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 sunscreen cosmetic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고형 자외선 차단제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hysical Properties of Solid Sunscree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류상덕;허민근;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7-254
    • /
    • 2019
  • 본 연구는 친수성 겔화제인 sodium stearate가 수분이 다량 함유된 수중유형의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O/W (oil in water) type의 자외선 차단제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W/O (water in oil) type의 자외선 차단제보다 상대적으로 안정화가 용이하다.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를 위해 유화제 종류, 전해질과 왁스나 오일 등을 이용하여 안정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연구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은 수분이 40% 이상 함유된 수중유형으로 sodium stearate를 활용하여 경도를 향상시켜 안정화시키고자 하였다. 자외선차단 화장료 경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사용하였으며, sodium stearate, 폴리올 및 오일을 각 요인으로 하였다. 반응값인 경도는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경도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 중 특히 sodium stearate가 유의미한 값(p < 0.05)을 보였다. 또한 sodium stearate 함유로 고형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성과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기능성 화장품의 캐리어로서 천연 할로이사이트의 활용 (Use of Natural Halloysite as a Functional Cosmetics Carrier)

  • 서용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3호
    • /
    • pp.247-253
    • /
    • 2015
  • 천연 할로이사이트는 대부분 지름 15-125 nm범위의 내강으로 이루어진 튜브 구조의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튜브형 할로이사이트는 액체 성분의 화장품을 내부에 담지하거나 고체상의 무기물 성분을 고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담지기술과 고정화기술을 소개하고 할로이사이트가 화장품용 기재로 유용하게 활용된 두 가지 연구 사례를 기술하였다. 이 논문이 천연 할로이사이트를 응용한 화장품 연구에 많은 관심을 불러모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학생들의 화장습관에 따른 소변 중 벤조페논 농도 비교 (Urinary Concentrations of Benzophenones in University Students and Association with Cosmetics Habits)

  • 오승은;호성욱;김현석;이세훈;박나연;고영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05-512
    • /
    • 2013
  • Objectives: Ultraviolet (UV) radiation may cause skin cancer, photo-ageing, erythema, and sunburn. Benzophenone (BP) is commonly used to protect skin from UV radiation. In Korea, sunscreen, sunblock, socalled 'blemish balm' (BB) and 'color correcting' (CC) creams, and foundation may contain from 0.5 to 5% benzophenone in order to protect skin from UV rad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vels of benzophenone derivatives in urine among a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and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cosmetics use. Methods: Forty volunteers (20 women and 20 men) were asked about skin type, frequency of use of cosmetics, and recognition of related health effects, etc. in a survey.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al subgroups and were compared for concentration of benzophenone-1 (BP-1) and benzophenone-3 (BP-3). Their urine was pretreated with enzyme hydrolysis and solid phase extraction. Determinations of BP-1 and BP-3 in the urine were made with LC-MS/MS. Results: Among the study subjects, 82.5% used basic cosmetics at least once per day, and 77.5% used sunscreens at least once per day. The concentrations of BP-1 and BP-3 of the males were 4.36 ng/mL and 9.16 ng/mL, respectively. Those of the females were 3.98 ng/mL and 5.07 ng/mL, respectively. The use of cosmetics was positively related to urinary benzophenone levels. Conclusions: BP-1 and BP-3 were widely detec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Cosmetic use was identified as a potential source. Implications of such exposure deserve further investigation.

신규 자외선차단제로서 메톡시신나미도프로필폴리실세스퀴옥산의 in vitro SPF 평가 및 화장품에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SPF Assay and Application of Cosmetic Formulation of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with a New UV-screening Agent)

  • 정택규;김영백;윤태진;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5
    • /
    • 2010
  • 기존의 유기계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대한 자극과 투과의 문제,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백탁현상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 보다 효과적인 자외선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유기/무기 복합구조의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진은 새로운 자외선차단제인 메톡시선나마도프로필폴리설세스퀴옥산의 제조와 그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신규 자외선차단제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과 향상된 자외선차단 효과 및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외선차단제의 구조분석은 TGA, solid state NMR, 원소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자외선차단지수는 5 wt%를 포함하는 제형을 평가하였을 때, 6.0 정도의 수치를 보였다. 또한 기존의 유기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혼합적용 시, 자외선차단효과에 대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S 유형의 화장료 제형에서 우수한 적용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