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soci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8초

Reduction of Economic Disparities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Based on Inclusive Development

  • NURLANOVA, Nailya K.;SATYBALDIN, Azimkhan A.;BRIMBETOVA, Nursaule Zh.;KIREYEVA, Anel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2호
    • /
    • pp.299-30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concepts of inclusiv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spatial context, assessment the dispariti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and substantiate the main mechanisms for overcoming them. In this research, authors propose the methodological tools for presenting a standard form of evaluation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gions of Kazakhstan. In this study used methods, which based on measuring disproportions between the level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as well as disproportions between the republican and regional levels. According to the author's methodological approach, complex and integral indexes have calculated over the period 2012-2017 for a number of indicators adapted to the conditions of Kazakhstan. The calculated indexes proposed to use as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according the obtained indexes and the results of their ranking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rograms and management decisions. This will improve the targeted support of the population in backward regions in order to ensure inclusive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GIS를 이용한 범죄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rime Analysis using GIS)

  • 전재한;양효진;권재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3-7
    • /
    • 2007
  • 현대사회는 지능적으로 고도화 되는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다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컴퓨팅 기술과 GIS 기술을 이용한 범죄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려는 연구는 범죄 분야에서 최근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적인 특성이 나타나는 지역을 선정하여 범죄분포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범죄는 발생 빈도가 높은 폭력, 절도, 강도, 성폭행의 범죄에 대해서 재구성하였으며 변수 도출을 위한 이론적 배경은 생활양식-일상이론과 환경범죄학을 기초로 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Hot spot 기법을 이용하여 범죄의 분포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버퍼 분석을 하여 범죄 요인과 범죄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통하여 최종적인 범죄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범죄율이 높은 지역을 공간적으로 선정할 수 있으므로 범죄의 예방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GIS를 활용한 카르스트 지역의 싱크홀 민감성 분석: 삼척시를 중심으로 (GIS Based Sinkhole Susceptibility Analysisin Karst Terrain: A Case Study of Samcheok-si)

  • 안세진;성효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89
    • /
    • 2017
  • Sinkholes are key karst landforms that primarily evolve through the dissolution of limestone, and it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roads, buildings, and other man-made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ea susceptible to sinkhole development using GIS and to identify potential danger area from sinkholes. Eight sinkhole related factors (slope angle, distance to caves, distance to faults, bedrock lithology, soil depth, drainage class, distance to mines, and distance to traffic routes) were constructed as spatial databases with sinkhole inventory. Based on the spatial database, sinkhole susceptibility maps were produced using nearest neighbor distance and frequency ratio models. The maps were verified with prediction rate curve and area under curv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nearest neighbor distance and frequency ratio models predicted 95.3% and 94.4% of possible sinkhole locations respectively. Furthermore, to identify potential sinkhole danger area, the susceptibility map was compared with population distribution and land use map. It has been found that very highly susceptible areas are along Osipcheon and southeast southwest part of Hajang-myeon and south part of Gagok-myeon of Samcheok-si. Among those area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potential sinkhole danger areas are Gyo-dong, Seongnae-dong, Jeongna-dong, Namyang-dong and Dogye-eup. These results can be useful in the aspects of land use planning and hazard prevention and management.

자연휴양림의 성격과 형성과정 (A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Recreation Forests in Korea)

  • 하경량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5-119
    • /
    • 2002
  • 본 연구는 1980년대 말부터 새로운 관광 및 여가활동 공간으로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자연휴양림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형성과정 및 공간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 동안 자연휴양림의 개념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cdot}$분석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의 형성과정을 시${\cdot}$공간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연휴양림의 성격은 자연지향적 산림이자 휴양과 자연교육, 산림생산과 산주의 소득 기능을 수행하는 산림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형성과정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활동 변화와 관광형태 변화, 그리고 공간분포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산림의 분포와 소유관계, 시장과의 접근성 등 공간이 갖고 있는 자연적${\cdot}$사회적 요인임이 밝혀졌다.

