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western coast of Korea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7초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1741년 쓰나미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s of the 1741 Tsunami Record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 변상신;김경옥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0-37
    • /
    • 2021
  • 조선왕조실록에는 1741년 8월 29일 강원도 동해안에 쓰나미 피해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이 쓰나미는 일본 홋카이도 남서해역의 오시마섬 인근에서 발생한 것으로 당시 한반도 동해안에 대한 쓰나미 영향 분석을 위해 파향선추적모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네 가지의 수치격자형 수심자료(ETOPO2m, ETOPO1m, SKKU1m, GEBCO15c)를 이용하여 모형 결과를 산정하였으며, 그 중 해상도가 제일 높은 GEBCO15c 수심을 이용한 결과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피해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당시 강원도 동해안의 주요 지역에 쓰나미가 도달한 시간과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등 세부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고창군 광승리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 소광석;양우헌;최신이;권이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7-509
    • /
    • 2012
  • 한반도 서남해안의 고창군 광승리 개방형 대조차 해빈에서 계절에 따른 표층 퇴적상과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3개 측선의 45지점(각 측선 당 15개 지점)에서 사계절(2006. 5.~2007. 2.)동안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은 대부분 세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 입도는 겨울에 가장 조립하게 나타난다. 펄 퇴적상은 여름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겨울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표층 퇴적물의 공간 분포는 봄, 가을, 겨울에 세립사와 중립사가 해안선과 평행한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북쪽에서는 여름에 세립사, 겨울에 조립사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여름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은 조석이 파랑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철호;김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83
    • /
    • 1983
  •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해수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동해 서남 해역에서 북한 한류계수는 동한난류계수와 만나 전선을 형성하며, 난류계수의 밑으로 침강하여 동해고유수의 위에 위치한다. 침강한 북한 한류계수의 염분은 낮고 용존산소량은 매우 높아 동해고유수와 구별 이 가능함이 발견되었고, 이와 같은 염분과 용존산소의 특성치로써 하계 죽변-축산 연안 해역의 냉수괴는 용승한 동해고유수가 아니라 남하한 북한 한류계수임이 밝혀 졌다. 북한 한류계수는 동계보다 하계에 우세하게 남하하며 남하 하한은 축산-장기갑 해역으로 보인다. 국립수산진흥원이 정밀관측을 실시한 1973년에는 이보다 남쪽인감포 해역에서도 북한 한류계수의 특성이 발견되었다.

  • PDF

An undescribed genus of skate (Pisces, Elasmobranchii, Rajoidei) from Korea

  • 정충훈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8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33-33
    • /
    • 1998
  • The most recent, Jeong and Nakabo (1997) described Raja koreana as a new species based on an adult female specimen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Raja koreana has several unique characters not shared with any other supraspecific taxa of Rajoidei, but it was provisionally included in the genus Raja because of having no information of its clasper. Later, two mature males and a few specimens of th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near the type locality. Therefore, a new genus should be erected for this species. The new genu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Rostral shaft straight, narrow and thick in depth: unsegmented base with filamentous cartilage. Dorsal surface of tail with a row of distinct thorns along midline, patches of distinct thorns anterior to first dorsal fin and between first and second dorsal fins in bathe sexes; most thorns directed anteriorly, and thornlets directed posteriorly. Scapulocoracoid comparatively short and high, rear corner high, without anterior bridge, postventral fenestra expanded. Distal tip of accessory terminal 1 claspser cartilage well separated from the tip of accessory terminal 2 clasper cartilage.

  • PDF

한국 서남해안 습지의 식물 군집에 미치는 토양요인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임병선;이점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4호
    • /
    • pp.321-328
    • /
    • 1998
  • To describe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operating in coastal wetland and to characterize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 species over the wetland in relation to the major environmental gradients, 12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gradient of water and osmotic potential of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sodium and chloride content and soil texture alsong the three habitat types of salt marshes, salt swamp and sand dune were occurred. The 24 coastal plant communities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n the 12 variables were at designated as a gradient for soil texture and water potential related with salinity by Axis I and as a gradient for soil moisture and total nitrogen gradient by Axis II On Axis I were divided into 3 groups (1) 9 salt marsh communities including Salicornia herbacea communities (2) 5 salt swamp communities including Scirpus fluviatilis communities and (3) 10 sand dune communities including Jmperata cylindrica communities on Axis II were divided into 2 groups (1) salt marsh and sand dune communities, and (2) 3 salt swamp communities. The results could account for the zonation of plant communities on coastal wetland observed alsong envionmental gradients.

