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oligosaccharid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9초

당뇨환자를 위한 올리고당 첨가 콩 아이스크림 : 품질특성과 당뇨 흰쥐에서의 혈당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for Diabetic Patients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n Blood Sugar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허보영;성혜영;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63-67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t only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overrun, meltdown and sensory evaluation of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but also physiological effects of ice cream with soy and/or oligosaccharide on blood sugar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owder of parched soybean was added at $7.6\%$ replacing skimmed milk and cream, soybean oil at $7.6\%$ replacing milk oil in cream, and fructooli-gosaccharide at $9.5\%$ replacing sucrose on weight basis. Five kinds of ice cream were prepared: MMS (skimmed milk, milk oil, sucrose), MMO (skimmed milk, milk oil, oligosaccharide), SSS (soybean, soybean oil, sucrose), SSO (soybean, soybean oil, oligosaccharide), and BSO (black soybean, soybean oil, oligosaccharide). Overrun and meltdown of soy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lk ice cream. Scores of sensory evaluation especially in mouth feel and melting feel in mouth were lower in soy ice cream. Freeze-dried ice cream was supplemented to AIN93-based diets at $30\%$(w/w). Sprague-Dawley male rats with diabetes induced by injecting streptozotocin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Plasma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SSO group compared with MMS group. Plasma insulin levels of MMO and SS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group, while those of MMS and SS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group. Plasma cholesterol was decreased in groups fed ice cream supplemented either soybean or fructooligosaccharide compared to MMS group. HDL-cholesterol level was elevated and triglycerid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MMO group compared to MMS group. LDL-cholesterol levels of SSS and BSO groups and liver triglyceride level of SS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MMS group. In conclusion,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lowered blood sugar, and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oybean and/or oligosaccharide improved lipid profile in diabetic rats.

당뇨쥐에서 올리고당 첨가 콩아이스크림이 산화스트레스와 장생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on Oxidative Stress and Fecal Microflor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허보영;성혜영;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36-15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당뇨환자를 위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할 목적으로 아이스크림의 주원료인 우유단백질, 유지방과 설탕의 일부를 노란콩과 검정콩, 대두유 및 프럭토올리고당으로 대체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통하여 산화스트레스 완화와 장 미생물생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동결건조한 아이스크림을 AIN-93 식이의 $30{\%}$수준으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5주령 된 Sprague Dawley 종 수컷 쥐를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과 당뇨군 5군으로 나누고,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고, 실험식이를 자유롭게 4주 동안 섭취시켰다. 희생된 쥐의 장기와 혈액을 취하고, 항산화능 및 장내미생물생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장의 지질과 산화물 농도는 당뇨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당뇨군 중에서 콩아이스크림군과 올리고당첨가 검정콩아이스크림군이 우유아이스크럼군에 비해 혈장 지질과산화물의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올리고당 첨가 우유아이스크림과 올리고당 첨가 노란콩아이스크림을 섭취한 군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에서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우유아이스크림군만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올리고당 또는 콩 첨가 아이스크림군 모두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혈구의 SOD 활성은 콩아이스크림군이 우유아이스크림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적혈구에서의 GSH-Px 활성과 catalase 활성은 올리고당첨가 검정콩아이스크림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유익한 혐기성균인 Latobacilli 균수와 Bifidobacteria 균수가 올리고당첨가 콩아이스크림군에서 분변 중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콩아이스크림과 올리고당첨가 아이스크림도 우유아이스크림에 비해 유익한 세균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결론적으로 올리고당 첨가 콩아이스크림은 당뇨쥐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장생태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젊은 여성에서 대두 올리고당 섭취가 변의 비피더스균 수 및 지방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oligosaccharide Intake on Fecal Bifidobaeteria and Lipid Concentration in Korean Young Women)

  • 방명희;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662-66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y oligosaccharide consumption on feces bifidobacteria proliferation and feces lipid profiles in Korean young women. Eight healthy young women (25 - 34 years) were fed 15 g/day of soyoligosaccharide solution, containing 3 g of oligosaccharide as form of raffinose and starchyose, for 15 days with their habitual meals. Soyoligosaccharde intake increased the numbers of fecal total bacteria significantly until 10 days (p < 0.05) and the numbers of fecal bifidobactre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15 days (p < 0.05) . The fecal p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by soyligosaccharide intake. Fecal lipid concentration showed the trend to increse, especially fecal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soy oligosaccharide intake (p < 0.05). The water contents of feces, the amount of feces, evacuation frequency and taking time to evacuation were not affected by soyoligosaccharide intake. The color of feces changed to yellow-brown, and hardness of stool and effort to evacuation were reduced by soyoligosaccharide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oligosaccharide intake (3 g/day) in young women improved the gut microflora and fecal lipid profile. Therefore, soy oligosaccharide has a potential to be used as one of the promising prebiotics, and controlled trial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longer duration are need to be studied further.

