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dough starter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우리밀을 이용한 Sourdough Starter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ourdough Starters using Korean Wheat)

  • 안혜령;허수진;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6
    • /
    • 2009
  •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가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글루텐 함량, pH 및 TTA 측정, 발효율, mixograph, crumbScan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우리밀은 pH의 수치가 4.0에서 4.5 사이로 나타나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다. KWF 5와 KWF 6은 다른 우리밀에 비하여 기공의 조밀도가 높았고, 찌그러짐의 정도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KWF 6이 우리밀 중에서 텍스쳐와 껍질의 생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비록 강력 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 SF를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인 sourdough bread SF를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대조구보다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bread KWF 6이 좋은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타터로 사용한 Probiotics-효모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Sourdough 제빵특성 (Sourdough and Bread Properties Utilizing Different Ratios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s)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5-50
    • /
    • 2011
  • 혼합 probiotics 균과 제빵용 효모의 비를 각각 2.0:0.1, 1.5:0.1, 1.0:0.1(g/g)로 다르게 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Sourdough starter의 probiotics 균의 생균수는, 발효 초기와 비교 시, 25시간 발효한 후의 생균수가 Exp 2에서는 약 130배 가까이 증가하여 다른 두 군에 비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Sourdough starter의 pH는 전반적으로 4.1-4.4의 범위에 있어 세 군 모두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수치였으며, TTA는 측정결과 Exp 2군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Sourdough starter의 발효율은 Exp 2에서 165 mL로 세 군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rumbScan의 영상분석의 결과는 Exp 2의 부피가 2,332 mL로 세군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기공의 조밀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기공의 찌그러짐의 정도는 Exp 1에 비해 Exp 2와 Exp 3에서 1.44로 높았다. Sourdough starter와 sourdough bread의 향 성분 분석결과는, 반죽과 빵의 향 조성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으나, 각각의 starter를 이용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한 후, 향성분의 변화를 살펴보면 sourdough starter에서의 주요향성분과 동일하였다. 식빵의 속질 색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보통의 정도로 나타났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Exp 2에서 기공의 상태가 가장 균일하였고, 촉감에서도 가장 부드러웠다. 그리고 향, 맛 및 전체적인 품질 평가에서도 Exp 2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sourdough starter Exp 2 조성으로 제조한 sourdough bread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Korean Sourdough Bread Using Korean Wheat)

  • 채동진;이광석;안혜령
    • 한국관광식음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관광식음료학회 2005년도 학술논문발표집
    • /
    • pp.134-146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우리밀을 이용하여 한국형 사워종을 제조하며, 동시에 각각의 글루텐 함량, pH, TTA, 발효율과 mixograph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 중 가장 우수한 sourdough starter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starter를 이용한 sourdough bread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나는 제품의 특성을 CrumbScan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글루텐 함량분석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중에서는 KWF 5와 KWF 6이 제빵에 적합한 글루텐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sourdough starter의 pH 범위는 $4.0{\sim}4.5$ 사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고, TTA값은 대조구와 비교해 봤을 때,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발효율은 24시간 후 가장 많이 팽창한 것은 KWF 5와 KWF 6이었고 48시간 후에는 반죽의 산성화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는 것이라 사료되었다. mixogram의 분석결과는 강력밀가루가 제빵적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우리밀의 경우는 반죽내구성이 낮고 단백질함량이 적어 빵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CrumbScan을 통한 영상분석의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7가지 중에서 기공의 조밀도가 크고 찌그러짐이 적은 KWF 5와 KWF 6이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 제조에 관한 연구

  • 채동진;이광석;안해령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5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우리밀을 이용하여 한국형 사워종을 제조하며, 동시에 각각의 글루텐 함량, pH, TTA, 발효율과 mixograph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 중 가장 우수한 sourdough starter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starter를 이용한 sourdough bread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나는 제품의 특성을 CrumbScan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글루텐 함량분석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중에서는 KWF 5와 KWF 6이 제빵에 적합한 글루텐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sourdough starter의 pH 범위는 $4.0{\sim}4.5$ 사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고, TTA값은 대조구와 비교해 봤을 때,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발효율은 24시간 후 가장 많이 팽창한 것은 KWF 5와 KWF 6이었고 48시간 후에는 반죽의 산성화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는 것이라 사료되었다. mixogram의 분석결과는 강력밀가루가 제빵적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우리밀의 경우는 반죽내구성이 낮고 단백질함량이 적어 빵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CrumbScan을 통한 영상분석의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7가지 중에서 기공의 조밀도가 크고 찌그러짐이 적은 KWF 5와 KWF 6이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로니아 sourdough starter를 이용한 모닝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ning Bread- Containing Aronia Sourdough Starter)