  • PDF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실태 분석 (Analysis of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 강주환;오남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18-1022
    • /
    • 2004
  • 지구온난화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지반의 융기 또는 침강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지역적 차이 때문에 지역적으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남해안은 $1\~3mm/yr$ 정도의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으며 제주도의 경우 $3\~5mm/yr$로 서남해안 지역에 비하여 약간 큰 값을 보이는 등 전지구적 상승량인 $1\~2mm/yr$ 보다는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 건설에 의해서도 평균해수면 뿐 아니라 고조위 및 저조위의 변화가 유발된다. 서남해안에서는 군산항과 목포항에서 특히 방조제 건설후에 각각 조위상승과 조석확폭현상이 발생하여 만조위 상승이 유발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 기인하여 목포 인근해역에서는 침식현상이 초래되고 있을 뿐 아니라 연중 해수면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고극조위가 더욱 커져 저지대 범람이 특히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동해 남부 연안용승지수의 변화 (Change of Coastal Upwelling Index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신창웅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79-91
    • /
    • 2019
  • 동해 남서부 해역의 해양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연안용승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1948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의 NCEP/NCAR 재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용승지수를 계산하였다. 평균 용승지수는 4월부터 8월까지 용승이 발생하는 양의 값이 보이며 7월에 최대 값이 나타났다. 용승지수의 장기 변화는 6월과 7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추세가 나타났으며, 5, 6, 7월 용승지수의 합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한반도 주변의 대기압 분석을 통하여 용승지수의 변화 추세는 동해남부해역을 기준으로 북서쪽 영역($35-50^{\circ}N$, $114-129^{\circ}E$)의 기압 변화 추세의 영향이라는 것을 밝혔다. 최근 7년간(2012년-2018년)의 용승지수 분석결과 2017년 7월에 용승지수가 표준편차의 3배 이상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중국 북동쪽 지방에 평년과 다르게 저기압이 발달하였고 북태평양고기압이 일본과 대만 사이까지 영향을 주어 동해 남부에 큰 기압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평년에 비하여 북쪽의 저기압과 남쪽의 고기압의 영향이 적었던 2018년 7월은 용승지수가 음의 값이었다. 동해남부 연안용승지수는 기후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경년변동이 커서 생태환경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해남지역(海南地域)에 분포(分布)된 우항리층내(牛項里層內) 흑색(黑色)셰일의 유기지화학적(有機地化學的) 연구(硏究) (Geochemical Study of Black Shale in Uhangri Formation, Haenam Area)

  • 이대성;윤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2권4호
    • /
    • pp.207-221
    • /
    • 1979
  • The studied area occupies the southern part of Haenam peninsula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rner of Korea. The stratigraphic sequences of the area are grouped into following three units in ascending order. (1) Lat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of Uhangri Formation which consist of the alternative beds of black shales and tuffaceous sediments, Hwangsan acidic fine grained tuffs and Jindo rhyolite flows. (2) Late Cretaceous biotite granite and acidic porphyries which intruded the Lat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3) Tertiary(?) pitchstone. The study purposes to delineate any of geochemical aspects on the deposition of the sequences, the average amounts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effect to the maturation of hydrocarbonization which has been occured by the intrusives. Sixty nine black shal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hangri Formation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s of the peninsula. Organic carbons, total extracted organic matters and hydrocarbons were mainly determined by the Soxhlet extraction method, together with C-H-N elemental analyses. Based on the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have been obtained. (1) The paleohydrostatic condition of the sedimentation which took place was relatively calm and stable to delineate a lacustrine environment. (2) The amounts of organic material were more or less constant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deposition of the sediments. (3) The degree of hydrocarbonization of the Uhangri Formation in the northern coast was taken place higher than that in the southern coast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rmal effect by the biotite granite which is assumed to be as a heat source in the area. Among the northern coast, some black shales in Uhangri and Mogsam areas which had been under the most moderate temperature environment snow symptomatic oily material, whereas, those in Sinseongri area do not, which were presumably to be intensive thermal alteration by the later acidic porphyries.

  • PDF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Sediments of Mokpo Coastal Area after a Strong Rainfall

  • Kim Do Hee;Sin Yong Si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302-307
    • /
    • 2002
  • The characteristics of trace metals were investigated in the sediments of the Mokpo coastal area,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were collected in September 3, 2002 after a strong rain event. The sampling sites were categorized into the inner and outer harbour based on salinity distribution and difference of trace metal concentration was evidence between these two zones. The enrichment factor (E' F) of Zn and Cr were high at the mouth of Mokpo Harbour and $E \cdot F$ of Cu was high at the east-south of Dali Island. One hundred percent of Mn and Pb samples and $40\%$ of Zn samples had E' F higher than 1 suggesting that they are accumulated in the entire outer of Mokpo Harbour. Trace metals appeared to be accumulated in the inner harbour by input of sediments in the discharged freshwater from Young-San River during strong rainfall whereas they were influenced by natural sedimentation and human activities in part.

발전소 온배수의 수력에너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o Energy Development of Discharged Cooling Water at the Power Plant)

  • 강금석;이대수;김지영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5년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813-818
    • /
    • 2005
  • Cooling seawater of thermal power plant which amounts about 5 cms per 100 MWe has hydro energy of about 3,000 kW at the thermal power plant complex, but this useful hydro energy has not been developed. Therefore, the feasibility study on hydro energy development of three power plants located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of Korea was performed. Three target power plants are Samcheonpo, Boryeong and Hadong thermal power plant. The design head to discharge cooling water by gravity and the head caused by tidal level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power. The various alternatives were studied and technical feasi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were clearly pro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