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tatistics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23초

공간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암발생 및 암사망 추정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estimations in Busan by using spatial multi-level model)

  • 고영규;한준희;윤태호;김창훈;노맹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169-1182
    • /
    • 2016
  • 한국인의 전형적인 사망 원인인 암은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통계청이 제시한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에 따르면, 7대 광역시 중 부산의 표준화 사망률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암센터의 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암발생률과 암사망률의 정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2003~2009년 자료를 대상으로 구/동과 같은 소지역 단위를 고려하였으며, 전체 암과 4대 주요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공간 다수준 모형을 통해 모형 선택과 모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공간 효과에 대해서는 조건부 자기회귀 (conditional autoregressive; CAR)를 가정하였으며 WinBUGS를 이용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각 지역에서의 공간 효과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는지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ariogram Using Spatial Correlation

  • Shin, Key-Il;Back, Ki-Jung;Park, Jin-M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3호
    • /
    • pp.835-844
    • /
    • 2003
  • A difficulty in spatial data analysis is to choose a suitable theoretical variogram. Generally mean squares error(MSE) is used as a criterion of selection. However researchers encounter the case that the values of MSE are almost the same whereas the estimates of parameters are different. In this case, the selection criterion based on MS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parameter estimates.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method of selecting a variogram using spatial correlation.

GIS 공간통계를 이용한 도심화재예측지도 제작기법 탐색 (The Urban Fire Prediction Mapping Technique based on GIS Spatial Statistics)

  • 김진택;엄정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4-23
    • /
    • 2007
  • GIS 및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도심내의 화재현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예측지도의 제작기법을 개발하였다. 즉 지난 5년간($2001{\sim}2005$)의 화재 데이터와 대구지역 인문환경요소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화재의 불확정성의 특성을 방안분석 및 포아송 확률분포로 해석하여 화재위험예측지도를 시범 제작하였다.

표본조사에서 공간 변수(SPATIAL VARIABLE)를 이용한 결측 대체(MISSING IMPUTATION)의 효율성 비교 (Missing Imputation Methods Using the Spatial Variable in Sample Survey)

  • 이진희;김진;이기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1호
    • /
    • pp.57-67
    • /
    • 2006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하며, 이 때 응답자들의 정보로만 분석을 실시한다면 편향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어 보조변수를 이 용한 많은 무응답 대체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만일 결측자료 대체를 위한 보조변수들이 충분하지 않고 응답자들과 무응답자들 사이에 지역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면 이를 결측자료 대체(missing data imputation)에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2년 강원지역의 농가경제 자료를 예제로 하여 공간상관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공간상관이 존재할 경우 공간 대체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Assessing Spatial Disparities and Spatial-Temporal Dynamic of Urban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ity of Chicago

  • Yang, Byungy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7-496
    • /
    • 2020
  • This study introduces how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urban green spaces in the Chicago. Green spaces provide us with a variety of benefits, namely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benefi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socio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green spaces and their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o evaluate spatial dispariti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uch as health-related,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spatial statistics, such as optimized hotspot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space-time cluster analysis, which enabl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the geographic data. In particular, 12 variables within the three factor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the benefits of the use of green spaces. Finally, the variables are standardized to rank the community areas and identify where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s or parks are. To evaluate the benefits given to the community areas, this study used the z- and composite scores, which are compared in the three different combinations. After identifying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 crime data is used to spatially understand when and where crimes occur near the parks selected.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work of urban planners who need to spatially evaluate community areas in considering the benefits of the uses of green spaces.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Small Area Estimation Using Bayesian Auto Poisson Model with Spatial Statistics)

  • 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3호
    • /
    • pp.421-430
    • /
    • 2006
  • 표본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지형학적 범위가 넓거나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지형적 범위 즉시 또는 도 단위로 표본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지형학적 범위가 작은 소지역은 충분한 표본의 확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신기일과 이상은(2003)은 공간통계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신기일과 이상은(2003)의 공간자기회귀(Spatial Autoregressive: SAR) 모형을 확장한 모형인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 (Bayesian Auto-Poisson Model: BAPM)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호주의 1998년 장애인 통계 (Survey of Disability, Aging and Cares:SDAC)이 며 MSE, MB 그러고 회귀 분석을 이용한 편의 분석기법이 비교에 사용되었다.

수질 및 유량자료의 기초통계량 분석에 따른 공간분포 파악을 위한 SOM의 적용 (Application of SOM for the Dete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Analysis of Basic Statistics for Water Quality and Runoff Data)

  • 진영훈;김용구;노경범;박성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5-741
    • /
    • 2009
  • In order to support the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performing the environment management such as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nd runoff data in the unit watershed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Self-Organizing Map (SOM) to detec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oncentration and runoff data which have been measured in the Yeongsan, Seomjin, and Tamjin River basins. For the purpose, the input dataset for SOM was construct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alues of the respective data measured from the stations of 22-subbasins in the r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times}4$ array structure of SOM was selected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and the best performance was revealed when it classified the stations into three clusters according to the basic statistics. The cluster-1 and 2 were classified primarily by the skewness and kurtosis of runoff data and the cluster-3 including the basic statistics of YB_B, YB_C, and YB_D stations was clearly decomposed by the mean value of BOD concentration showing the worst condition of water quality among the three clusters. Consequently, the methodology based on the SOM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highly applicable to dete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OD concentration and runoff data and i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further utilization using different water quality items as a data analysis tool.

풍속 자료의 공간예측 (Spatial Prediction of Wind Speed Data)

  • 정승환;박만식;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2호
    • /
    • pp.345-356
    • /
    • 2010
  •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된 기후변화에 의한 문제들은 전 세계적인 문제점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위기에 처한 각 나라들의 대처방법 중에 하나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 설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중에서 풍력을 이용한 발전은 해외 선진국에서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발전해 오고 있고 우리나라 역시 최근에 풍력 발전에 관심을 갖고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우리나라 지역의 풍력에 대한 분석 및 예측은 천연자원의 적절한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풍속 측정 자료로 선형회귀모형에 근간을 둔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주요도서지역을 제외한 남한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모형을 찾고 각 모형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지역의 풍속 예측지도를 구성하였다.

공간시계열모형에 대한 베이즈 추론 (Bayes Inference for the Spatial Time Series Model)

  • 이성덕;김인규;김덕기;정애란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1호
    • /
    • pp.31-40
    • /
    • 2009
  • 공간시계열모형은 공간의 위치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시에 관측되는 분야인 기상, 지질, 천문, 생태, 역학 등에서 넓이 사용되고 있는 매우 복잡한 모형이다. 본 논문은 공간시계열모형에 대한 모수 추정에 있어서 기존의 최대우도추정 방법이 가지는 컴퓨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수에 대한 사전정보와 자료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는 깁스샘플링과 같은 MCMC 방법으로 모수를 추정하고, 실제 적용사례분석으로 여러 가지 측도를 구해서 추정된 모수에 대한 수렴진단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