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cultivar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33초

콩에서 Source-Sink변경이 건물축적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ce-Sink Alteration on Dry Matter Accumulation and Protein Content in Soybean)

  • 성락춘;박지희;박세준;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3-730
    • /
    • 1995
  • 콩의 건물축적과 단백질전류에 대한 Source-Sink변경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실험농장에서 황금콩을 공시품종으로 착협시기(R3)에 상위 40%, 하위 60%의 엽과 협을 제거하여 건물중 및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하위 엽과 경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상위 종실과 협 건물중은 감소하였다. 2. 엽의 단백질함량은 상위 엽보다 하위 엽에서 높았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처리에서 낮았다. 4.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엽의 단백질함량은 가장 높았고 종실 단백질함량은 가장 낮았다. 5. 본 실험의 결과에서 콩의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나 생식생장기간중의 장거리 전류를 위한 엽 단백질의 재이동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ariation and stability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 soybean landraces and cultivars

  • Seo, Min Jung;Park, Myoung Ryou;Yun, Hong Tae;Park, Chang H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1-221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variation of growth traits of soybean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less sensitive trait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wing was carried out on June 2 each year and the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three replicate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irty soybean varieties which consisted of 19 cultivars for beancurd and soypaste, 8 cultivars for soy-sprout including 1 landrace, and 3 cultivars for cooking with rice including 1 landrace during the period 2014-2015.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quite different with extremely low precipitation and longer sunshine duration in 2015 than 2014.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owth period such as days of growth, days of maturity, days of flowering and the 100-seed weight was less in spite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was high. Considering growth and seed characteristics like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the number of seeds per pod and 100-seed weight which are linked directly to the yield, cultivars such as Shingi, Daewonkong, Danbaegkong, and Daepung for beancurd and soypaste, Pungwon, Haepum and Shingang for soy-sprout and Seoritae for cooking with rice were more stable and could be expected to have high yield in Suwon, the south-central part of South Korea.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 cultivars with high stability under changeable weather condition.

  • PDF

식물생장조절제처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TIBA, ABA, DGLP) Treatment on Growth and Seed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 정일민;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1989
  • 추대두형품종을 조파 또는 적파 재배하여 개체당 생육량을 증대시키면서 건실한 생육을 유동하기 위하여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였을 때 이들이 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에 영향하는 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파할 경우 적파에 비하여 주경절수, 분기수, 협수, 100립량 등의 형질들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a당 수량도 8% 증가했다. 2. TIBA 또는 ABA 처리는 경장단축, 경직경증대 및 도복경감 등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결협률 주당입수를 증대시켜 종실수량이 6%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TIBA 처리에 의해서는 12%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3. 생장조절제 처리횟수에 있어서는 6엽기에서부터 5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하는 것이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여 수량이 증대되었으며 3회 처리구에서는 도복경감, 결협률 및 천립량 증대효과가 크게 나타나 16%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생장조절제 중에서느 TIBA의 효과가 가장 좋아서 조파구나 적파구에서 모두 TIBA 3회 처리구에서 20% 이상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 PDF

Polymorphism and Expression of Isoflavone Synthase Genes from Soybean Cultivars

  • Kim, Hyo-Kyoung;Jang, Yun-Hee;Baek, Il-Sun;Lee, Jeong-Hwan;Park, Min Joo;Chung, Young-Soo;Chung, Jong-Il;Kim, Jeong-K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19권1호
    • /
    • pp.67-73
    • /
    • 2005
  • Isoflavones are synthesized by isoflavone synthases via the phenylpropanoid pathway in legumes. We have cloned two isoflavone synthase genes, IFS1 and IFS2, from a total of 18 soybean cultivars. The amino acid residues of the proteins that differed between cultivars were dispersed over the entire coding region. However, amino acid sequence variation did not occur in conserved domains such as the ERR triad region, except that one conserved amino acid was changed in the IFS2 protein of the GS12 cultivar ($R_{374}G$) and the IFS1 proteins of the 99M06 and Soja99s65 cultivars ($A_{109}T$, $F_{105}I$). In three cultivars (99M06, 99M116, and Simheukpi), most of amino acid changes were such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ino acid sequences of IFS1 and IFS2 was reduced. The expression profiles of three enzymes that convert naringenin to the isoflavone, genistein, chalcone isomerase (CHI), isoflavone synthase (IFS) and flavanone 3-hydroxylase (F3H) were examined. In general, IFS mRNA was more abundant in etiolated seedlings than mature plants whereas the levels of CHI and F3H mRNAs were similar in the two stages. During seed development, IFS was expressed a little later than CHI and F3H but expression of these three genes was barely detectable, if at all, during later seed harden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levels of CHI, F3H, and IFS mRNAs were under circadian control. We also showed that IFS was induced by wounding and by application of methyl jasmonate to etiolated soybean seedlings.

