 과정 중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척 방법과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저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강정의 제조 공정 중 튀밥에서 일반세균수 1.2 Log CFU/g, 완제품의 경우 3.7 Log CFU/g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유과의 제조 공정 중 일반세균수는 불림공정에서 일반세균 최대 6.5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튀김공정에서 1.3 Log CFU/g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완제품에서 4.0 Log CFU/g 수준으로 재 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조과정 중에 작업도구와 기기 또는 작업자 등에 의한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작업 도구인 주걱의 경우 일반세균 약 4.4 Log CFU/g, 대장균군 4.2 Log CFU/g으로 매우 오염도가 나타났다. 유과의 불림단계에서 7일동안 일반세균 수가 최대 10 Log CFU/g 이상, 대장균군의 경우 6.8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손 또는 도구를 이용한 세척 방법과 흐르는 물에 세척한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손을 이용하여 수돗물로 10회 세척하였을 때 일반세균 5.0 Log CFU/g, 대장균군 2.8 Log CFU/g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규모 업체의 전통 한과 제조 시 작업자나 작업 도구 및 기기 사용 후 세척 및 소독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완제품의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저감화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