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extracts

검색결과 1,035건 처리시간 0.036초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 최선영;조현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61-966
    • /
    • 2006
  •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 환원력, SOD 유사활성, TBARS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전자공여 작용도 $100\;{\mu}g/mL$ 농도에서 $79.2{\pm}0.06%$로 BHT$(74.1{\pm}0.15%)$보다 더 활성이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 작용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에서 각각 $25.1{\pm}0.41%$$20.2{\pm}0.1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ethyl acetate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에서 ethyl acetate$(90.5{\pm}0.75%)$>butanol$(65.9{\pm}2.16%)$>hexane$(58.1{\pm}1.74%)$>chloroform$(55.4{\pm}1.02%)$>water$(40.9{\pm}0.35%)$ 추출물의 순으로 소거작용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머루 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 이호재;배영일;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05
  •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별 radical 소거활성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유지에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TBA가 및 산가를 측정한 결과 95%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물추출물 500 $\mu$g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 subtilis균과 Bacillus cereus균과 같은 그램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1, 10 및 100 $\m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A549(폐암세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 100 $\mu$g/mL를 첨가하였을 때 62.63%의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95% 에탄올 추출물, 물추출물 및 50% 에탄을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및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 양선아;코랄리아 가르시아;이지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1-566
    • /
    • 2017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황금빛의 수액과 약리효과로 한국에서 알려져 있으며, 잎 및 줄기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은 피부질환, 편두통, 월경통, 근육통 및 전염성 질환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 약리 성분을 공급하는 우수한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조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의 주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추출물에서는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줄기 및 수액에는 각각 29가지 및 3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매와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은 휘발성 성분의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용매 추출물과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서는 에스테르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잎의 초임계유체 추출물 및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는 테르페노이드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limonene (96.3%), ${\alpha}$-pinene, 그리고 ${\beta}$-myrcene은 수액 용매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 및 줄기의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잎의 용매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방법에 따른 잣나무(Pinus koraiensis) 구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개선 및 미백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Wrinkle Improvement, and Whitening Efficacies of Extracts from Pinus koraiensis Cone Scale Using Extraction Methods)

  • 채정우;김정유;조희선;이진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31-439
    • /
    • 2021
  • 본 연구에서 잣 구과피의 3가지 추출법(에탄올 추출, 초임계 추출, 에탄올과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 주름개선 그리고 미백활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임계 추출물이 11.03 mg/g GAE, 70% 에탄올 추출물이 33.79 mg/g GAE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1,000 ㎍/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3.60%, 70% 에탄올 추출물은 91.37%, 혼합물은 71.62%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 ㎍/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6.49%, 에탄올 추출물은 21.84%, 혼합물은 10.7%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38.19%, 70% 에탄올 추출물은 80.23%, 혼합물은 78.72% 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 ㎍/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24.54%, 70% 에탄올 추출물은 36.55%, 혼합물은 15.23%이었다. Elast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 ㎍/mL 농도에서 초임계 추출물은 15.62%, 70% 에탄올 추출물은 22.56%, 혼합물은 26.64%이었다. 피부수렴활성 결과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5000 ㎍/mL에서 81.23%이었고, 초임계 추출물과 혼합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활성 결과는 잣구과피 70%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 초임계 추출물 순으로 우수하게 측정되어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모두 초임계 추출물이 높을 것으로 판단한 가설과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약엑스제의 확인시험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Test of Herbal Medicines and its Preparations)

  • 김혜진;서용택;이종필;조정희;장영표
    • 생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5-160
    • /
    • 2009
  • The reference herbal extracts and their identification methods by Korean Pharmacopoeia IX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organic solvent extracts to detect their marker compounds. However, most of herbal medicine decoctions in the market are prepared with water as extracting solvent. As the reference herbal extracts and their identification methods are not appropriate for the practical test, new preparation of alternative reference herbal extracts and their identification test methods are essential for the correction of test methods and identification of herbal drugs. Three novel identification test methods were developed for Evodiae Fructus, Cimicifugae Rhizoma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Total 10 reference herbal extracts and their identification methods were optimized for Ephedrae Herba, Schisandrae Fructus, Curcuma longae Rhizoma, Citri Unshius Pericarpium, Puerariae Radix, Corni Fructus, and Cinnamomi Cortex.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용식물 성분의 선택적 추출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최영해;박은정;김영림;진영원;전성호;정승남;유기풍;김진웅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4
    • /
    • 1999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echnique was applied to extract cytotoxic substances from five medicinal plants including Angelica gigas, Angelica acutiloba, Aralia cordata, Spirodela polyrhiza, Bupleurum falcatum,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The cytotoxicities against P388, A549, and HL-60 cell lines were determined for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five plant materials employ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CHCl_{3}$, and MeOH to evaluate the SF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In most cases, the SFE extracts of plant materials showed enhanced cytotoxicitie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c solvent extracts. In additi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ressure of SFE for extraction of the cytotoxic substances were largely affected by both the plant species and the cell lin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FE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compounds from plants.

