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s yield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8초

복분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추출물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ubi Fructus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utions)

  • 정헌식;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36-441
    • /
    • 2005
  •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circC$)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pH는 물 추출에서는 건조방법별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에서는 동결건조품에서 다소 높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유리기 소거능은 동결 건조품,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품에서 L값은 가장 높았고 a와 b값은 가장 낮았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L과 b값은 높았으나 a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복분자 포제에 있어 전통적 자연 양건보다는 적외선 및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의 적용에 의해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총가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물 추출이, 항산화성 성분의 추출에는 에탄올 추출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커피원두의 분쇄입자크기에 따른 에스프레소의 관능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according to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 신우리;최유미;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5-99
    • /
    • 2011
  • Grinding is an indispensible step in preparation of espresso coff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according to the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Specificall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were tested based on foam index, persistence of foam, total solids, concentration, extraction yield, pH, viscosity, total soluble solid content and density. With regard to sensory characteristics, QDA were carried out by 10 trained panels. Persistence of foam, total solids, concentration, extraction, pH and viscosity in physicochemical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the samples. In other words, the finer the size of particles was, the higher value was, at the p=0.001 value. Meanwhile, the value of foam index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 to the grinding grades was the highest in 'fine', at the p=0.001 value. Tiger-skin effect in crema, an important attribute for excellent espresso coffee, was perceived by all of the panels in 'fine'. Also, intensity of flavor was perceived as to the strongest in 'fine'. Moreover, 'fine' had the sweetness to balance the acids and bitters.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grinding grade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hen the size of particles was 'fine', it brought to the most positive result.

마이크로파, 초음파 및 볶음 전처리가 오가피의 열수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wave, Ultrasound and Roasting Pretreatments on Hot Water Extrac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 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6-150
    • /
    • 2005
  • 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로부터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의 열수추출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전처리 및 방법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오가피를 분쇄, 체질$(8\~20\;mesh)$하고 초음파(20 kHz), 마이크로파 (2,450 MHz) 또는 볶음$(180^{\circ}C)$ 처리를 10분 동안 실시한 후 물을 용매로 상압$(100^{\circ}C)$ 추출과 가압$(121^{\circ}C)$ 추출을 각각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처리는 성분들의 추출수율과 유리기 소거능을 증가 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가용성 고형물, 총당 및 페놀성 물질의 추출수율은 마이크로파와 초음파에 의해, 단백질의 추출수율과 유리기 소거능은 볶음처리에 의해 더욱 증가됨을 보였다. 상압추출보다 가압추출에 의해 가용성 고형물, 총당, 단백질 및 페놀성 물질의 추출수율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초음파, 마이크로파 및 볶음 전처리 및 가압추출은 오가피의 추출효율 향상에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와 효소처리에 의한 멸치 추출액의 수율 및 관능적 성질의 향상 (Improvement of Yields and Organoleptic Quality of Anchovy Extract by Alkali-Protease Hydrolysis)

  • 김우정;박주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3-440
    • /
    • 1988
  • 천연 멸치추출액의 수율과 관능적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마른 중멸치를 0.3N NaOH알칼리 용액으로 마쇄하고 $60^{\circ}C$에서 1시간, 3시 간, 5시간 처리한 뒤 중화시켜 알칼리성 및 중성단백질 분해효소로 4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켰다. 알칼리 처리한 시료를 효소반응 시간별로 멸치 마쇄용액을 취하여 원심 분리시킨 상등액에 함유된 가용성 고형분, 단백질, 무기질 그리고 맛과 냄새에 대한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형분의 수율은 0.3N NaOH로 5시간 처리한 시료에 alkaline protease로 1시간 반응시켰을때, 최고 76.4%가 회수되어 물로만 추출한 대조구보다 약 4배의 수율이 향상되었고. 조단백질의 수율은 최고 65.3%로 약 3.2배 였으며, 회분의 수율은 30-47%의 회분 수율범위를 보여 12.9%였던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맛이나 냄새와 같은 관능적 품질에서도 그 강도가 2-3배의 향상효과가 있었으며 효소를 처리한 시료의 기호도가 현저히 향상됨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형분, 단백질 및 회분수율과 관능적 품질을 고려할때 알칼리처리 3시간후 단백질분해 효소로 1-3시간 처리함이 멸치 추출액의 수율과 관능적 품질에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 of the recrystallization of ice on the freeze concentration process of milk in the lab-scale operation

