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astern reg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New record of the family Porcellidiidae Boeck, 1865 (Harpacticoida, Copepoda) in Korea

  • Seunghan Lee;Jaehyun Kim;Wonchoel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27-37
    • /
    • 2023
  • Kushia zosteraphila Harris V.A. & Iwasaki, 1996 is newly collected and described from macroalgae in the intertidal region of Gijang-gun, along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Kushia zosteraphila can be distinguished from congeners by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the first dorsal seta similar with the second dorsal seta of female P5, the length to width ratio of the female caudal ramus, and the presence of a conspicuous comb on the accessory lobe of the male antennule. Although there are some minor discrepancies, the main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 from the study area are well-matched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We herein provid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location of the reported porcellidiid species in Korea, this specimen is the second record in Korean waters of the genus Kushia. A key to species of the family Porcellidiidae in Korea is provided. A partial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COI gene was obtained and provided as a DNA barcode for this species.

서태평양 원격패턴에 따른 한국 4월 강수량의 변동 특성 (Features of Korean Rainfall Variability by Western Pacific Teleconnection Pattern)

  • 최재원;박기준;이경미;김정윤;김백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93-905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Western Pacific (WP) teleconnection pattern index (WPI) in April during 1954-2008 and rainfall amounts in the same month. Based on the results, it is identified that there have been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entral China, Korea and the southwestern part of Japan in the East Asian region. Through differences between 10 positive WP years and 10 negative WP years selected from the April WPI excluding ENSO years, it is found that rainfall amounts increase in April of positive WP years due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creases in rainfall amounts are evident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wher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s the highest and this is because anomalous southwesterlies are strengthened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due to the spatial pattern of a south-low-north-high anomalous pressure system centered on this region that is made by anomalous anticyclones centered on the southeastern side of the region and other anomalous anticyclones centered on the northeastern side of the region. In addition, anomalous westerlies (jet) are strengthen in the upper troposphere of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and as a result, anomalous upward flows are strengthened in this region and thus anomalous warm air temperatures are formed in the entire level of the troposphere in the region. In addition to atmospheric environments, anomalous warm sea surface temperatures are formed in the seas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to help the rainfall amount increases in the East Asian middle latitudinal region.

한반도 남부지역의 저수지에서 계절 변화에 따른 규조류 변화 기록 (Modern diatom seasonal variation records from the bottom sediments of reservoirs, southern area in Korean Peninsula)

  • 박영숙;이상헌;김동욱;이은미;김용미;전창표;김진철;최한우;신문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2권1_2호
    • /
    • pp.1-29
    • /
    • 2018
  •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저수지로부터 규조의 계절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지저수지, 죽토저수지, 월정소류지(남동부), 화영과 화동저수지, 월용저수지(남중부), 원선2제, 장동제와 만년1제(남서부)등 총 8곳으로부터 계절별로 수거한 저수지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규조를 분석한 결과, 남동부 지역에서는 우점종으로서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tener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Gyrosigma attenuatum등이 산출되었다. 남중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ploneis finnica, Fragilaria crotonensis등이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남서부 지역에서는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arvulum, Stenopterobia curvular가 역시 우점으로 산출되었다. 산출된 대부분의 우점종들이 청정수역에서 서식하는 종(Saproxenous taxa)들로서 이들 저수지의 수질 환경은 오염되지 않은 수역으로 생각된다. 계절별로 규조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욱 풍부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남동부의 저수지들에서는 2월보다 5월에 채취한 시료들에서 규조의 개체수 농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붕(大陸棚)에 분포(分布)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 (The Polychaete Assemblage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9-183
    • /
    • 1989
  •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란(大陸爛)에 서식(棲息)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의 종류를 파악(把握)하고, 또한 이들 군집(群集)이 서식지(棲息地) 환경(環境)에 어떻게 적응, 서식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80개 조사정점에서 채집된 다모류(多毛類)의 종류와 개체수의 자료로부터 집괴분석(集塊分析)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해역은 크게 연안역(沿岸域)과 외해역(外海域)으로 양분되었고, 8개의 다모류(多毛類) 군집(群集)이 구별되었다. 이질(泥質) 퇴적물(堆積物)이 우세한 연안역(沿岸域)에서는 Nothria holobranchiata 군집(群集)이 포항 근해역에, Magelona-Maldane 군집(群集), Ophelina acuminata 군집(群集), Nothria conchylega 군집(群集)이 연안해역의 남북방향으로 존재(存在)하였다. 이들 연안역(沿岸域)의 군집(群集)들은 종수가 적고 종다양성 지수도 낮았다. 외해역(外海域)에서는 이질퇴적물(泥質堆積物)로 구성된 대륙붕단에 Terebellides-Aglaophamus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고, 이사질(泥砂質)과 사질(砂質)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Myriochele oculata 군집(群集), Spiophanes kroyeri 군집(群集) 및 Ninoe palmata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다. 외해역(外海域)의 군집(群集)들은 연안역(沿岸域)에 비해 종수나 종다양성이 높았으나, 평균서식밀도는 낮았다.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그들의 식이형(食餌型)과 내장의 내용물로부터 특정 퇴적물(堆積物)에 높은 선호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 퇴적물(堆積物)에서의 다양한 군집(群集)의 존재(存在)는 수심과 수온이 저서(底棲) 다모류(多毛類)의 분포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은 퇴적물(堆積物)의 특성과 수심(水深) 또는 수온(水溫)에 따라 결정됨을 보여준다.

