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umm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4초

대비감도를 사용한 캐나나 내 저시력 환자와 정상인의 시기능 분석 (Analysis of the Visual Function in low Vision Patients and Normals in Canada, Using Contrast Sensitivity)

  • 서재명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3-88
    • /
    • 2009
  • 목적: 저시력 환자의 경우에 시각적 판단을 위해서 물체의 크기와 노출시간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물체의 크기에 따른 대비감도의 증가를 공간적 가중이라 하며 노출시간에 따른 대비감도의 증가를 시간적 가중이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저시력 환자들이 시각적 판단 시에 실제로 정상인 보다 큰 물체와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명의 저시력 환자와 2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원형의 사인파격자무늬를 갖는 두 개의 공간주파수 0.7c/d와 3.0c/d로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혼합형 ANOVA(2${\times}$2)를 이용하였다. 결과: 저시력 환자에서의 대비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군간 공간적가중의 변화는 없었으며(p=0.13) 공간주파수간 차는 0.14였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성이 없었다(p=0.59). 마찬가지로 시간적 가중에서도 군간 시간적 가중의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19) 공간주파수간 차와 상호작용도 유의성이 없었다(각각 p=0.31, p=0.95). 결론: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저시력 군에서 대비감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나 물체의 크기와 노출시간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패턴분류를 위한 Off-axis pSDF 공간정합필터 (Off-axis pSDF Spatial Matched Filter for Pattern Classification)

  • 임종태;박한규;김명수;김성일
    • 한국광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91
  • 공간불변(space-invariant) 패턴인식에 대한 연구는 여러 접근방식에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 이미지의 가중치 선형조합(weighted linear summation)에 의한 SDF(synthetic discriminant function) 필터를 이용한 패턴인식은 그 중의 한 방식으로서 꾸준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f-axis 평면기준파의 각분할(angular multiplexing) 방식과 pseude-inverse 알고리듬에 의한 pSDF 필터를 결합하여 상관기를 구성하고 상관면에서의 상관반응을 관측하여, off-axis pSDF 공간정합필터가 유형분류에 유용함을 입증하고, 광상관기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 PDF

다층 케이블 돔형 구조물의 자기평형을 위한 부재력 비율 결정 (Determination of Member Force Ratios for Self-equilibrium State of Multi-Layered Cable Dome Type Structures)

  • 김재열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5-82
    • /
    • 2013
  • For each cable component in a cable dome structure, pre-tension is needed for stability of whole the structure. The summation of these pre-tension at each joint should be zero to achieve the self equilibrium structure. The first step in cable dome structure analysis is to find the ratio of pre-tension in each member which can produce a stable and structure on self-equilibrium. In this paper, a new method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closed force polygon for equilibrium system is proposed for the determination of self-equilibrium mode of cable dome structure. A single layer cable dome and two multi layer type domes have been analyzed. The ratios of cable members are determined by the presented method, and check the validation of the results by numerical calculation.

시간 및 공간 정보의 가중합산을 이용한 움직임에 적응적인 디인터레이싱 (Motion adaptive do-interlacing using the weighted summation of the spatial/temporal information)

  • 변승찬;변정문;김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568-570
    • /
    • 2003
  • 비월주사(interlaced)에서 순차주사(progressive)로의 변환을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이라 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움직임 검출을 통해 움직임이 없는 영역에서는 앞선 필드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계산량 없이 디인터레이싱을 하게 되며, 움직임이 있는 영역에서는 공간정보(spatial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디인터레이싱하는 ELA(Edge based line average) 방식과 양방향 움직임 추정(bi-directional motion estimation)을 통한 시간정보(temporal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디인터레이싱하는 움직임 보상방법 간의 가중합산(weighted summation)을 이용하여 디인터레이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가중치(weight)는 공간 및 시간 정보 모두를 사용하여 결정되어지며, 이렇게 결정되어진 가중치를 통해 각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게 된다. 이러한 가중합산을 이용한 방법은 높은 계산복잡도 없이 단순한 구현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높은 성능의 디인터레이싱이 가능토록 해주며, 그 하드웨어 구현을 용이하게 해준다.

  • PDF

공간 주의가 시각적 시간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 (Spatial Attention Can Enhance or Impair Visual Temporal Resolution)

  • 백종수;감기택;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18권3호
    • /
    • pp.285-303
    • /
    • 2007
  • 특정 위치에 주의를 주게 되면, 그 위치에 있는 사물을 시각적으로 처리할 때에 시간 해상도가 저하되며, 이러한 저하는 큰세포(parvocellular)와 작은 세포(magnocellular)의 상호 억제적 연결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와는 다르게, 시각 주의가 같은 위치에 연속적으로 제시되는 자극들간의 시간적 겹침을 유발하기 때문에, 주의에 의한 시간 해상도 저하가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배경 대비 자기의 극성이 다른 두개의 자극들을 사용해 자극 제시 순서를 판단하는 과제를 실시했다. 밝기 극성이 다른 자극들은 초기 시각 처리과정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처리되기 때문에, 주의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시간적 중복이 촉진되지 않을 것이다. 실험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시각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위치에서보다 주어진 위치에 나타난 자극들의 제시순서를 더 정확하게 판단했다. 반면, 같은 밝기 극성을 가진 두 개의 자극에 대한 제시 순서를 판단해야 했을 때에는, 시각 단서가 주어진 위치보다 주어지지 않은 위치에 나타난 자극들에 대해서 더 정확하게 제시순서를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주의가 자극 신호의 시간적 중복을 유도함을 통해 시각적 시간해상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사후확률 결합에 의한 분류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s using orthogonal summation of posterior probabilities)

