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planning

검색결과 1,850건 처리시간 0.035초

연변 한인 농촌마을의 공간구조특성 분석을 통한 배치계획 수립방안 - 룡정시 룡산촌을 대상으로 - (A Rural Village Planning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the Korean Rural Village in Yanbian - Ryongsan Village, Ryongjeong City -)

  • 리신호;윤성수;서교;장성각
    • 농촌계획
    • /
    • 제11권1호
    • /
    • pp.35-43
    • /
    • 2005
  • Practically, it is very hard to investigate the rural villages in North Korea. The Korean rural village in Yanbian is proximate from North Korea and most of inhabitants of the village have been emigrated from Hamgyeong-Do and Pyeongan-Do. In this sense, it can be meaningful to study Korean villages in Yanbian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ward researches of North Korean rural villages. In this study,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yongsan village, Ryongjeong city was studied as a representative korean rural village in Yanbian. The Ryongsan villag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 of North Korea. The case of planning and design is provided through drawings of components for planning of rural villages based on the resul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alysis.

공간계획을 위한 토지이용정보 수요 조사 (A Survey on the Demands of Land Use Information for Spatial Planning)

  • 이주일;최창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05-113
    • /
    • 2006
  • 합리적인 공간계획을 위해서는 토지이용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의 체계적인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간계획 전문가들이 요구하는 토지이용정보의 종류와 그 갱신주기를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문헌조사를 통해 토지이용정보 구축의 필요성을 정리하고, 국내외의 토지이용정보 구축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토지이용정보 구축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간계획 전문가들이 겪고 있는 토지이용정보의 부족현상을 명확히 하고, 필요한 정보의 항목과 그 구축주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정보의 세부항목별로 그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들이 필지나 행정동 단위로 1년 정도의 주기로 갱신되기를 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자체가 구축하고 있는 전산정보를 제공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로 필요로 한 토지이용 공간 정보 단위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공간구성에 따른 뮤지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y of Spatial Organization in Art Museum)

  • 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1-30
    • /
    • 2009
  • This study plans to classify the art museums in accordance with their spatial organization, analyzing their peculiarities each by its type in order to present the reference required for designing an art museums. With confidence, the analyzation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ents will make worthy contribution for the future art museums. For this purpose, total of 95 art museums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analyzation. First of all, their types have been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scale and architectural planning. Out of them, 33 museums have been further selected in order to see how the peculiarities of their patterns are outstanding, and then a quantitative analyzation has been made on each of them to see its space structure by utilizing 'Space Syntax'. Finally, a correlation analyzation of space structure peculiarities has been conducted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peculiarities per type is comprehensive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Space Syntax in order to present a new spatial organization per space to be used for the basic planning of the art museum. The contents of this analyt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correlation analyzation on the typological feature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features in terms of the Space Syntax has presented four new types of museum spaces: (1) Radial type, (2) Arachnoid-radial type, (3) Linear type, and (4) Grid type, in the light of which the selected 95 art museums have further been analyzed in order for their features to be reclassified.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해양공간관리의 개념과 원칙에 대한 고찰 (Considering Concepts and Principles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for Sustainable Use of Marine Resources)

  • 이문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497-506
    • /
    • 2011
  • The rapid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made the human activities for the utilization of marine resources more complex. Marine spatial management is a space-based approach. It is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management approach. The ultimate goal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is the "sustainable use" of marine resources. The partial approach is applied in the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mainly coastal zones which involves integrated approach. Also this showed various limitations including restricted mostly to coastal zones, and limitation to implementation tools. However, for marine spatial management to have a reasonable approach that attaches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holistic ecosystem, it is important to internalize a central principle in marine spatial management that focuses on the sustainable use of marine resources. In the present study, four central principles are proposed that will eventually be applied through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ning tools. These principles are 1)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decision making and planning system that is based on stakeholder participation; 2) scientific assessment of the current status and impact on the basis of ecology, sociology, and economics; 3) reasonable and optimal spatial assignment based on the forecasting of future-us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4) ascribing importanc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ults of rational planning processes.

북한의 농촌 공간계획의 특징에 관한 연구 - 김일성 시기 도농연계이론을 바탕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ural Planning in North Korea - Focused on the Urban-Rural Integration Strategy in Kim Il-Sung Era -)

  • 김민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9-1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ural spatial structure and to establish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based on urban-rural connections strategy of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y were collected such as documents and drawings including primary data related to rural planning in North Korea, and the rural spa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m by the rural planning's point of the view. Unlike generalized capitalist cities, socialist North Korean ci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urban and rural areas. This distinct feature of the city is also reflected in creating rural space in North Korea. Thus, The urban-rural integration in spatial planning is a key factor in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of North Korea. This study first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y(gun), the administrative and economic unit established in the post-war period, secondly, examines the planning method of town(eup) which can be called the urban center in rural areas, and lastly grasps the planning method of rural village focusing on collectivization and identifies how they are connected to the town for the shake of urban-rural integra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planning in North Korea has revealed that it has a comprehensive rural planning established with the goal of strengthening the self-sufficiency of the rural area by the means of the create of rural spatial hierarchy in the whole country.

