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launch vehicle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4초

우주발사체 개발사업의 비용 추정 현황 및 사례 (Application of Cost Estimation to Space Launch Vehicle Development Program)

  • 유일상;서윤경;이준호;오범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5-173
    • /
    • 2007
  • A space launch vehicle system represents a typical example of large-scale multi-disciplinary systems, consisting of subsystems such as mechanical structure, electronics, control, telecommunication, propulsion, material engineering etc. A lot of cost is required to develop the launch vehicle system. A precise planning of R&D cost is very essential to make a success of the launch vehicle development program. Especially in the early development phase of a new space launch vehicle system, cost estimation techniques and analogy from past similar development data are very useful methods to estimate a development cost of the launch vehicle system. Now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s in charge of the KSLV-I (Korea Space Launch Vehicle-I) Program that is a part of Korea National Space program. KSLV-I Program is a national undertaking to develop launch capabilities to deliver science satellites of a 100kg-class into a low earth orbit. It is hereafter, going to plan to develop a new korean space launch vehicle. In this paper, first the development costs of well-known launch vehicles in the world are presented to provide a reference to make a development plan of a new launch vehicle. Second this paper introduces the present status of cost estimation applications at NASA.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from application of a TRANSCOST, a parametric cost model, to derive a cost estimate of a new launch vehicle development, as an example.

The Transition Effect of Korea's Space Development

  • Kim, Jong-bu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80-85
    • /
    • 2018
  • In the 1990s, South Korea recently launched Space Development and is pushing for a step toward Space. In the Space Launch Vehicle fiel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atellite type Launch Vehicle (Korea Space Launch Vehicle II) has progressed to the stage of proprietary development, and in the field of Satellite development, they also have a great deal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will be a shortcut to rediscovering our potential and looking for breakthroughs by reviewing and re-examining the effects of past Space development.

초소형위성 발사를 위한 공중기반 우주발사체 발전방안 (The Development of Air-based Space Launch Vehicle for small satellites)

  • 조태환;이성섭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267-272
    • /
    • 2021
  •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를 계기로 공중, 해상기반의 다양한 플랫폼에 의한 우주발사체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특히, 공중기반 우주발사체는 지상기반 우주발사체 대비 다양한 궤도 운용, 적시적인 위성발사 등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할 때 필수적인 우주전력투사 능력이다. 또한, 지상기반 발사체 대비 비용절감 효과가 크고, 항공기의 고도, 속도의 이점으로 발사할 수 있어 에너지 이득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의 전략적 환경하에서 공중기반 우주발사체의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다양한 공중발사체에 대한 기술동향 분석을 통해서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공중기반 우주발사체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재사용 우주 발사체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 of the Reusable Space Launch Vehicle)

  • 정석규;배진현;정기정;구자예;윤영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069-1075
    • /
    • 2017
  • 최근 우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위성 시장, 특히 소형 위성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 시장의 성장세 속에서 발사체 시장 역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비용 발사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저비용 발사를 위한 방안에는 저비용 추진제를 사용하는 엔진 개발, 제품 생산 및 운송비용 절감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발사 비용을 가장 크게 줄이는 방법은 바로 사용한 발사체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재사용 발사체의 시작은 유인 우주선으로 유명한 미국의 Space Shuttle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Space Shuttle의 경우 재사용이라고 불리기는 하지만 재사용 할 수 있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고, 발사 효율이 떨어져 재사용 발사체 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고비용이었다. 최근에는 미국의 SpaceX와 Blue Origin을 중심으로 상업적 목적의 재사용 발사체가 개발 되고 있고 재착륙 시험에 성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SpaceX의 경우 이전 재착륙을 성공한 1단 발사체를 정비하여 다시 발사하는데 까지 성공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유럽, 인도와 같은 국가에서도 현재 재사용 발사체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Blue Origin을 포함한 미국의 Virgin Galactic, XCOR 등은 민간 유인 우주여행과 같은 재사용 기술을 이용한 상품화도 시도하고 있다. 재사용 기술이 확립되면 세계 발사체 시장의 판도가 바뀔 수 있기에 재사용 기술 동향의 정기적인 확인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A CONCEPTUAL DESIGN FOR ELECTRICAL GROUNDING ARCHITECTURE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