  • 정재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1-125
    • /
    • 2004
  • 위성영상 분류에 관한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분류 정확도 향상에 있다. 동일지역에 대한 동일시기의 위성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복수의 위성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정확도가 향상된 분류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 주제는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데이터의 사후확률 및 분류 불확실도를 Dempster-Shafer의 증거이론에 적용하여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개별적인 데이터 분류나 데이터간 융합에 의한 분류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전체정확도와 Kappa 지수 모두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정확도 차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Enhanced impact echo frequency peak by time domain summation of signals with different source receiver spacing

  • Ryden, Nils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59-72
    • /
    • 2016
  • The Impact Echo method can be us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concrete plate like structures. Measurements ar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 clear thickness resonance frequency which can be difficult in very thick or highly attenuative plates. In this study the detectability of the measured resonant frequency is enhanced by time domain summation of signals with different source receiver spacing.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spatial and temporal properties of the first higher symmetric zero group velocity Lamb mode (S1-ZGV)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No application dependent tuning or filtering is needed which makes the method robust and suitable for implementation in automatic IE thickness measurements. The proposed technique is exemplified with numerical data and field data from a thick concrete wall and a highly attenuative asphalt concrete layer.

중심외주시 훈련용 주변부 망막의 생리적 가중에 관한 연구 (Study on Physiological Summation in Peripheral Retina for Eccentric Viewing Training)

  • 서재명;이기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9-493
    • /
    • 2013
  • 목적: 황반변성을 가진 저시력 환자의 중심외주시 훈련에 사용되는 망막 주변부의 특성을 조사하여 재활치료용 주변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시각을 가진 30명의 성인 남녀의 우안을 대상으로 중심와에서 $20^{\circ}$ 이측으로 떨어진 망막 주변부의 생리적 가중을 측정하였다. 표적은 원형의 수직형 정현파였으며 공간주파수 0.7 cpd와 3.0 cpd를 사용하여 공간적 가중과 시간적 가중의 임계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0.7 cpd에서 시간적 가중의 임계점은 540 ms, 대비감도는 1.1이었으며 3.0 cpd에서는 315 ms, 대비감도는 0.98이었다. 0.7 cpd에서 공간적 가중의 임계점은 $11.3^{\circ}$, 대비감도는 2.8이었으며, 3.0 cpd에서 임계점은 $5^{\circ}$, 대비감도는 2.63이었다. 결론: 주변시는 중심시보다 더 빨리 임계점에 도달한다. 중심외훈련시에는 저주파대역을 대상으로 긴 시간동안 훈련하기 보다 짧은 시간동안 자주 훈련하기를 권장한다.

Analysis of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Grounded Slab and a Parallel-Plate Structure Using the SDDI Technique

  • Choi, Jae-Hoon;Kahng, Sung-Tek
    • ETRI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71-76
    • /
    • 2001
  • In this paper,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grounded slab and a parallel-plate structure are analyzed by the Spline-type Divided-Difference Interpolation (SDDI) technique. The technique efficiently evaluates the MoM impedance matrix elements of the multifold spectral or spatial domain integrals or summation in integro differential equations.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agree well with those of the corresponding literatures.

  • PDF

공간자기상관 지수와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마산만 수질의 공간분포 패턴 규명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and Pearson's r)

  • 최현우;박재문;김현욱;김영옥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91-400
    • /
    • 2007
  •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Pearson's correlation as a common statistic method and Moran's I as a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were applied to the hydrological data seasonally collected from Masan Bay for two years ($2004{\sim}2005$). Spatial distribution of salinity, DO and silicate among the hydrological parameters clustered strongly while chlorophyll a distribution displayed a weak clustering. When the similarity matrix of Moran's I was compared with correlation matrix of Pearson's r, only the relationships of temperature vs. salinity, temperature vs. silicate and silicate vs. total inorganic nitrog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imilarity of spatial clustered pattern. Considering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results, water quality distribution patterns of Masan Bay were conceptually simpl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simplified types, Moran's I and Pearson's r were compared respectively with spatial distribution maps on salinity and silicate with a strong clustered pattern, and with chlorophyll a having no clustered pattern. According to these test result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ter quality in Masan Bay could be summed up in four patterns. This summation should be developed as spatial index to be linked with pollutant and ecological indicators for coastal health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