  • PDF

왕지네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synthesis using organic solvent extracts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 김인우;이준하;권용남;김상희;윤은영;남성희;안미영;황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5
    • /
    • 2014
  • 피부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생성한다.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을 유발하며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왕지네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기용매를 이용한 왕지네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량은 무처리 대비 36 ~ 67%로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70% 에탄올을 이용한 왕지네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량은 36%로 실험을 진행했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측정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에 70% 에탄올로 추출한 왕지네 추출물은 피부 미백 기능성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을 단백질 수준에서 검정한 결과, 앞선 실험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이 가장 낮았던 70% 에탄올로 추출한 왕지네 추출물의 경우 세포내 glycosylation 된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70% 에탄올로 추출된 왕지네 추출물이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브로콜리 새싹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면역조절 활성 (Anti-oxidative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Broccoli (Brassica oleracea) Sprouts)

  • 고종호;김훈;황종현;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0
    • /
    • 2019
  • In order to examine the functionality of broccoli sprout (Brassica oleracea, BS), solvent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anti-oxidative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roccoli (B). EtOH extracts (E) were potently higher than hot-water extracts (HW) in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icular,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addition to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tOH extract of broccoli sprout (BS-E; 9.15 mg GAE/g, 4.52 mg AEAC/g, and 1.14 mg AEAC/g) compared with that of broccoli (B-E; 7.83 mg GAE/g, 3.63 mg AEAC/g, and 0.97 mg/AEAC/g). Whereas, total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E (1.60 mg QE/g) than BS-E (1.43 mg QE/g).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using LPS-induced cell line model at a concentration of $10{\sim}100{\mu}g/mL$, in which all solvent extracts of both broccoli sprouts and broccoli were not toxic to RAW 264.7 cell lines. I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broccoli sprouts, EtOH extracts also showed significantly more potent activity than hot-water extracts in all sample concentrations tested. In addition, BS-E ($100{\mu}g/mL$) inhibited nitric oxide (NO) and IL-6 production to 60.9% and 68.9% compared with the LPS inflammation group (without extracts), whereas B-E inhibited 49.6% and 54.9%. On the other hand, in immunostimulating activity by splenocytes and macrophages, hot-water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EtOH extract. Especially, BS-HW stimulated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1.2-fold against saline group) and IFN-${\gamma}$ production (264.39 pg/mL) at $100{\mu}g/mL$, and the production of IL-6 (1.33-fold), IL-12 (1.09-fold) and TNF-${\alpha}$ (1.49-fold) from macrophages was also significantly enhanced over broccoli. In conclusion, broccoli sprouts showed more poten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an broccoli,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broccoli sprouts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가는갯능쟁이(Atriplex gmelinii)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MMP-2와 MMP-9 활성 저해효과 (Inhibition of MMP-2 and -9 by Crude Extracts and Their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 박민정;김준세;공창숙;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79-88
    • /
    • 2019
  •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 of Atriplex gmelinii C. A. Mey. against the activity of MMP-2 and MMP-9 secreted from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stimulated HT-1080 cells was evaluated by gelatin zymograph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assay. Specimens of the halophyte A. gmelinii were extracted twice for 24 hr with methylene chloride ($CH_2Cl_2$), and then twice with methanol (MeOH), in turn. Each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nzymatic activities in gelatin zymography and MMP ELISA kit, and expression of MMP-2 and 9 in mRNA and protein levels. Two crude extracts were combined and then the combined crude extracts were fractionated into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H_2O$) fractions, according to solvent polarity. Among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the 85% aq.Me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against MMP-2 and -9 in gelatin zymography and MMP ELISA kit. In RT-PCR, all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significantly suppressed mRNA expression of MMP-2 and -9. On the other hand, in Western blot assay, all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except $H_2O$ significantly reduced expression levels of protein. HT 1080 cell mig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n-BuOH fraction followed by the 85% aq.MeOH and $H_2O$ f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melinii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to inhibit tumor cell metastasis.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Solvent Extrac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from Fly Ash

  • Yang, Jeong Soo;Jeong, Jang Hwan;Yu, Euy Kyung
    • 분석과학
    • /
    • 제17권4호
    • /
    • pp.295-301
    • /
    • 2004
  • In this study, static and dynamic solvent extractions are compared for more efficient extrac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from fly ash. Static solvent extraction rather than dynamic extraction showed a higher recovery of PCDFs, which was adsorbed strongly with fly ash.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toluene-isopropyl alcohol mixture, static and dynamic time flow rate, and solvent volume on the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variations in average recoveries of PCDFs were explained. In both extractions, temperature was an effective parameter because the higher temperature gave the higher recoveries. In dynamic solvent extraction, dynamic time was more effective than flow rate and solvent volume for the extraction of PCDFs from fly ash. Multi-layer column chromatography on neutral and acidic silica gel with n-hexane was used for cleaning up the extracts. The quantification of the PCDFs extracted was performed using HPLC-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