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core technologi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Operational Concept of the NEXTSat-1 for Science Mission and Space Core Technology Verification

  • Shin, Goo-Hwan;Chae, Jang-Soo;Lee, Sang-Hyun;Min, Kyung-Wook;Sohn, Jong-Dae;Jeong, Woong-Seob;Moon, Bong-G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67-72
    • /
    • 2014
  • Th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program has been kicked off in 2012, and it will be launched in 2016 for the science missions and the verification of space core technologies. The payloads for these science missions are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of Space Storms (ISSS) and NIR Imaging Spectrometer for Star formation history (NISS). The ISSS and the NISS have been developed b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respectively. The ISSS detects plasma densities and particle fluxes of 10 MeV energy range near the Earth and the NISS uses spectrometer. In order to verify the spacecraft core technologies in the space, the total of 7 space core technologies (SCT) will be applied to the NEXTSat-1 for space verification and those are under development. Thus, the operation modes for the ISSS and the NISS for space science missions and 7 SCTs for technology missions are analyzed for the required operation time during the NEXTSat-1's mission life time of 2 years. In this paper,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NEXTSat-1's science missions as well as the verification of space core technologies are presented considering constraints of volume, mass, and power after launch.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른 우주시스템 핵심기술 (Core Technologies of Space Systems for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

  • 최정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666-667
    • /
    • 2016
  • 우주개발중장기 계획의 세부 실천 방안으로써, 우주기술 로드맵을 기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역량을 모아 국가 우주개발 계획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리나라 우주개발에서 예상되는 각 시스템 별 핵심기술들을 파악하여 항공우주학회지의 특별 섹션으로 소개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디지털 공간모델링 기법과 유비쿼터스 IT 기술을 접목한 빌딩 에너지 관리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Method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Based on Digital Space Modeling and Ubiquitous IT Technology)

  • 박용준;박남희;최진원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1-186
    • /
    • 2009
  • Recently, the consuming efficiency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has been a hot issue because of the continuous increasing of energy consumption and soaring of international oil prices. We tried to seek an action plan for the government's new paradigm 'Low-Carbon, Green Growth' by consuming energy efficiently and improving in energy management based on ubiquitous IT technologies. In this study, the library survey method is adopted for this study and IP-USN(internet protocol based ubiquitous sensor network) is considered as a core technology among various ubiquitous IT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ver a method of energy management through integrating the context information gathered from sensors with digital space models and visualizing them together. The details are to survey the technologies of digital space modeling, USN based monitoring, building energy management and to integrate these technologies all togeth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effici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by grasping the accurate situation of energy consuming in the building in realtime and minimizing unnecessary energy wastes.

  • PDF

스마트 팜 환경에서 보안 위협 및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s in Smart Farm Environments)

  • 김선집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3-58
    • /
    • 2024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IoT, Big-data, AI, Cloud 기술들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신성장 동력의 핵심 기반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농업 분야에도 예외 없이 이러한 핵심 기술들이 적용되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 및 생산의 자동화를 통해 농업 분야의 문제점인 노동력 부족 현상 해결, 생산비 절감, 환경 부담 절감 등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농업 분야에도 보안 사고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팜을 기초, 중간, 고도의 3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특성, 보안 위협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클라우드 플랫폼하에서 컨테이너 기반 다양한 서비스 및 연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안 위협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Electrical Power Subsystem of Cube Satellite STEP Cube Lab for Verification of Space-Relevant Technologies

  • Park, Tae-Yong;Chae, Bong-Geon;Oh, Hyun-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31-37
    • /
    • 2016
  • STEP Cube Lab (Cube Laboratory for Space Technology Experimental Project) is a 1U standardized pico-class satellite. Its main mission objective is an on-orbit verification of five fundamental core space technologies. For assuring a successful missions of the STEP Cube Lab with five payloads, electrical power subsystem (EPS) shall sufficiently provide an electrical power to payloads and bus systems of the satellite during an entire mission life. In this study, a design process of EPS system was introduced including power budget analysis considering a mission orbit and various mission modes of the satellite. In conclusion, adequate EPS hardware in compliance with design requirements were selected. The effectiveness and mission capability of EPS architecture design were confirmed through an energy balance analysis (EBA).

휴먼 케어를 위한 초실감 감성 상호작용 기술 (Affective Interaction Technologies for Human Care)

  • 김진서;박창준;이기석;김명규;유원영;지형근;정일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1호
    • /
    • pp.43-53
    • /
    • 2021
  • Super-realistic content technology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core of the "new normal" that can overcome the spatial constraints caused by pandemics. It is moreover the core that allows users in remote locations to meet and engage in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a network. Content technology is rapidly spreading beyond the existing entertainment area to various industries as an innovative tool that can be used to overcome space-time constraints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industrial sites, because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re now super-connected with ultra-low latency. However, existing services such as teleconferencing and tele-collaboration do not provide a level of realism that replaces face-to-face services, and various technical requirement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is. The trends in core technologies such as XR twins, hyper-realistic reproduction, sensory interac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are necessary for interactive realistic content that leads to feelings, from reproduction to experience and emotion, are explained. In this article, our aim is to present the future of realistic content that enables human care and can even overcome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the "Corona blues".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발전방향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용가능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나 개념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위성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cheme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Korea Satellite Industry)

  • 은종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5-39
    • /
    • 2013
  • 우주 산업은 21세기 가장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부각되는 미래의 핵심 산업이다. 하지만 우주 산업은 인프라 구축에 초기 투자비용이 막대하여 단기에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 민간 기업이 독자적으로 우주 사업을 수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미국, 일본 등 우주 산업 선진국들은 초기에 정부의 정책지원으로 일정수준까지 우주 기술발전을 도모하여 왔다. 우리나라는 2005년 우주개발진흥법의 제정과 국가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의 수정 등 제도적인 보완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세계 8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동안 위성을 독자 개발하여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할 정도의 능력을 가진 대기업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임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위성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큐브위성 STEP Cube Lab. 비행모델의 전자조립 및 기능시험 과정 (A Series of Process of Electrical Integration and Function Test for Flight Model of STEP Cube Lab.)

  • 정현모;채봉건;한상혁;오현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814-824
    • /
    • 2016
  • 본 논문에서 제안한 우주기반기술 검증용 큐브위성의 명칭은 STEP Cube Lab. (Cube Laboratory for Space Technology Experimental Project)으로 주요임무는 국내 산학연에서 기수행된 우주핵심기술을 발굴하며, 자체 개발 탑재체를 궤도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의 임무 구현을 위해 체계 레벨에서의 요구조건에 따라 전자조립 및 기능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비행 소프트웨어 설계의 유효성을 입증하였으며, 발사 궤도 열 환경시험을 통해 수락수준의 비행모델 검증을 완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FM EIT, 발사 궤도 열 환경에서 수행한 기능시험의 일련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Indoor Spatial Awareness Project and Indoor Spatial Data Model

  • Li,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41-453
    • /
    • 2008
  • LBS, GIS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우리가 다루는 공간은 더 이상실외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공간은 실외공간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내의 공간의 통합되고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새로운 이론, 데이터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공간인지를 위한 기초이론을 개발하고, 핵심기술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인지(ISA) 프로젝트의 목표와 연구주제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실내공간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기초적 데이터타입과 연산자를 위한 프리즘데이터 모델을 소개한다. 또한 T. Kolbe가 제안한 실내공간 모델도 함께 소개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공간을 통합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