  • Park, Sung-Hee;Kim, Soo-Hun;Hong, Guen-Pyo;Kwak, Hae-Soo;Min, Sang-Gi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290-29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efficient freeze concentration process of milk through controlling the recrystallisation phenomena of ice. Freeze-concentration was progressed with multi-stage freeze concentrator and there was artificial temperature control to induce recrystallisation phenomena. In each stage of freeze concentration process, the regular recrystallisation time was fixed as 1, 2, 4 and 8 hr to compare the solute increment, yield, brix and ice-crystal size among experimental conditions. Higher concentration as total solids was observed due to the elapse of recrystallisation time, and the maximum total solids in final products: 32.67% was obtained at the ripening time of 8 hr in two-stage process. This result was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 comparing to the existing researche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milk freeze concentration in the dairy industry, The results of brix and ice-crystal size showed the direct correlation with the recrystallisation time that meant the increased processing time showed the increment of brix and ice-crystal size. Obtained results were numerically modelled to predict the progress of concentration in the industrial process and all of them had fairly high R2 of determination. Therefore, we regarded that these numerical models c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technology in industrial freeze concentration process.

  • PDF

한국 재래종 완숙호박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ve Pumpkins)

  • 윤선주;전하준;정희돈;정용진;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18
    • /
    • 2002
  • 전국에서 수집한 완숙과 호박의 중량은 대부분 4~8kg이었으며, '창녕 I', '횡성' 및 '장수' 품종은 과육의 중량이 10 kg 이상으로 비교적 크고 논산, 여주 및 삼척 지역에서 수집된 호박은 중량 2kg 이하로 작았다. 호박의 형태는 '보은'을 비롯한 12개 수집종이 편원형을, '탕녕II'를 비롯한 5개 수집종이 원형을, 나머지는 장타원형이었다. 가용성 고형물은 '삼척' 호박이 14.4 。Brix로 가장 높았으며, '합천'과 '임실'도 12 。Brix 이상으로 가용성 고형물이 높은 편이었다. 과육의 L값은 60~80사이로 유사하였으나, 'a','b' 값은 수집종간 차이가 있었다. 호박주스의 가용성 고형물은 5.00~9.90 。Brix를 나타내었으며 '제주I ' 품종의 가용성 고형물이 가장 높았다. 호박주스의 수율은 혼탁형 주스 53.0~68.0%, 청징형 주스 48.8~61.4%였으며 '양구'가 가장 높았다. 호박주스의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울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볶음보리의 색도(色度)및 가용성고형분함량(可溶性固形分含量)과 볶음조건(條件)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ad Barley)

  • 서정식;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39
    • /
    • 1981
  • 보리차제조(製造)에 있어서 볶음공정(工程)을 확립(確立)하고자 볶음온도(溫度)와 시간(時間)을 달리한 조건(條件)에서 얻은 보리차에 대하여 외관색도(外觀色度), 추출갈변색소(抽出褐變色素) 및 수용성(水溶性) 고형분량(固形分量)을 분석(分析)하고 이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외관색도(外觀色度)를 명도단위(明度單位) Y값으로 표현(表現)할 때 볶은 통보리의 Y값과 이를 분쇄(粉碎)한 분말(粉末)의 Y값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0.957{\sim}0.994%$에 달(達)하여 표면(表面)의 Y값의 측정(測定)으로 내부(內部)의 색(色)을 예측(豫測) 및 대변(代辯)할 수 있었다. 보리의 볶음정도(程度)는 볶음에 사용된 열량(熱量)의 합계 보다는 볶음 온도(溫度)에 의하여 크게 좌우(左右)되었다. 볶음보리의 수용성(水溶性) 성분(成分)의 함량(含量)은 $232^{\circ}C$에서 25분(分)간(間)의 볶음에서 최대(最大)값을 보였으며 그 함량(含量)은 68%이었다. 볶음통보리의 Y값과 볶음 온도(溫度), 갈변색소(褐變色素) 및 가용성(佳容性) 고형분(固形分)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이용하여 볶음정도(程度)를 판정(判定)하고 볶음공정(工程)을 조절(調節)하는 기준(基準)으로 활용(活用)할 수 있었다.

