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use

검색결과 3,469건 처리시간 0.028초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CA-Markov 기법에 의한 미래 토지이용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atial Scale and Resolu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using CA-Markov Technique)

  • 김성준;이용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8-7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 시계열 영상으로 CA-Markov 기법에 의한 토지이용의 예측시 면적규모 및 공간해상도가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미래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다. 분석지역의 면적규모를 $31.26km^2$부터 $84.48km^2$까지 달리하면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적용면적의 규모는 전체정확도에서 약 11% 차이를 보이면서 예측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공간해상도는 10m, 30m, 50m, 100m, 150m의 해상도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30m의 공간해상도가 예측한 도심지의 총 면적과 도심지의 공간적인 분포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1996년과 2001년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CA-Markov기법으로 예측한 2004년의 토지피복결과와 2004년의 영상으로 최대우도법에 의한 토지피복결과를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한 후, 2030년, 2060년, 2090년에 대한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였다. 현재를 기준으로 미래(2030, 2060, 2090)의 토지이용 면적변화는 도심지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산림의 경우는 크게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면서 예측되었다.

  • PDF

아산시 국지적 난개발 발생 가능지역 탐색 방안 실증연구 (Examination of Potential Unplanned Land Use in Asan City with a Spatial Analysis Method)

  • 이경주;임준홍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69-81
    • /
    • 2022
  • 무계획적 토지이용 즉, 난개발은 다양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초래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경계를 중심으로 난개발로 인한 상당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경험한 바 있다. 무계획적 토지이용은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무계획적 토지이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난개발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가 지속되지 않도록 법·제도적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계획적 토지이용이 집중된 공간 군집지역을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탐색하기 위한 공간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아산시에서 발생한 개별 개발행위에 실증·적용하여 난개발 발생지역을 찾아내고, 지자체 수준에서 중장기 성장관리전략을 수립할 때 의사결정 지원정보로서 활용성을 살펴본다.

Research on Vertical Space System of Mixed-Use Complex

  • Wang, Zhendong;Wang, Yinp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53-160
    • /
    • 2015
  • As the predominant mode of vertical urban development in China, mixed-use complexes provide the optimal case for the research of sustainable and vertical urbanism. This paper reviews three typical mixed-use complexes with various vertical space systems in Shanghai via the combination of field observation, questionnaires and software analysis. It then proceeds to determine which vertical space system is most effective for encouraging sustainable vertical urban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efficiency. Finally, it concludes with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capabilities of the design features of a mixed-use complex: to create external dimensional-connections, to create multiple internal connections, and to organize overall composite functions.

토지이용의 상충성 해결을 위한 지도학적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Cartographic Models for the Resolution of Conflicting Land Use)

  • 이기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139
    • /
    • 1994
  • 지형공간정보체계와 지도학적 모델링 기법이 전형적인 토지이용계획과정을 개선시키는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미국 국립산림지역에서는 ORV전용도로, 산림 생산지, 산림 우송도로 및 야생동물 서식처 동의 토지이용이 복합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복합적 토지이용에서 나타나는 상충성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적인 지도공간 모델이 개발되었다. 서술적 모델링과 기술적 모델링기법은 복합적 토지이용의 결정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

  • PDF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s for Improving Mobile Source Atrmospheric Emission Inventories

  • Shin, Tae-joo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43-150
    • /
    • 1999
  • Mobile source emissions are important inputs to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s. Since most mobile source emissions are calculated at the county-level, these emission should be geographically allocated to the computational grid cells of a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 prior to running the model.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spatial allocation of these emissions has been to use a "spatial surrogate indicator" such as population, since grid-specific emission calculations are very labor-intensive and expensive, plus the necessary data are often not available for such grid resolutions. Accordingly, new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for mobile source emissions(specifically for highway emissions) were develop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tools due to the spatially variable nature of mobile source emissions. These newly developed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appear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allocation of highway emissions than the population surrogate indicator.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conventional spatial allocation method underestimates the maximum levels of air pollutant emmissions.mmissions.

  • PDF

Study of a GIS Based Land Use/Cover Change Model in Laos

  • Wada, Y.;Rajan, K.S.;Shibasaki, R.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66-268
    • /
    • 2003
  • This is based on the AGENT-LUC model framework. Luangprabang Province has the largest percentage of shifting cultivation area in Laos PDR. The model simulates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the shifting cultivation in the study area, using a GIS database while the total area of shifting cultivation is controlled by supply and demand balance of food. The model simulation period is from 1990 to 1999, at a spatial resolution of 500m. The results are evaluated using statistical data and remote sensing images. Through the valid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trends simulated agrees to that of statistical data and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are also replicated satisfactorily.