혼합균주를 이용한 대두유의 발효에 따른 당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of Oligosaccharide and Free Amino Acid in Soy Yogurt Fermented with Different Mixed Culture)

  • 김철현;신용국;백승천;김수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39-745
    • /
    • 1999
  • 대두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가격이 저렴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그러나 특유의 대두취와 난소화성으로 인해 소비가 제한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혼합유산 균주 및 효모첨가에 따른 배양시간대별 당이용성 및 아미노산 변화를 측정하여 대두유내 당류와 아미노산들이 혼합균주에 의해 이용되는 경향과 이에 따른 산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 thermophilus와 Sac. uvarum로 발효된 처리구가 pH 4.45, 산도 0.86으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두내 당 이용성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로 발효된 처리구는 대두올리고당의 이용성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았고, Sac. uvarum과 혼합발효된 처리구들의 당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ac. uvarum과 혼합배양하였을 경우 Sac. uvarum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대두내 과당류로부터 분해된 단당류를 유산균들이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각 혼합균주의 아미노산 이용성에 있어서도 Sac. uvarum으로 혼합발효된 처리구가 유산균만을 혼합한 처리구에 비해 지속적인 아미노산 이용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산균과 효모의 서로 다른 단백질가수분해능에 의한 상호 보완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화칼슘을 이용한 대두 올리고당의 회수 (Recovery of Soy Oligosaccharides using Calcium Oxide)

  • 최연배;김강성;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29
    • /
    • 1995
  • 저칼로리 감미료로서 장내 미생물 균총을 개선한다고 알려진 대두 올리고당을 전처리 및 Steffen법을 이용하여 대두 침지액으로부터 분리, 회수하였다. 전처리로서 pH를 $3.5{\sim}4.0$으로 조절하거나, 염화칼슘을 당 대비 8%(w/w)를 첨가하여 대두 침지액 중에 함유된 단백질을 약 $25{\sim}30%$가량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대두 침지액에 염화칼슘과 산화칼슘 분말을 각각 당 대비 약 20%, $100{\sim}120%$씩 첨가한 후 $5^{\circ}C$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키는 Steffen법을 이용하면 대두 침지액 중에 존재하는 대두 올리고당의 약 85%를 saccharate 형태로 분리, 회수할 수가 있었다. 이산화탄소로 당을 탈착시켜 회수한 결과 최종적으로 약 80%의 수율로 당을 회수할 수가 있었으며 단백질은 약 80% 정도 제거할 수가 있었다. 회수된 당액의 당조성은 대두 침지액과 유사하였다.

  • PDF

콩 함유 올리고당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Oligosaccharide)

  • 정명근;이재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
    • /
    • pp.58-64
    • /
    • 2003
  • To enjoy a healthy life, it is important to have a well-balanced diet. However, in today's societ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reprocessed foods and frequency of eating out. Also the western diet, which is becoming move popular worldwide, contains relatively high levels of protein and fat, and a low amount of fiber, Furthermore,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favorite foods has created a condition were the individual diet is less variable. With these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diet that is nutritionally balanced. With these unbalanced diets, which are difficult to chang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dult disease and health problems, such as colon and breast cancer, It is speculated that metabolites for carcinogens are produced from diet components and that intestinal bacteria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these metaboli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diet, and intestinal microflora. Soybean oligosaccharide is composed of water-soluble saccharides that have been extracted from soybean whey, a by-product from the production of soy protein. This is mainly a mixture of mono-, di-, tri-, and tetrasac-charides, with the principle components being the oligosaccharide raffinose and stachyose. When consumed by humans, the oligosaccharides cannot be digested in the human duodenal and small intestinal mucosa, and these are selectively utilized by beneficial bifidobacteria in intestines. The results of acute and subacute toxicity tests, soy-bean oligosaccharides were nonpoisonous. Soybean oligosaccharides promote the growth of indigenous bifido-bacteria in the colon which by their antagonistic effects, suppress the activity of putrefactive bacteria. Also, they reduce toxic metabolites, detrimental enzymes and plasma lipid, and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bowel evacuation and fecal quantities. Consequently, soybean oligosaccharides as functional foods components have potential roles in the prevention and medical treatment of chronic adult diseases. The study of processing proper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soybean oligosacchavides and development of high oligosaccharide variety allow the creation of new and exciting foodstuffs that aye functional healthy.