  • PDF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초기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Early Yield and Fruit Quality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Substrate Culture)

  • 노미영;배종향;이용범;박권우;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8-73
    • /
    • 1995
  • 고형배지경에서 육묘기와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의 차이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농도는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로 각기 다르게 처리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로 처리되었다. 모든 배지에서 총과수, 총수량, 상품과수 및 상품수량은 1.0mS/cm보다 2.0-3.0mS/cm에서 훨씬 더 높았다. 기형과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순이었으며 비타민C 함량은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 순이었다. 모든 배지에서 육묘기에는 2.0-5.0mS/cm, 정식 후에는 2.0-3.0mS/cm로 관리했을 때, 상품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육묘기 뿐만 아니라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는 총수량, 상품수량 및 당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총과수와 상품과수는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 PDF

Influence of Varying Ruminally Degradable to Undegradable Protein Ratio on Nutrient Intake, Milk Yield, Nitrogen Balance, Conception Rate and Days Open in Early Lactating Nili-Ravi Buffaloes (Bubalus bubalis)

  • Nisa, Mahr-un;Javaid, A.;Shahzad, M. Aasif;Sarwar,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03-1311
    • /
    • 2008
  • Twenty four early lactating Nili-Ravi buffaloes, eight in each group, were us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ying ruminally degradable protein (RDP) to ruminally undegradable protein (RUP) ratio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N balance,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conception rate and days open.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RDP:RUP of 50:50, 66:34 and 82:18 and were denoted as HRUP, MRUP and LRUP, respectively. Dry matter (DM) intake was higher (p<0.05) in buffaloes fed HRUP diet than in those fed MRUP and LRUP diets.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r (p<0.05) in buffaloes fed LRUP diet than in those fed HRUP and MRUP diets. Linear increase was observed in DM digestibility with increasing RDP:RUP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remained unaltered in buffaloes fed HRUP and MRUP diets, however, it was higher than in those fed LRUP die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remained unaltered across all treatments. Milk and 4 percent fat corrected milk (4% FCM) yield was higher (p<0.05) in buffaloes fed HRUP diet than those fed MRUP and LRUP diets. Linear decrease in milk yield was observed with increased RDP:RUP. Milk protein and fat yields were higher (p<0.05) in animals fed HRUP diet than those fed MRUP and LRUP diets. Milk protein percent in animals fed HRUP diet was higher than in those fed LRUP diet, whereas it did not differ with those fed MRUP diet. Percent of fat, total solids, solid not fat and lactose remained unaltered across all diets. Nitrogen balance was higher in buffaloes fed HRUP diet than in those fed other diets. Increasing the RDP:RUP resulted in a linear decrease in N balance. The blood urea nitrogen and milk urea nitrogen were lower (p<0.05) in buffaloes fed HRUP diet than those fed MRUP and LRUP diets. The blood pH remained unaltered across all treatments. Days ope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eption rate was higher in buffaloes fed HRUP diet than those fed MRUP and LRUP diet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feeding high (50% of the total crude protein) ruminally undegradable protein diet not only increased nutrient intake and milk yield but also improved conception rate in early lactating buffaloes.

Effect of Level of Feeding on the Performance of Crossbred Cows during Pre- and Post-partum Periods

  • Singh, Jatinder;Singh, Balwant;Wadhwa, M.;Bakshi, M.P.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2호
    • /
    • pp.1749-1754
    • /
    • 2003
  • The study was undertaken to see the effect of elevated feeding during pre-partum or pre- as well as post-partum period on the productive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rossbred cows. The experiment lasted for 60 d pre-partum to 120 d post-partum. Eighteen dry pregnant crossbred cows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were fed either as per NRC feeding standard (C) or 20% above NRC during 60 d pre-partum ($T_1$) or fed 20% above NRC during both 60 d pre-partum to 120 d post-partum ($T_2$) period. During prepartum period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leq}0.05$) higher in $T_1$ and $T_2$ group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animals fed at higher plane of nutrition ($T_1$ and $T_2$) took significantly lesser time for complete relaxation of pelvic muscles, act of calving and for expulsion of placenta than that of control group. Moreover, such cows delivered 2 to 3 kg heavier calves as compared to normal fed dams. During post-partum period, the average daily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_2$ group than that in $T_1$ and control groups. The pea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_2$ group, it took longer time to reach peak production but it was more persistent in this group as compared to $T_1$ and control groups. Average milk fat, solids-not-fat (SNF) and total sol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_1$ and $T_2$ groups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Body weight losses incurred during early lactation were not even compensated by end of 4th month of lactation in C and $T_1$ groups whereas the animals in $T_2$ group gained 2.0 kg. The 1st post-partum estrus and conception rate were better in high fed groups ($T_1$ and $T_2$)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returns over feed cost of milk production were higher in $T_2$ group followed by $T_1$ and control groups indicating the advantage of elevated feeding during pre- and post-partum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