  • 심솔;박영주;이진호;정소연;임주진;유가현;김은겸;서희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63-472
    • /
    • 2019
  • 본 연구는 아로니아 천연 발효종을 사용하여 sourdough starter를 만들고, sourdough starter 첨가량을 0%, 15%, 25%, 35%로 증가하며 모닝빵을 제조할 때 starter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력, 소비자 선호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아로니아 sourdough starter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닝빵의 pH는 감소하였고, 총산도와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비용적과 굽기 손실율 또한 sourdough starter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5% 첨가군(AS3)에서 가장 큰 굽기 손실율을 나타내었으나(P<0.05), 높이는 25% 첨가군(AS2)이 가장 높고 35% 첨가군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발효 팽창력의 경우 0-25% 첨가군(AS0, AS1, AS2) 모두 45분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35% 첨가군은 30분까지만 팽창력이 증가하다가 30분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닝빵의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로니아 sourdough starter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P<0.05),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밝기($L^*$)와 황색도($b^*$)는 감소하고, 적색도는($a^*$) 증가하였다(P<0.05). 모닝빵의 조직감 측정 결과 응집성(cohesiveness)은 25% 첨가군이 가장 높고,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은 아로니아 sourdough starter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35% 첨가군의 색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았고, 15%와 25% 첨가군이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아로니아 sourdough starter를 첨가한 모닝빵의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소비자 선호도를 모두 고려할 때에 sourdough starter는 밀가루 대비 25%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밀가루를 이용한 Sourdough 발효 식빵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Sourdough Starters from Added Domestic Wheat Flours)

  • 안혜령;이광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96-1008
    • /
    • 2009
  • In this study, domestic wheat flour was used to develop a native sourdough suitable for the Korean environment, in an attempt to replace the sourdough starter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in local markets and used to prepare sourdough breads. Nine kinds of domestic wheat flour (available at local market) were examined and to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ir general ingredients, gluten contents, colorimetry data and mixograph measurement. In addition, the flour were used to make sourdough starters that were assessed for pH, TTA, and fermentation rate from which an optimal sourdough starter could be chosen.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product characteristics breads prepared from the with one another by adding extracted sourdough starters.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n data for dough fermentation rate, specific volume, texture analyses, colorimetry, water activity and sensory tes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ourdough starters KWF 3, KWF 4 and KWF 5 scored well in evaluations for gluten content, wheat flour characteristics and pH, and were deemed the most optimal starters. To characterize the sourdough breads prepared from KWF 3, KWF 4, and KWF 5,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n compared to those sourdough bread (control group) prepared using a sourdough starter made from imported wheat flou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KWF 4 had the largest volume and specific volume, but had the lowest textural hardness, indicating the softest texture of overall. According to sensory tests, the bread prepared from KWF 4 was significantly more preferred than the other specimens.

  • PDF

분말화한 홍국 Sourdough를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Added with Red Koji Rice Sourdough Powder)

  • 이재훈;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3-34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홍국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sourdough starter를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하고, 발효시간과 홍국의 첨가량에 따른 sourdough starter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분말화하고, 제빵에 사용하여 상업용 sourdough powder와 비교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Sourdough starter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활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eta}$-amylase의 활성은 홍국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urdough bread 특유의 맛을 나타나게 하는 유기산은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SD1보다 홍국을 10%, 20%, 40% 첨가한 SD2${\sim}$4가 높게 나타났으며, 홍국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상업용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VPB,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SD1의 분말과 홍국을 10%, 20%, 40% 첨가한 SD2${\sim}$4의 분말을 첨가한 SPB1${\sim}$4의 mixograph 측정 결과 peak time과 peak value는 SPB1과 SPB2는 밀가루만을 이용한 WWB와 가장 유사하였다. 반죽의 발효과정 동안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한 결과 VPB의 반죽이 가장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적정산도는 WWB가 가장 낮고, VPB와 SPB1${\sim}$4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제품의 비용적은 WWB, SPB1, SPB2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굽기 손실도 비용적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VPB와 SPB군의 L값과 a값은 유사하였으며, WWB에 비하여 홍국 첨가량이 많은 sourdough powder를 사용한 bread일수록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 측정 결과 VPB는 경도,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부서짐성 등의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PB1과 SPB2는 WWB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3일간 저장한 후 경도를 측정한 결과 VPB의 경도가 가장 높았으며, WWB, SPB $1{\sim}3$은 서로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p<0.05). 탄력성 정도는 VPB가 가장 높게, 신맛의 정도와 이취의 정도는 WWB가 가장 낮게, 신맛의 정도는 SPB2, 이취의 정도는 SPB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VPB가 가장 낮으며, SPB2와 SPB3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ourdough starter의 제조 시 홍국을 10% 첨가하여 제조하고 분말화하여 bread에 적용할 때 상업용 sourdough powder를 첨가한 bread와 일반적인 이스트 bread보다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Sourdough 첨가 보리식빵의 물성적 특성 (Effect of Sourdough Starter on the Characteristics of Rheological of Barley bread)

