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ce zone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7초

음향방출기법을 이용한 PC기반 위치표정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C-Based Source Location System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 이민래;이준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5-211
    • /
    • 2003
  • 구조물의 안전성평가와 관련하여 비파괴평가 방법 중에서 음향방출 (acoustic emission, AE)기법에 의한 비파괴적 결함 발생 검출 기법은 다른 기법에 비해 비교적 새로운 평가기술로서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조기에 진단하고 주기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온-라인 모니터링에 적합하다. 그러나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대부분 값비싼 외국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음향방출 시스템은 장치의 특성상 시스템이 매우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음향방출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불필요한 낭비적인 요소들을 제거하고 실제 산업현장에 부합하는 위치표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의 AE 시스템들은 위치표정을 위한 신호분석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박판 구조물의 경우는 위치표정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주파수 해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웨이블릿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표정을 진단하는 기법을 수행하였다.

중력 및 자력탐사에 의한 옥천대 남서부의 지하 지질구조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Zone by Gravity and Magnetic Surveys)

  • 김성균;오진용;안건상;김용준
    • 지질공학
    • /
    • 제8권3호
    • /
    • pp.285-296
    • /
    • 1998
  • 옥천대의 심부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옥천대 서남단의 주요 구조선과 대체로 직교 하는 70km의 측선을 따라 중력과 자력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측선을 포함하는 옥천대 서남부에 대한 최근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성과를 요약하였다. 중력과 자력 측정치들을 보정하여 각각 부게이상과 총자기이상을 구했다. 중력과 자력이상은 옥천대 남쪽 경계인 장흥부근에서 급격히 변화한다. 이러한 부게이상의 급격한 증가는 선 캠브리아 편마암류와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중성 심성암류와의 사이에 상당히 큰 변위를 가진 심부의 정단층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단층은 옥천대의 형성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단층으로 사료된다. 한편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의 근원이 같다는 가정아래 중력이상으로부터 가상의 자력이상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자력이상은 측선상의 50km 부근(장흥근처)까지는 대체로 중력이상과 일치하나, 그 이후에는 완전히 반대의 상관을 보여준다. 끝으로 잔여 부게이상을 만족하는 지하구조가 시행착오적인 순해법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여기서 초기모델은 지표지질과 역해법의 결과로부터 주어졌다.

  • PDF

홍성 단층대에서의 전기, 전자 탐사 연구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Surveys of the Hongseong Fault Zone)

  • 권병두;이희순;박계순;오석훈;이춘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1-368
    • /
    • 2003
  • 1978년에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홍성지역에 발달한 단층대의 전기, 전자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기, 전자 탐사는 최근 토목공사현장에서 단층대 및 파쇄대 등의 연약지반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들 탐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비저항 구조는 연약대의 공간적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홍성지역에 위치한 단층대를 가로질러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와 MT (Magnetotelluric)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역산을 통해 단층대의 전기비저항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MT 탐사는 주단층대를 가로지르는 2.9 km의 측선상의 18측점에서 실시하였으며, 자기쌍극자를 인공 송신원으로 사용하였다 전기탐사는 단층대를 측선의 중앙으로 하여 전극간격이 50 m인 쌍극자배열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두 탐사 결과는 예상단층선을 따라 좌우지역의 전기비저항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예상단층선을 따라서는 뚜렷한 저비저항대가 깊게 발달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홍성지역의 단층대에서 낮은 전기비저항분포를 보이는 부분이 수직으로 잘 발달해 있다는 것은 최근에 두 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것처럼 이 지역 단층이 활동 중인 단층이라는 사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 성과는 앞으로 홍성단층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지하공기 이용 히트펌프시스템의 망고온실 난방효과 (Heating Effect of Greenhouse Cultivated Mangos by Heat Pump System using Underground Air as Heat Source)

  • 강연구;김영화;유영선;김종구;장재경;이형모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0.1-200.1
    • /
    • 2011
  • Underground air is a special energy source in Jeju and distributes lava cave, pyroclastic, open joint, and crushing zone. A possible area to utilize underground air is 85% of Jeju except to the nearby area of Sambang Mt. and 25m high coastal area from sea level. In Jeju, underground air is used for heating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 cultivated mangos, Hallbong and mandarin orange, pigsty, mushroom cultivation house, etc. and fertilizing natural $CO_2$ gas by suppling directly into agricultural facilities. But this heating method causes several problem because the underground air has over 90% relative humidity and is inadequate in heating for crops. Mangos are the most widely grown tropical fruit trees and have been cultivated since 1993 in Jeju. In Jeju, the cultivating area is about 20ha and amount of harvest is 275ton/year in 2010. In this study, the heat pump system using underground air as heat source was installed in mangos greenhouse which area is $495m^2$. The capacity of heat pump system and heat storage tank was 10RT, 5ton respectively and heating effect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system were analysed.

  • PDF

이동 Ad Hoc 망에 대해 동적 소스 라우팅을 이용하는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 (Unidirectional Routing Protocol using Dynamic Source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 곽승욱;이광배;김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4호
    • /
    • pp.459-468
    • /
    • 2001
  • 실제적인 이동 Ad Hoc 망에서는 단말의 비대칭성이나 무선환경 특성으로 인해 단방향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Zone 라우팅 프로토콜이외의 기존의 이동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은 양방향 링크들만을 지원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인 DSR(Dynamic Source Routing) 프로토콜이 단방향 링크를 포함하는 이동 Ad Hoc 망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동적 소스 라우팅을 이용한 새로운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단방향 링크 상에서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제안한 단방향 라우팅 프로토콜은 새로운 경로발견 및 경로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서 미국 버클리 대학의 NS-2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제안한 내용을 코드로 삽입시켰으며, 성능평가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제공한 이동 패턴파일과 연결 패턴파일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성능평가 항목으로 데이터수신율 및 평균경로 설정시간을 고려하였으며, 제안된 3가지 경로설정 방식들에 대해 비교·평가하였다.