  • PDF

부산일대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 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rowth Density on th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area of Busan, Korea)

  • 이상철;홍석환;김동필;최송현;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4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세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곰솔과 소나무에 대한 식재요구도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난온대림지역에 속하는 부산일대, 남동부지역에 주요 조경수목인 소나무림과 곰솔림을 대상으로 자연림의 생육밀도를 파악한 후 난온대림에 적합한 생태적 식재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한반도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나무림 22개소, 곰솔림 60개소를 선정하여 $100m^2$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구 내 출현하는 교목, 아교목층 수종의 흉고직경 및 개체수를 조사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평균흉고직경급별 적정 개체수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흉고직경의 생장에 따른 교목층 생육개체수 예측모형의 결정계수는 곰솔림 0.700, 소나무림 0.533으로 단일 요인에 의한 설명력으로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회귀모형은 곰솔림의 경우 $Y=31.176e^{-0.055x}$, 소나무림의 경우 $Y=38.351e^{-0.059x}$(X=흉고직경, Y=개체수/$100m^2$)였다. 남동부지역의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밀도는 중부지방보다 다소 높았다.

한국 제조업 입지 변화와 산업도시 쇠퇴 (Changes in Manufacturing Location and the Decline of Industrial Cities in Korea)

  • 구양미;김성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5-9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제조업의 입지와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1960년대~1980년대에 한국의 수출주도형 산업정책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입지정책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동남권 중심의 제조업 공간구조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 세계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라 기술 및 지식 집약적 제조와 연구개발 활동이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반면 조립공장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비수도권 산업도시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제조업 및 창업 활동이 수도권에 더욱 집중되면서 인접한 충청권 북부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생산 기능 해외 이전, 국가적 차원에서 지식 집약적 제조 및 연구개발 활동의 수도권 집중이 제조업 공간구조에 투영된 결과이다.