  • Kim Kwang-Soo;Lee Soo-Jin;Ma Keun-Soo;Shin Myoung-Ho;Hwang Seung-Hyun;Ji Ki-Man;Chung Eui-Seung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231-234
    • /
    • 2004
  • Electrical grounding is defined as referencing an electrical circuit or a common reference plane for preventing shock hazards and for enhancing operability of the circuit and EMI control. In order to realize the best electrical grounding system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 we should design the electrical grounding architecture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 of system-level at the earliest point in design procedure. To minimize the electrical grounding loop and the unnecessar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radiation among the electronic subsystems, we should establish the electrical grounding rules of the all electrical interfaces. The electrical interfaces among the electronic subsystem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e electrical power and signal interfaces. Because of us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power system architecture in the korean space launch vehicle system such as the common space launch vehicle systems, we need to establish the electrical grounding rules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power system. We also need to establish the electrical signal grounding interface rules among the electronic subsystems. In this paper, we will describe the grounding schemes of the common space launch vehicle system and propose a conceptual design for the electrical grounding architecture of korean space launch vehicle system.

  • PDF

TRANSCOST 7.1을 적용한 실용위성 발사체 비용추정 (KSLV-II Cost Estimate using TRANS COST 7.1)

  • 서윤경;오범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2호
    • /
    • pp.119-125
    • /
    • 2007
  • 우주발사체 개발사업은 기계, 제어, 전자 등 각종 분야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연계되는 거대 시스템 개발 사업이다. 현재 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100kg급 소형위성 발사체(KSLV-I)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후로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 분야는 복잡해지고 거대화될수록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개발비용 분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에 따라 진행되었던 실용위성 발사체 개발에 대한 기획 사업의 내용을 토대로 TRANSCOST 7.1 방법을 이용하여 실용위성 발사체 개발비용을 추정 하였다.

  • PDF

RELIABILITY DEMONSTRATION OF PROPULSION SYSTEM OF SPACE LAUNCH VEHICLE

  • Cho Sang-Yeon;Kim Yong-Wook;Oh Seung Hyub;Park Chan-Bin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341-343
    • /
    • 2004
  • In executing the large scale national project, such as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 it is most important to guarantee the technological reliability. However the reliability analysis of launch vehicle is different from other mass product good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budget and number of tests.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analysis technique of the propuls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major sub-systems of launch vehicle is illustrated and applied to the liquid rocket engine of KSR-III.

  • PDF

소형위성 전용 발사체를 이용한 심우주 임무 설계 (Design of Deep Space Missions Using a Dedicated Small Launch Vehicle)

  • 최수진;;;서대반;이기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2호
    • /
    • pp.877-888
    • /
    • 2022
  • 최근 루나 게이트웨이의 선구자 임무인 CAPSTONE이 NRHO에서 통신 및 항법 기술 시연을 위해 소형발사체로 발사됨에 따라 전용 소형발사체와 소형위성을 이용하여 심우주 임무를 가능하게 한 이번 행사가 큰 주목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발사체 이중발사 운영개념이 소개하고, 달, 화성 및 소행성 탐사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가능성을 검토했다. 단독발사로 달 저궤도 임무에 약 247 kg을, 이중발사로 화성 및 소행성 아포피스와 같은 목적지에 각각 215 kg 및 183 kg을 수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사체 열제어/화재안전 시스템 설계 및 시험 (Design and Test of Thermal Control and Fire Safety System for Space Launch Vehicle)

  • 고주용;오택현;이준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06-1010
    • /
    • 2017
  • 본 논문은 발사체의 지상대기 및 운용 중 격실 내부의 열제어 및 화재/폭발 방지를 위해서 적용되는 열제어/화재안전계에 대한 설계 및 시험에 대해서 기술한다. 고려된 시스템은 한국형발사체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시험발사체의 열제어/화재안전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은 나로호의 경험을 토대로 고압 시스템을 적용한다. 고압 및 저압 시스템의 선정은 발사대의 가스공급 설비 및 발사체의 특성을 고려해서 선정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구성도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은 시험을 통해서 초기의 설계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한국형발사체의 개발에 그대로 확장되어 적용될 예정이다.

  • PDF

우주발사체 개발의 국내외 동향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 공현철;이준호;오범석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109-115
    • /
    • 2008
  •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2009년 상반기에 대한민국이 그렇게도 고대하던 위성자력발사의 쾌거가 발생하게 된다. 소형위성 발사체(KSLV-I)는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과학로켓 시리즈의 개발을 통해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우주발사체 개발로서 승화한 작품으로써 질량 100kg의 과학 위성2호를 싣고 발사하여 온 국민에게 희망과 꿈을 선사하게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는 미국 및 러시아의 우주개발 활동에 이어 일본의 가구야 달 탐사선, 중국의 창어 달 탐사선 및 우주유영 그리고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의 발사 등 제2의 우주개발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외의 우주발사체 개발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