  • 홍정훈;김경자;방극승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8-362
    • /
    • 2000
  • 1. 보리에서 분리한 균주는 Gram 양성의 구균으로 미생물 동정기를 이용하여 동정해 본 결과 Enterococcus mundtii와 89%의 상동성을 보여 이 균주는 Enterococcus 속으로 동정되었다. 2. 초기 pH는 모두 5.5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장 먼저 pH가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Lactobacillus sanfrancisco이였으며 다음으로 Enterococcus mundtii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순이였다. pH 4.5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도 Lactobacillus sanfrancisco이 8시간 10분으로 가장 짧았으며 Enterococcus mundtii는 9시간 30분이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은 9시간 50분의 순이었다. 동일한 pH에서 산도는 Lactobacillus sanfrancisco가 가장 산도가 높았으며 Entercoccus mundtii,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순이었다. 3. 대조군에 비해 균주가 혼합된 식빵 3개 모두 부피가 커졌으며 이중 Lactobacillus sanfrancisco가 가장 부피가 컸으며 대조군에 비해 11%정도 부피가 증가하였다. 부피를 무게로 나눈 용적비도 부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식빵의 높이는 Lactobacillus sanfrancisco와 Enterococcus mundtii이 가장 컸고 다음이 Lactobacillus plantarum, 대조군의 순이었다. 4. 96시간 경과 시 대조군에만 곰팡이가 발견되었고 다른 군에서는 144시간 이후에도 곰팡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경도는 시간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경도가 가장 낮은 Lactobacillus sanfrancisco와 다음으로 낮은 Enterococcus mundtii의 경우 초기에는 경도 변화가 별로 없었다가 48시간 경과 시 경도가 증가하였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I ) - Sourdough 배지의 영양 조성 최적화 -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from Kimchi - Optimization of Nutrient Composition in Sourdough Media -)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5-219
    • /
    • 2002
  • Sourdough 빵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산균중 Lb. brevis는 높은 산 생성율과 단백질 분해 활성과 sourdough 발효중 발생되는 휘발성 화합물의 합성에 뚜렷하게 기여를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Lactobacillu brevis UC-22의 배양 특성 및 최적 성장조건을 조사하였다. 온도에 따른 증식은 35$^{\circ}C$에서 배양한 것이 PH의 저하 및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에 병행하여 산 생성량도 균주의 대수 증식기에서 활발하게 분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지내의 pH에 따른 균의 생장은 pH 5.5와 pH6.5일 때 증식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Lb. brevis의 특징적인 탄소원 이용은 glucose보다는 오히려 maltose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나 본 실험에 사용된 Lactobacillus brevis UC-22는 maltose와 glucose의 첨가에 따른 성장 정도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Bifidobacterium longum-Enterococcus faecium-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스타터로 사용하여 만든 sourdough bread 제조 및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Prepared using Bifidobacterium longum,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Combination Starter)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2011
  • 상업적 복합균주와 효모를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여V5가지의 시료를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제빵용 효모만을V사용한 control군, 상업용 복합균주를 사용한 LAB 1군, 상업용 복합균주와 효모로 각각 발효한 후 합친 LAB 2군, 상업용 복합균주와 효모를 함께 사용하여 발효한 LAB 3군, 상업용 복합균주와 효모를 사용하여 각각 발효하여 합친 후 다시 10시간 발효한 LAB 4군을 사용하여 제조한 발효식빵의 제빵특성은 다음과 같다. CrumbScan에 의한 영상분석의 결과로 LAB 4의 부피가 2,140 cc로 가장 큰 것으로 발효율이 가장 높았던 LAB 4의 부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의 조밀도는 부피가 가장 큰 LAB 4가 806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기공의 찌그러짐 정도는 기공의 조밀도가 가장 높았던 LAB 1이 1.5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껍질의 두께는 대조구가 가장 얇았고 LAB 4가 가장 두껍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Sourdough bread의 비용적의 측정결과는 발효율이 가장 높았던 LAB 4의 비용적은 5.14 mL/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irmness 측정결과는 93.2 g인 대조구에 비해 LAB 2, LAB 3과 LAB 4에서의 firmness 측정치는 각각 113.67, 111.97, 113.50 g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식빵의 내부색은 전반적으로 밝게 평가되었으며, LAB 4의 기공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촉감도 가장 부드러운 것으로 평가되었고, 전체적인 품질평가에서도 3.7을 나타내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LAB 4로 만든 sourdough bread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