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perception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1초

전통 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 - 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 - (Spatial Analysis of Communal Folk Belief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n Bangchon Traditional Village -)

  • 박의준;이정록;천득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1-142
    • /
    • 2002
  • 인간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그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신앙체계는 인간이 특정 지역을 점유하고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된 하나의 공간적 행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하나인 공동체 신앙은 마을이라는 공간을 점유하고 발현되었다는 점에서 전통 사회 마을 구성원의 공간인식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의 특성을 공간적 관c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지역으로는 전통문화마을로 지정된 전라남도 장흥군 방촌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방촌마을은 내동, 계춘, 탑동, 호동. 호산, 산저, 신기의 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을의 입지과정은 고려시대 이후 시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 둘째, 방촌마을의 공동체 신앙은 크게 7개의 입석과 돌장승, 별신제터와 허제비골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방촌마을 공동체 신앙은 크게 마을과 마을의 경계 표시, 마을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 마을의 중심공간 표시, 마을의 입구와 외곽 경계 표시라는 공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신앙과 상징이라는 의미 이외에. 과거 전통사회 자연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는 지시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공간 환경에 대한 감성평가와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 덕수궁 미술관 전시실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Art Museum Perceived by Visitors)

  • 한명흠;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7-74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the sensibility towards a spatial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ces through empirical analyses. A set of words are selected to describe visitors' perception of a spatial environ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suitabil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ensibility measur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 analyses and cluster analyses are conducted on the indicators measur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Museum, and the following five dimensions are obtained: spatial value, spatial aesthetic, spatial affinity, spatial freshness, and spatial materials.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regarding the space of the exhibition hall under study is also investigated.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DV) and the five dimensions (IVs), and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five factors, the 'Spacial Value' and 'Spacial Affinity' a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show that visitors' affinity towards the exhibition hall of the Deoksugung Art Museum along with the surrounding garden, as well as visitors' appreciation of th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Deoksugung Palace, are found to greatly affect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patial environment of the museum.

메를로-퐁티의 신체지각을 통한 감성 공간 연구 (Study on the Sense Space by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body Perception)

  • 이찬;최영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9-46
    • /
    • 2008
  • This paper is a research about the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se space by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rough body from an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The phenomenological expression elements of sense space have been abstracted by put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dy perception into shap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the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se space that can be applied by phenomenological element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analyze their application level by phenomenological body perception in space through corresponding exampl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xpressions of sense space approach - such as migration of moving lines, reiteration and segmentation of region, spatial flexibility, transferal of sense, stimulation of combined senses, symbolic abstraction of memory,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space, time by light, phenomenal water space, time expression by surrounding environments etc. -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nse space according to each expression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expression elements in sense space such as expansive perception by consecutive scenes, spatial and sensory experience, embodiment of place, phenomenal change by time. It aims to grope for a new approach and possibility to the embodiment and expression of sense space through the expression of sense space approach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body perception.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 Using Geologic Planar Figures on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Geologic Spatial Ability)

  • 박재용;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0-29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지질 공간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혼합연구 방법으로 조사함으로써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개의 지질 전개도(수평층 2개, 수직층 2개, 경사층 4개, 단층 1개, 습곡 1개)를 개발하였고,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 실시 전후에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을 검사하였다. 또한,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 참가 학생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은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수업은 학생들의 지질 구조 공간 배치에 대한 인식 능력 및 시각 투시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지질 전개도는 '지질도의 작성과 해석'에 관한 수업을 위해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고등학교의 지질 수업에서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stronomical Field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3-27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과 과제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문분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B 대학교 영재원 부설의 초등과학영재반 심화과정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영재반의 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과 과제 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총 12차시의 교육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실험처치의 사전과 사후에서 각각 공간지각능력 검사와 과제집착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양적분석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천문분야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과제집착력 향상보다 공간지각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었다.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선발은 지능, 창의성, 과제집착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였으므로 보다 나은 잠재된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교육프로그램(IEP)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영재교육에서 보다 심층적인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영재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경계와 영역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oundary and Territory in Aspect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Architecture)

  • 권세훈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0-16
    • /
    • 2004
  • Territory is determined by physical elements that provide the occupants an obvious boundary in a space. The creation of boundary is a interpersonal process by which a person or group regulates interactions with others. The perception of territory needs boundary regulations that mean the composi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elements in architectural space. The perception of territory can be defined as perceptual reaction considering not only visual perception on the physical elements in the architectural space and also various kinds of social activity in architectural environment. To achiever territory in architectural space, visible and invisible boundary regulation should be need. It means that territorial boundary regulation needs visual and audial boundary regulation as well as spatial boundary regulation.

  • PDF

노화에 대한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작업기억 및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reotype Threat on Spatial Working Memory and Emotion Recognition in Korean elderly)

  • 이경은;이완정;최기홍;김현택;최준식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109-11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공간 기억 및 정서인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이 지니고 있는 노화에 대한 인식에 따라 고정관념 위협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60세 이상 노인 17명(남=7)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방문 시 K-WMS-IV와 MMSE를 포함한 기본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 노화 불안, 노화에 대한 태도, 연령 정체성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실험군의 경우 노화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킨다는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여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시켰으며, 대조군의 경우 중립적인 스크립트를 읽도록 하였다. 고정관념위협을 조작한 이후 공간 작업기억 과제 (콜시 블록 태핑 과제)와 정서 인식 과제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수행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된 노인 군이 그렇지 않은 노인 군에 비해 정서인식 과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 정확도 (p<.05)를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 위협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어(p<.05),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더라도 정서인식 과제와 어려운 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행 정확도를 보인 반면, 자신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노인들은 고정관념 위협에 노출되었을 때, 매우 저조한 수행 정확도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위협이 노인의 정서인식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자신의 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고정관념 위협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공간 컴퓨팅 인식 분석 및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 애플 비전 프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erception Analysis and Strategic Direction of Spatial Computing through Text Mining: Focusing on the Case of Apple Vision Pro)

  • 양희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05-221
    • /
    • 2024
  • 2023년 6월 공간 컴퓨팅이라는 용어가 애플 비전 프로 공개로 인해 대중들에게 본격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2024년 2월 공식 출시를 기점으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제 막 시장이 개화된 상황에서 공간 컴퓨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대중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근거 기반으로 산업계와 정부를 위한 적절한 대응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대중들의 공간 컴퓨팅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한 전략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 컴퓨팅에 대한 선도적 연구 수행과 새로운 연구방법론 제시, 이해관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 및 정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공공도서관 공간 특성에 따른 공간 유형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Spatial Types Based on Public Library Spatial Characteristics)

  • 육지혜;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137
    • /
    • 2016
  •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기능 제공 등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 공간 역시 도서관의 서비스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서관 공간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 공간 유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관찰조사 결과, 도서관의 공간 유형은 '분리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간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과 이용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공간 유형이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도서관 공간과 도서관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로컬푸드 원칙의 인식구조와 준수실태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 이관률;송주연;허남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7-57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준수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인식도에서는 신뢰관계, 지역생산 지역소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성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와 전문가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로컬푸드 개념에서는 공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모두 중요하다. 둘째, 로컬푸드 준수도에서는 신뢰관계와 유통단계의 축소는 비교적 잘 지켜지는 반면, 친환경성과 이동거리는 상대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수도의 경우 종사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는 이동거리 축소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그 외 4개 요소에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로컬푸드의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친환경성과 신뢰관계, 그리고 유통단계 축소 등의 사회적 측면은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크지 않는 반면, 공간적 측면의 이동거리 축소와 지역생산 지역소비는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