  • PDF

공간적 의사결정을 위한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및 활용 (A Design and Practical Use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Spatiall Decision Making)

  • 박지만;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39-252
    • /
    • 2005
  • 본 연구는 대용량의 공간자료에서 의미 있는 지식을 탐색 및 발견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공간적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를 기반으로 실험적 원형 시스템(Pilot Tested System)을 구현하여 의사결정자와 분석가 사이에서 특정주제에 적합한 다차원적 분석을 위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눈송이 스키마모델(snowflake schema model)을 활용하였다. 눈송이 스키마는 공간자료와 연계할 경우 기존 스타 스키마모델(star schema model)보다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분석중심의 설계방안이다. 또한 눈송이 스키마모델의 평가를 위해 백화점 거래사례를 통해 실험적 시스템을 구현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목표마케팅 지역설정이며, 의사결정자와 분석가의 양방향통신이 가능한 인터넷상담시스템이다.

  • PDF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결정 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Civilian City Gas Demand Considering Spatial Correlation)

  • 박은비;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3권1호
    • /
    • pp.59-86
    • /
    • 2024
  • 최근 도시가스 수요에 관한 연구는 광역별, 지역별로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때 인접지역이 가지는 사회구조의 유사성과 공급 인프라의 밀집성은 지역 간 미시적인 관계를 가지는 군집성과 공간적 상관성을 유도한다. 이에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에 대해 34개 도시가스사의 관할지역을 기준으로 총 54개의 지역으로 구분한 후 공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전역적, 국지적 관점에서 양의 공간적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4개 지역에 대한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를 패널데이터로 구성하여 공간패널회귀분석과 일반 패널회귀분석을 비교하였으며, 오차에 공간적 효과가 존재하는 공간오차모형(SEM)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한 지역의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가 인접지역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GIS를 이용한 도시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 파악 방법 - 강남 신시가지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methodology of spatial locational character and change of urban micro land use , with GIS analysis , in the case of Kangnam , Seoul)

  • 강병기;권일;김태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27-41
    • /
    • 1997
  • 토지이용계획은 도시계획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문이며, 다른 부문별 계획의 시발점이 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다른 부문별 계획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바람직한 토지이용계획은 현실세계에서 관찰되는 토지이용의 행태와 메카니즘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토지이용입지와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과 시계열적 토지이용현황 자료들을 토지이용정보체계로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제?고 토지이용정보체계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입지특성 및 변화과정에 대한 공간적 분석 및 해석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IS를 이용한 토지이용정보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을때, 도면정보의 손쉬운 정량화가 가능하며, 도면정보와 속성정보를 결합하여 동시에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분석의 결과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도 가능하여 분석의 결과에 대한 설명력을 보다 객관화하고 계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GIS와 기존의 각종 통계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분석할 수 있어 분석의 유의도, 잔차 등을 통합된 수치만이 아니라 모형에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를 즉시적으로 공간화하여 시현해보고 현실과 비교해 봄으로써 결과의 지역적 편차를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모형의 수정 및 개선이 용이하고 지역적 편차의 원인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도시 복합용도시설의 건축적 '공공성' 요소에 관한 연구 - 일본 복합용도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ublicity in the Mixed-use Facilities - Focused on the Mixed-use Facilities in Japan -)

  • 박정아;원선영;이효창;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4-269
    • /
    • 2008
  • The usag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ublicity expressed in the spaces of mixed-use facilities in Japan.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1) preparatory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review to extract the elements of architectural publicity 2) A survey, to check architectural publicity elements 3) Based on the elements of architectural publicity, each mixed-use facility was evaluated; 4) Spaces of the facilities were classified based on Kevin Lynch's. The Image of the City el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mixed-use facilities Include aspects of "space use aspect" and "space structural aspect". Second, the entrance areas of the facilities were characterized by strengthened spatial legibility and sense of area. Third, the paths were characterized by visual openness, accessibility, inter-relatedness, and space amenity, Fourth, the spaces that perform certain functions within the facilities were characterized by improved space amenity, convenience, and social interchange. Fifth, the nodes we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social interchange and spatial transferability. Sixth, the landmark spaces were characterized by improved spatial legi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