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temporal entrapm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자녀 연령별 여성의 도시기회 접근성의 시.공간적 구속성에 관한 연구 (Women's Spatial-Temporal Entrapment in Access to Urban Opportunities by Child Age)

  • 김현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58-37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연령대에 따라 남녀간 그리고 여성 집단간에 차별화된 도시기회 접근성 경험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미국 Portland Metro의 개인통행자료를 이용해 시간지리학적 분석틀에 기초한 GIS-기반 지오컴퓨테이션을 통해 시 공간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접근성의 시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젠더화된 접근성 경험 양상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시간제근무 비율이 훨씬 높아 시 공간 재량권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남성보다 접근성 수준이 높지 않았다. 이는 여성에게 또 다른 제약조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젠더 불평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여성의 전근성 공간이 남성에 비해 훨씬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주로 형성되는 패턴은, 모든 여성집단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집약적 육아부담을 갖는 영 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에게서 관찰되었다. 남성은 자녀 유무나 연령대에 상관없이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여 여성과 대조를 이루었다. 자녀가 없거나 초등학생 이상의 자녀를 둔 여성은 남성과 유사한 접근성의 시 공간 패턴을 보여, 시 공간적 구속성(spatial-temporal entrapment)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여성의 접근성 경험은 성별 즉 남녀(sex)의 문제라기보다는 젠더(gender) 즉 사회적 성 역할(gender roles)과 연관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직장과 자녀의 탁아/교육시설은 집과 더불어 접근성 공간을 결정짓는 중요한 공간적 축인데, 영 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은 남성에 비해 훨씬 집에서 가까운 직장을 다니며 또 그보다 더 집에서 가까운 탁아시설을 주요 축으로 접근성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시 공간적 구속성이 극대화되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nking Modernity Historically: Is "Alternative Modernity" the Answer?

  • Dirlik, Arif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1호
    • /
    • pp.5-44
    • /
    • 2013
  • This essay offers a historically based critique of the idea of "alternative modernities" that has acquired popularity in scholarly discussions over the last two decades. While significant in challenging Euro/American-centered conceptualizations of modernity, the idea of "alternative modernities" (or its twin, "multiple modernities") is open to criticism in the sense in which it has acquired currency in academic and political circl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Asian societies suggests that the search for "alternatives" long has been a feature of responses to the challenges of Euromodernity. But whereas "alternative" was conceived earlier in systemic terms, in its most recent version since the 1980s cultural difference has become its most important marker. Adding the adjective "alternative" to modernity has important counter-hegemonic cultural implications, calling for a new understanding of modernity. It also obscures in its fetishization of difference the entrapment of most of the "alternatives" claimed--products of the reconfigurations of global power--within the hegemonic spatial, temporal and developmentalist limits of the modernity they aspire to transcend. Culturally conceived notions of alternatives ignore the common structural context of a globalized capitalism which generates but also sets limits to difference. The seeming obsession with cultural difference, a defining feature of contemporary global modernity, distracts attention from urgent structural questions of social inequality and political injustice that have been globalized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regime of neoliberal capitalism. Interestingly, "the cultural turn" in the problematic of modernity since the 1980s has accompanied this turn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during the same period. To be convincing in their claims to "alterity", arguments for "alternative modernities" need to re-articulate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 to their structural context of global capitalism. The goal of the discussion is to work out the implications of these political issues for "revisioning"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moder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