Textur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Tofu Manufactu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Fortified with Food Ingredients

  • Shim, Jae-Jin;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78-283
    • /
    • 2003
  • Textural properties of tofu manufactu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MFS) were enhanced by the addition of soy protein isolate, whey protein concentrate,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mushroom powder. The MFS solution (14.2% solid content) was converted to semi-solid tofu by a two-stage heat treatment with the addition of 4% coagulant mix. The MFS tofu was evaluated by a compression test as well as sensory evaluation. To produce the semi-solid gel (MFS tofu) with reasonably high strength and toughness, the MFS solution with 14.2% solid content and 7.0% protein had to be heat treated at 121$^{\circ}C$ for 3min. The relative toughness of MFS tofu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SPI, showing a 144% increase. The toughness of MFS tofu prepared with the MFS/SPI mixture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WPC at the level of 0.7% and the water separation from MFS tofu was greatly reduced. Furthermore, the toughness and strength of MFS/SPI tofu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0.1%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0.2% mushroom powder.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tofu fortified with SPI,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mushroom powder was superior to that of MFS tofu, with a higher score for overall preference.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 Choung Myoung-G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19-32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on-line HPLC-RID-ES/MS and HPLC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ir contents for high quality soybean breeding. The monosaccharide (glucose) and three oligosaccharides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were identified in Korean soybeans by their chromatographic behavior and results of on-line HPLC-RID-MS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ode. On the basis of HPLC with a RID detector, the 32 Korean major soybeans contain $0.37{\pm}0.26\%$ glucose, $4.55{\pm}0.91\%$ sucrose, $1.19{\pm}0.19\%$ raffinose, and $2.72{\pm}0.37\%$ stachyose on a dry basis. In 468 soybean germplasms, the ranges of glucose,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were $0.03 - 0.98\%$, $2.33 - 6.96\%$, $0.08 -1.87\%$ and $0.75 - 3.18\%$, respectively. Among 500 soybean samples, oligosaccharide contents of 32 Korean major cultivated soybeans and 468 soybean germplasms were varied $5.83 - 10.06\%$ and $3.66 - 10.32\%$,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of glucose,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in soluble carbo­hydrates of 500 soybean samples were $2.07 {\pm} 1.75\%$, $58.01{\pm}5.82\%$, $10.13{\pm}2.28\%$ and $29.80{\pm}4.54\%$, respectively. Sucrose appeared to be most prevalent in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두유와 전두유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lysate Soy Milk and Whole Soy Milk)

  • 장세영;신경아;박난영;방광웅;김정훈;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1-366
    • /
    • 2008
  • 본 연구는 두유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효소 가수분해 방법으로 저분자화에 따른 기능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두유액(SM), 두유액 가수분해물(HSM), 전두유액(WSM) 및 전두유 가수분해물(HWSM)의 일반성분은 비지 제거의 유무에 따라 성분함량 차이를 보였으나 저분자화 효소처리에 따른 변하는 거의 없었다. 색도는 대두의 비지 제거 유무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가수분해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리당과 올리고당의 총함량은 SM이 1,389.88 mg%, HSM 1,013.51 mg%, WSM 1,539.51 mg%, HWSM 1,331.13 mg%로 효소 가수분해 처리 후 감소하였다. HSM과 HWSM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9.26%, 45.34%로 SM과 WSM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CE 저해활성도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HSM과 HWSM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구, 원료 콩에서 비지제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 두유액 가수분해물(HSM) 및 전두유 가수분해물(HWSM)은 영양성분이나 기능적 특성이 두유액(SM)과 전두유액(WSM)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다양한 기능성 강화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와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콩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과 혈당개선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Prepared with Fermented Soybean Powder Base and Oligosaccharide and Its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 박인경;양선희;최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8-95
    • /
    • 2008
  • 본 연구는 콩 아이스크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콩을 데치고 동결 건조 한 후 분말화하여 과즙을 첨가하고 혼합 유산균 종균을 배양시켜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를 제조한 후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식감개선, 저칼로리 및 혈당 수준의 개선 특성을 가진 콩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과 혈당개선능을 비교하였다. 대두분말을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멸균한 후 $30^{\circ}C$로 냉각한 다음, L. acidophillus KTCT 3164와 L. bulgaricus KCTC 3635 현탁액을 $4.6}{\times}106$ CFU/mL의 농도를 1:1 비율로 혼합한 균주(1%)를 접종하고 $33^{\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후 비교한 결과,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가 볶은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에 비해 pH는높았고 점도는 낮았다. 생균수는 접종 후 24시간 배양 후 삶은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의 유산균 생육이 우세하였다. 관능검사법으로 평가한 대두분말 발효베이스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가 콩 특유의 비린 맛과 냄새가 약하면서 상큼한 풍미가 많고 입안의 질감이 부드러워서 관능적인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볶은 대두분말 베이스 아이스크림이 overrun과 녹아내리는 정도가 가장 낮았고, 이에 비해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은 overrun과 녹아내리는 정도가 증가하여 품질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냉동에 의한 생균수의 변화는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군이 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같은 아이스크림 군 간에는 냉동에의한 생균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검사에 의한 아이스크림의 텍스쳐는 우유아이스크림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우유 아이스크림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이 가장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건강한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아이스크림의 경구 혈당반응 검사 결과, 설탕 첨가 우유 아이스크림과 올리고당 첨가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 사이에 혈당 면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이스크림 섭취 후 120분 혈당은 올리고당 첨가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을 먹은 경우가 설탕 첨가 우유 아이스크림을 먹은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혈당 증가가 완만하여 식사 후 혈당관리가 중요한 당뇨환자에게는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