논 재배 콩의 재배조건에 따른 생장 분석 (Growth Analysis of Soybean depending on Cultivating Method in 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31
    • /
    • 2005
  • 콩의 논 재배시 생육반응은 밭에서와는 다른 결과가 예상되므로, 논재배 콩의 휴립조건에 따른 생장분석을 분석 하고자 화엄 풋콩 등 5품종을 고휴와 평휴로 재배하여 생육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립조건에 따른 콩의 지상부 생육은 경장의 경우 전 생육기에서 평휴재배시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분지수와 경직경은 생육 후기로 갈수록 고휴조건에서 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상부 생육은 재배조건에 따른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논에서 휴립 조건에 따른 생육단계별 콩의 지상부생육은, 생육초기인 V5 stage에서는 평휴재배시 건물 생산능력이 고휴재배시 보다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될수록 고휴로 재배할 때 건물중 생산이 높았으며, 전 생육기간 동안 품종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재배조건에 따른 콩의 논에서의 지하부의 생육은, V5, R2 및 R5 stage 등 전 생육기간동안 고휴 재배시 지하부의 생육이 평휴재배조건 보다 왕성하였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컸다. T/R율은 평휴로 재배할 경우 높았고,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었다.

대두 품종에 따른 자엽절에서의 다신초 형성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Cotyledonary Nodes of Soybean Cultivars)

  • 하건수;한태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51-57
    • /
    • 2002
  • 대두의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고자 품종별 shoot 형성률, 적정배지 및 적정조직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유묘의 조직부위별 비교에서는 1개의 자엽을 포함한 절에서 multiple shoot 형성률이 높았다. 기본배지에서는 1/2 B5배지가 효율적이었으며, TDZ 처리시에 multiple shoot 형성률이 높았으며, 처리농도는 2mg/L가 효율적이었다. Shoot 형성시 자엽 네 전분은 배양 1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으며, 수용성 당은 배양 2주까지 증가 후 shoot가 형성되는 배양 4주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품종 간 비교에서는 품종에 따라 shoot 형성 양상이 구분되어, '흑청콩' 등 11품종에서는 multiple shoot 형성률이 높았고, '만리콩' 등 16품종에서는 pair shoot 형성률이 높았다. 자엽절에서 shoot가 형성되는 양상에 따른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pair shoot의 경우 내생적으로 잠재한 액아에 의한 것이며, multiple shoot의 경우는 새로이 형성된 shoot로 확인되었다.

Studies on the Construction of Mutant Diversity Pool (MDP) lines, and their Genomic Characterization in Soybean

  • Dong-Gun Kim;Sang Hoon Kim;Chang-Hyu Bae;Soon-Jae Kw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9
    • /
    • 2021
  • Mutation breeding is useful for improv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crop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soybean Mutant Diversity Pool (MDP) from 1,695 gamma-irradiated mutants through two selection phases over M1 to M12 generations; we selected 523 mutant lines exhibiting at least 30% superior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econd, we eliminated redundant morphological phenotypes in the M12 generation. Finally, we constructed 208 MDP lines and investigated 11 agronomic traits. We then assessed the genetic diversity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se MDP lines using target region amplification polymorphism (TRAP) markers. Among the different TRAP primer combinations, polymorphism levels and PIC values averaged 59.71% and 0.15, respectively. Dendrogram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es divided the MDP lines into four major group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MOVA, the percentage of inter-population variation among mutants was 11.320 (20.6%), whereas mutant inter-population variation ranged from 0.231 (0.4%) to 14.324 (26.1%). Overall, the genetic similarity of each cultivar and its mutants were higher than within other mutant populations. In an analysis of th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using based on the genotyping-by-sequencing (GBS), we detected 66 SNPs located on 13 different chromosomes were foun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four agronomic traits: days of flowering (33 SNPs), flower color (16 SNPs), node number (6 SNPs), and seed coat color (11 SNP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previously reported for other genetic resource populations, including natural accessions and recombinant inbred line.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genomic changes in mutant individuals induced by gamma rays occurred at the same loci as those of natural soybean populat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integration of GBS and GWAS can serve as a powerful complementary approach to gamma-ray mutation for the dissection of complex traits in soybean.