  • PDF

GIS를 활용한 범죄의 공간적 군집패턴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Feature and Pattern of Crime using GIS)

  • 전재한;권재현;양효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9-403
    • /
    • 2006
  • To deal with the modem intellectual criminal acts, various efforts are tried. Especially, it is not difficult to watch the recent activities to analyze the criminal characteristics spatially using computing and GIS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spatial features and patterns of crime are investigated. The crime is reconstituted with respect to assault, larceny, robbery, and rape, then the variables are derived based on the theory of criminology. The kernal density analysi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riminal distribu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criminal causes and the criminal outbreak is examined by buffering analysis. In addition, the land price and land usages are correlated with social-economic factors of criminal patterns.

  • PDF

다트판형 공간분할 기법을 이용한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분석 (Geo-spatial Analysis of the Seoul Subway Station Areas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s)

  • 조재희;백의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9-150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uman distribution in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using geotweets and subway ridership data. Eight stations were selected from the districts of Gangnam and Gangbuk. Geotweets located within a 600-meter radius of the central coordinates of each station were extracted, and distances between the center of station and each tweet location were calculated. Donut-shaped dimension and pie-shaped dimension were generated,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formula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 respectively. By combining the two dimensions, Dartboard-shaped space division is created. Popular places within the subway station areas identified from this research are almost the same as the current well-known popular places, and this is an important case showing that people send tweets from various places where they engage in daily activities. We expect this study can be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social scientists who use spatio-temporal or GPS data for their research.

시설물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 계량 분석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ype of Facilities)

  • 서민송;유환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9-141
    • /
    • 2019
  •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에는 많은 인구와 시설물들이 증가하고 집중이 심화함에 따라 재해와 재난에 취약함을 나타낸다. 특히, 화재는 우리나라의 도시 내에서 교통사고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진주시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화재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먼저 공간 자기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 진주시 화재 발생의 공간 분포 패턴을 파악한 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인문 사회 요인과 물리적 요인 간의 공간적 종속성 및 비정상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와 각 요인별 위치를 고려하여 공간 가중치를 활용한 OLS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진주시 화재 발생의 LISA분석 결과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용도지역은 중심상업지역, 공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적 변수 및 물리적 변수를 통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의 최종 모형으로 도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공간가중치를 적용하여 OLS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화재 발생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단독주택, 판매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 가구수의 순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 지역의 시설물별 화재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화재 안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의료서비스의 분포 특징 분석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rvices in Korea)

  • 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2-2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의 공간분포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조사하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한 공급의 공간적 패턴 분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격차문제를 지역간과 지역내의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수를 고려한 상태에서도 의료 서비스의 공급이 대도시 및 경제적 중심지에 집중 분포하고, 촌락 및 경제적 주변지역은 크게 미흡한 상태여서 공간적 격차가 매우 심하다. 이러한 공간적 격차는 하나의 도시 내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병원시설의 규모별 분포 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수의 관계는 기존의 병원시설 입지계획 모형들이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계층적 구조보다는 자연계 및 사회 현상의 분포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질서로 밝혀진 법칙과 유사한 분포 함수를 보인다. 즉, 병원 규모에 따른 분포에 격차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3단계로 구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시설의 분포는 규모에 뚜렷한 격차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병원시설의 규모와 분포 수가 보이는 특징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분포가 보여 주는 특징과 함께 앞으로 바람직한 의료서비스 시설 입지계획을 위한 모형 정립에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재중.재미.재일동포의 거주지 분포와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Occupational Composition in China, United States, and Japan)

  • 한주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9-234
    • /
    • 1998
  • 본 연구는 소수민족이 이민국에서 부정적인 면만을 나타낸다는 종래의 연구에 대해 긍정적인 면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해외동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중국 미국 일본을 대상으로 해외동포의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인구규모상 제1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상업이, 제2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제조업이 가장 특화된 직업이고, 제3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은 제1, 2위 도시를 포함하는 각 지역 특화직업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인구규모상 제1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전문직중인 법조인, 의료인, 종교인, 교육자 등이 특화직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외동포는 종래 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앞으로는 경제적인 바탕위에서 우리동포의 강한 교육열로 사회적 지위향상을 위해 노력함 것으로 생각되어 인구규모상 수위도시를 포함하는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화이트 칼러의 진출이 두드러질 것이다.

  • PDF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