자동차 교통사고에 의한 도시유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ies Types by Automobile Traffic Accidents)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52
    • /
    • 2007
  • 본 연구는 자동차 교통사고에 의한 도시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교통사고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차 교통사고에 의한 유형도시는 4가지로, A유형은 서울시로 '자동차 용도와 사고유형'과 가장 강한 관련을 맺고 있고, B유형은 오산시로 교통사고 발생규모가 매우 큰 도시이다. C유형은 서울시의 위성도시와 광역시, 남동임해공업지역에 분포하는데, 교통사고의 발생규모가 작은 도시군이다. D유형은 의정부시를 포함한 57개 도시로 전국에 분포하는데, 전국평균보다 자동차 교통사고가 많은 도시군이다. 자동차 교통사고에 의한 각 도시유형과 교통사고 원인과의 관계에서 서울시는 안전거리 미확보, 기타 지역의 도로형태, 보행자 부상이 탁월하며, 오산시는 도로형태에서는 단일로 기타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중앙선 침범, 14세 이하의 어린이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 그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유형은 제1당사자 법규위반에 기타가 포함되었으며, 도로형태에서 교차로 6m 미만에서의 교통사고가 많다는 점, 14세 이하의 어린이 교통사고와 보행자 부상에 의한 교통사고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D유형은 제1당사자 법규위반, 교차로 운행방법, 61세 이상 부상 14세 이하의 부상, 보행자 부상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 PDF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부산 송정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 분석 (Analysis of Shoreline Change Using Multi-temporal Remote Sensed Data on Songjeong Beach, Busan)

  • 장동호;김장수;백승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9-71
    • /
    • 2012
  • 이 연구는 다중시기 원격탐사 영상과 GPS 측량자료 및 입도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송정해수욕장의 장기간 해안지형 변화와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시기 원격탐사 영상 분석에서는 2000년대 초까지 해빈이 전체적으로 안정 상태였으나, 2000년 이후 해안을 따라 호안도로가 건설되면서 전반적으로 침식이 진행되었다. DEM 변화 분석에서는 해빈을 따라 호안도로가 건설된 이후 전체적으로 해빈의 고도가 낮아지고 범의 경사가 급해지는 것으로 보아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북쪽 해빈지역에서 침식보다는 오히려 퇴적환경이 약간 우세하여 범의 경사가 다소 완만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시료의 입도분석에서는 해빈의 남동부 지역(E측선)이 가장 조립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이 비교적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강한 파랑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최근 연구지역 내 해빈 침식의 주요 원인은 해안을 따라 건설된 호안도로에 의해 사구로부터의 모래 공급원 차단과 남동쪽 해안에서의 파랑에너지 강화에 따른 세굴 현상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향후 지형변화나 인위적인 변화가 없을 경우 지속적으로 침식이 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Molecular Phylogeny and Geography of Korean Medaka Fish (Oryzias latipes)

  • Kang, Tae-Wook;Lee, Eun-Hye;Kim, Moo-Sang;Paik, Sang-Gi;Kim, Sang-Soo;Kim, Chang-Bae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1호
    • /
    • pp.151-156
    • /
    • 2005
  • The phylogeny and geography of the medaka (Oryzias latipes) populations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sequence data for the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From the 41 haplotypes including 25 Korean haplotypes detected in 64 Korean specimens and data for the Japanese and Chinese populations, phylogenetic and nested clade analyses were executed to examine the phylogeny of haplogroups and the relation of the genetic architecture of the haplotypes to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Korean medaka fish.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re are two very distinct lineages of Korean medaka, and that these result from reproductive isolation mechanisms due to geographic barriers. The southeastern lineage has experienced recent range expansion to the western region. The northwestern lineage, sister to Chinese populations, showed evidence of internal range expansion with shared haplotypes.

GIS를 이용한 한국 동남부지역의 상대적 사면안정성 분류도 작성 (Relative Slope - stability Mapp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Using GIS)

  • 한대석;이사로;김경수;최영섭;유일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25-33
    • /
    • 1998
  • 연구대상 지역은 1:50,000지형도 12매(김해, 부산, 밀양, 양산, 방어진, 동곡, 언양, 울산, 영천, 경주, 불국사 및 감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서 총 면적은 약 5,900Km/sup 2/에 이른다. 본 연구서는 4개의 주제도, 즉 산사태 및 불안정사면 분포도, 경사분류도, 토양분류도 및 선구조밀도도의 작성을 다루고 있다. 작성한 4개의 주제도와 GIS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상대적 사면안정성 분류도(축척 1:100,000)를 작성하였는데, 본 도는 광역 토지이용계획에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