  • PD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KASP Markers Targeting the Lipoxygenase Gene in Soybean

  • Seo-Young Shin;Se-Hee Kang;Byeong Hee Kang;Sreeparna Chowdhury;Won-Ho Lee;Jeong-Dong Lee;Sungwoo Lee;Yu-Mi Choi;Bo-Keun 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294-303
    • /
    • 2023
  • Lipoxygenase gives soybeans their grassy flavor, which can disrupt food processing efficienc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oybean genotypes with lipoxygenase deficiency among 1,001 soybean accessions and to develop kompetitive allele specific PCR (KASP) markers that can detect lipoxygenase mutations. Three lipoxygenase isozymes (Lox1, Lox2, and Lox3) were analyzed using a colorimetric assay based on a substrate-enzyme reaction. Among the 1,001 accessions examined, two (IT160160 and IT276392) exhibited a deficiency solely in Lox1, and one (IT269984) lacked both Lox1 and Lox2. IT160160 had a 74-bp deletion in exon 8 of Lox1 (Glyma13g347600), whereas IT276392 displayed a missense mutation involving the change of C to A at position 2,880 of Lox1. Moreover, we successfully developed four KASP markers that specifically target Lox1, Lox2, and Lox3 mutations. To validate the Lox1 KASP markers, we used two F2:3 populations generated through a cross between Daepung 2 (lipoxygenase wild type, maternal parent), IT160160, and IT276392 (null Lox1, paternal par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aepung 2 × IT160160 group followed the expected 3:1 ratio according to Mendel's law, whereas the Daepung 2 × IT276392 group did not. Furthermore, a comparison between the colorimetric and KASP marker analyses results revealed a high agreement rate of 96%. KASP markers offer a distinct advantage by allowing the distinction of heterozygous types independent of other variables. As a result, we present an opportunity to expedite the lipoxygenase-deficient cultivar development.

남부지역에서 주요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생태적특성 및 수량 변이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Major Soybean Cultivars at Different Sowing Times in Southern Korea)

  • 김동관;최진경;박흥규;신해룡;윤성탁;이경동;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7-66
    • /
    • 2013
  •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주요 콩 품종의 파종기 이동이 생태반응과 생육 및 수량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circ}$ 04'N, 경도 $126^{\circ}$ 54'E)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개년간 수행되었다. 여름형콩 품종인 새올콩과 다원콩, 가을형콩 품종인 태광콩, 풍산나물콩 및 청자3호를 이용하여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에 파종하였다. 1. 여름형콩 품종 중에서 새올콩은 다원콩에 비해 파종기 지연에 따른 개화일수와 등숙일수 및 생육일수의 짧아지는 정도가 적었다. 2. 가을형콩 품종 중에서 태광콩의 생식생장기 일장반응은 풍산나물콩이나 청자3호보다 낮은 편이었다. 반면에 풍산나물콩과 청자3호의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 일장반응은 기타 시험품종보다 높았고, 그 경향은 풍산나물콩이 더 컷다. 3. 경장, 주경절수 및 주경두께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늦게 파종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새올콩의 경장과 주경절수는 유의차가 없었다. 4. 여름형콩 품종인 새올콩과 다원콩의 제1착협절위와 모든 시험품종의 절간장은 파종기를 달리하여도 유의차가 없었다. 5. 개체당 협수는 새올콩을 제외한 모든 시험품종에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소립종인 다원콩과 풍산나물콩에서 변이가 크고, 특히 가을형콩 품종인 풍산나물콩이 더 컷다. 6. 수량은 다원콩과 태광콩 및 풍산나물콩 5월 30일 파종, 청자3호 5월 30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다. 새올콩의 수량은 5월 30일부터 7월 15일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고 5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낮았다.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to Planting Density in Late Planting)

  • 박현진;한원영;오기원;고종민;배진우;장윤우;백인열;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43-348
    • /
    • 2015
  • 1. 남부지역에서 대원콩을 이용하여 재배한 결과, 주당본수를 높일수록 식물체 간 경합에 의해 경장은 길어지고 경태는 가늘어지며 분지수가 감소하여 도복에 취약한 초형으로 생육한다. 다만 만파재배 시에는 생육기간이 단축되므로 주당본수를 높이더라도 도복이 우려될 만큼 경장이 신장하지 않는다. 2. 마디수는 주당본수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협수는 주당본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재식밀도의 증가에 의한 증수효과는 7월 중순이후로 극만파할 때에 관찰되며 1주 4본 재배 시 표준재배에 비하여 34 % 증수효과가 있었고, 1주 5본 이상 재배할 경우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였다. 4. 따라서 만파재배 시에는 밀식하여도 잘 도복하지 않으며 $70{\times}20cm$로 재배할 때 1주 4본까지 재식밀도를 높이는 것이 수량증대에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