환경생태요소를 고려한 계획지원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Planning Support System Incorporating Ecological Factors in Urban Planning)

  • 정승현;김현수;김연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75-86
    • /
    • 2013
  • 도시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계획지원시스템의 활용은 의사결정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 제공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그러나 기존 계획지원시스템들은 환경생태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환경생태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계획 대상지에 대한 환경생태적 잠재성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구체적인 계획안 수립과 평가에 이르는 계획 수립 전 과정에 대한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으로 계획 대상지의 토양, 물, 기후, 비오톱, 생태네트워크 및 여가공간 측면에서의 생태적 평가와 분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참조하여 생태적 특성이 고려된 토지이용계획수립이 가능하며, 수립된 토지이용계획안을 바탕으로 시각화와 생태적 측면에서의 시뮬레이션 평가가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계획지원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고려가 미흡했던 생태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계획 수립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정보 현안 및 개선 방향 연구 (Data issue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 장민철;박병문;최윤수;최희정;김태훈;이방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5-190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해양선진국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 ; MSP)의 도구인 한국형 GIS 시스템에 있어 해양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도출되는 여러 가지 현안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구축된 우리나라 해역의 250여건의 공간정보는 자료수집, GIS 변환, 자료분석 처리 및 데이터 그룹핑과 핵심공간 매핑의 순서로 가공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공간정보가 부족하여 디지타이징 과정을 거치거나 기존 해양공간정보와의 중첩 수행 시 발견되는 좌표계 오류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해양이용현황 분석을 위한 공간데이터 제작 시 개인정보 제외 자료처리 방안과 지적기반의 공간정보 생성 시 실제 공간정보와 이격 발생을 최소화 하는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족한 공간정보의 확보를 위하여 해양수산정보 및 해당 메타파일의 표준규격을 제시하였으며 해양공간정보의 정밀도 및 해석력 제고를 위해 해양 공간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한국형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축을 위한 해양공간정보의 품질관리에 있어서의 생산, 처리, 분석, 활용 단계의 표준관리 지침수립으로 생애전주기에 걸친 품질관리체계를 제시하여 해양공간정보 개방 확대 및 활용모델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도시계획정보체계 개발모델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염형민;이승일;전유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77-92
    • /
    • 2002
  •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으로부터 도시공간의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도시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며 조화로운 공간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도시공간내 토지이용에 관한 계획수립체계가 변화되고 보다 강화되었다. 그거나, 강화된 도시계획수립체계가 순기능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에 환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정리, 분석하여 도시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계획 분야에서의 이리한 요구와 수요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이를 공간상의 분포현황 등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G[S관련 정보기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법을 근거로 하여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정보화 요구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도시계획정보체계의 기본구상을 제시하고, 최근 GIS관련 정보기술동향을 활용한 도시 계획정보체계의 개발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농촌 생활권 기초생활서비스 항목 설정 및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Deriving Basic Living Service Items and Establishing Spatial Data in Rural Areas)

  • 김수연;김상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9-4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living service facility items in rural areas and construct related spatial data.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rvices in rural areas, rural spatial planning, and the 'Rural Convention' strategic plan reports for the Jeolla and Gyeongsang Region in 2021 was conducted. Primary data collection and review on the list of basic living service items in rural area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data collection, 12 sectors and 44 types of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derived; the data selec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larity of the subject of data management, whether it was established nationwide, whether it was disclosed and provided, whether it was periodically updated, and whether it was an underlying law. Afterwards,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Afterwards, spatial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Because open data provided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were employed, data structure unification such as data attribute values and code names was needed, and abnormal data such as address errors and omissions were refined. After that, the data provided in text form was converted into spatial data through geocoding, and through comparative review of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converted data and the provided address, spatial data related to rural basic living services were finally constructed for about 540,000 cases. Finally, implications for data construction for diagnosing rural living areas were deriv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The derived implications include data unification, data update system establishment, the establishment of attribute values necessary for rural living area diagnosis and spatial planning, data establishment plan for faciliti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rural living area analysis method, and diagnostic index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data-based rural area diagnosis and rural planning, by selecting the basic rural living service items, and constructing spatial data on the selected items.

라키비움 공간기획을 위한 리모델링 대상 기관의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Remodeling Target Institution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 최영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3-167
    • /
    • 2013
  • 최근 문화유산기관에 대한 이용 요구가 복합화 되어 가는 가운데 미국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이후 국내 정보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유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라키비움은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구현되지 않은 기관이므로 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 또한 이론적인 전개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을 대상으로 라키비움 리모델링에 필요한 기관 현황 분석 활동 계획을 수립하였다. 방법적으로는 기존 라키비움 공간기획 연구의 절차를 정밀화하였고 분석 도구로는 관련 법률과 지침 등을 활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라키비움 공간기획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