  • PDF

철강 용접부 열해석 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umerical Thermal Analysis for Steel Welds)

  • 강윤희;김충명;홍현욱;이종봉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5권5호
    • /
    • pp.36-44
    • /
    • 2007
  • This paper i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numerical analysis of steel weld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aise the accuracy of thermal analysis results, such as the shape and size of the weld cross section and the hardness distribution in HAZ(Heat-Affected Zone). It is known tha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accuracy are thermal properties, metallurgical properties and welding heat source model. It was found that the arbitrary distributed heat source model should be used to predict practical weld cross section shape and size.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HAZ hardness distribution, it was essential to consider 2 CCT(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s in calculating volume fraction of transformed phases. One is the peak temperature being around melting temperature. The other is the peak temperature being around metallurgical transformation temperature.

Site specific ground motion simulation and seismic response analysis for microzonation of Kolkata

  • Roy, Narayan;Sahu, R.B.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1-18
    • /
    • 2012
  • The spatial variation of ground motion in Kolkata Metropolitan District (KMD) has been estimated by generating synthetic ground motion considering the point source model coupled with site response analysis. The most vulnerable source was identified from regional seismotectonic map for an area of about 350 km radius around Kolkata. The rock level acceleration time histories at 121 borehole locations in Kolkata for the vulnerable source, Eocene Hinge Zone, due to maximum credible earthquake (MCE) moment magnitude 6.2 were generated by synthetic ground motion model. Soil investigation data of 121 boreholes were collected from the report of Soil Data Bank Project, Jadavpur University, Kolkata. Surface level ground motion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SHAKE2000 software.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at rock level and ground surface, amplification factor, and the response spectra at the ground surface for frequency 1.5 Hz, 3 Hz, 5 Hz and 10 Hz and 5% damping ratio. Site response study shows higher PGA in comparison with rock level acceleration. Maximum amplification in some portion in KMD area is found to be as high as 3.0 times compared to rock level.

고속도로 안개발생 빈도추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fog Frequency Estimation Model at Expressway)

  • 박준태;이수범;이수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7-134
    • /
    • 2011
  • A traffic accident which happens in Expressway during dense fog is more likely to cause the sequential accidents and high death rate. So, the preventive measures shall be taken at dangerous area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oads and minimize the accidents and the resultant damages. So,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reeway zone which has high risk of fog occurrence and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safety strategy 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afety equipment. In this study, I developed a fog forecasting model by using the freeway fog data.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 fog forecasting model in dealing with fog problems when new road is planned. The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or the regression analysis, focusing on the variables such as geographical features and regional conditions, distances to water sources and the area of water source. I have segmented the models by classifying the area into inland area and coastal area. The distance to water source and area of the water source located around the freeway were found to be main factors causing fog.

평면연삭에 있어서 AE발생원에 영향을 미치는 연삭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inding factor affecting the AE Source in surface grinding)

  • 한웅교;김기중;김경석;권동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5-61
    • /
    • 1986
  • The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nvestigation of grinding factor affecting the AE Source by mean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mplitude level of AE signal and the depth of wheel engagement in surface grinding by AE method. As the result, work velocity was confirmed that the amplitude of AE signal had almost constant value in comparison with the depth of wheel engagement. But the depth of wheel engagement and the width of wheel engagement were proportional to the amplitude of AE signal. Therefore, when the AE Source was classified by 3-zone, Ws and Wf were affected by the depth of wheel engagement and that Wr was affected by the width of wheel engagement. Also, the adaptability of the AE method was studied about the detection of tool life of grinding wheel, sparkout and initial contact point.

  • PDF

The influence of marine algae on iodine speciation in the coastal ocean

  • Carrano, Mary W.;Yarimizu, Kyoko;Gonzales, Jennifer L.;Cruz-Lopez, Ricardo;Edwards, Matthew S.;Tymon, Teresa M.;Kupper, Frithjof C.;Carrano, Carl J.
    • ALGAE
    • /
    • 제35권2호
    • /
    • pp.167-176
    • /
    • 2020
  • Iodine exists as a trace element in seawater, with total iodine being generally constant at about 0.45-0.55 μM. Almost all of this iodine occurs in two main forms: iodate and iodide. Iodate is the thermodynamically stable form under normal seawater conditions, and thus should be the only iodine-containing species in the water column. However, iodate concentrations are found to vary considerably, being generally greater at depth and lower at the surface, while iodide concentrations follow the reverse pattern, being anomalously accumulated in the euphotic zone and decreasing with depth. The fact that iodide concentrations follow a depth dependence corresponding to the euphotic zone suggests that biological activity is the source of the reduced iodine. Nonetheless, the nature and source of iodate reduction activity remains controversial. Here, using a combination of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we examine some of the questions raised in our and other previous studies, and seek further correlations between changes in iodine speciation and the presence of marine macro- and microalga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microalgal growth per se does not seem to be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of iodate to iodide. However, there is some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iodate reduction can occur due to release of cellular reducing agents that accompany cell senescence during phytoplankton bloom declines. In addition, support is given to the concept that macroalgal species such as giant kelp (Macrocystis pyrifera) can take up both iodide and iodate from seawater (albeit on a slower time scale). We propose a mechanism whereby iodate is reduced to iodide at the cell surface by cell surface reductases and is taken up directly as such without reentering the bulk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