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 culture medium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8초

야생식물 안동오이의 기내배양시 캘러스형성과 기관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Formation and Organogenesis of Sicyos angulatus L.)

  • 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1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ell culture and organogenesis from Sicyos angulatus L. using explants of leaves, stems and cotyledons. Optimal callus induction for S. angulatus was obtained on MS medium with 0.1mg/$\ell$ BA and 2.0mg/$\ell$ 2,4 -D from cotyledons, 0.1mg/$\ell$ BA and 5.0mg/$\ell$ NAA from leaves explants, Optimal media for subculture and growth of S. angulatus callus were 1/2 MS medium with 0.1mg/$\ell$ BA and 1.0mg/$\ell$ 2,4 -D for solid culture, and 0.1mg/$\ell$ 2,4-D for suspension culture. Many adventitious roots with some shoots were formed were formed from leaf and cotyledon explants of S. angulatus during callus induction with optimal combinations of plants growth regulators.

  • PDF

포인세티아 줄기조직배양에 의한 재분화체 제조.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Poinsettia (Euphorbia pulcherrima L.) Stem Explants)

  • Hee-Sung P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23-626
    • /
    • 1998
  • 포인세티아식물체의 줄기조직을 이용한 재분화조건을 확립하였다. MS배지에 종류 및 농도별 식물성장 조절제를 첨가하여 포인세티아의 잎, 줄기, 엽병조직으로부터의 배구조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잎과 엽병조직에서는 callus의 형성은 실험조건에서 매우 활발하였으나 배구조로의 발달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줄기조직의 경우에서는 1.5 mg/L의 BA가 첨가되는 경우 6-8주 정도의 경과 후 엽초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이들을 식물생장조절제를 무첨가한 MS고체배지로 이동시 뿌리의 발달이 관찰되었다.

  • PDF

제주 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시 양액성분 및 생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ent Solution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 in Scoria Culture)

  • 장전익;오대민;현해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49
    • /
    • 1995
  • 양액재배에서 제주송이가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방울토마토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액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제주송이를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실용화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엽비, 건과비, 당산비는 1익㉣ 1회 1시간 담액후에 완전 배액한 구에서 높았다. 2. 방울토마토 생과중은 상위 화방으로 갈수록 암면구와 담액수경구는 작아졌으나, 송이구와 일향토구, 펄라이트구 등 고형배지경에서 무거웠다. 3. 방울토마토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양액성분중 다량원소를 분석한 결과는 송이 재배구에서 인산과 칼륨 농도가 낮았다. 4. 방울토마토의 수량과 당도는 암면과 일향토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일반적으로 양액재배에서는 수분의 증발과 식물의 수분 흡수 증산작용으로 비료염의 농도가 높아가는데 송이구도 다른 고형배지경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6. 제주 송이 양액재배용 고형배지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벼운 자재로 가공개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원형질체 배양을 통한 배추 〔Brassica campestris ssp. perkinensis〕캘러스 형성 및 뿌리분화 (Callus Formation and Rooting of Inbred Lin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perkinensis) Though Protopalst Culture)

  • 염옥희;전익조;김혜진;백남권;임학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53-157
    • /
    • 2001
  • 기내에서 성장한 배추의 자엽, 하배축과 계대배양한 지 2~3주 되는 어린잎이 원형질체 분리재료로 사용되었다. 배추의 원형질체 분리에 가장 적합한 효소의 조합은 0.4M mannitol 을 삼투조절제로 한 1% Cellulysin과 0.5% Macerozyme의 효소조합이 배추 원형질체 분리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조직을 27$\pm$1$^{\circ}C$에서 30rpm의 속도로 12~16시간 동안 효소와 반응시켰을 때 7.6$\times$$10^{5}$ protoplast/g의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얻었다. 세포분열을 유기시키기 위하여 K8p 배지에 5 mg/L 2,4-D와 2 mg/L에 첨가하였을 때 배양 7~10일에 자엽과 하배축에서 분리한 원형질체에서 세포군들이 형성되었다. 분열한 세포가 8~10 세포크기 단계에 이르면 0.2% agarose 반고체 배지에 고정시켜 배양하였다. 얻어진 calli들을 100가지 다양한 재분화 배지에 옮겼으나 식물체의 재분화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간혹 캘러스에서 뿌리가 분화되는 것은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BK-17 유래 혈전용해효소(Bacillokinase)의 고체배양 (Solid Cultivation of Fibrinolytic Enzyme (Bacillokinase) from Bacilis subtilis BK-17)

  • 정영기;백현;서민정;김민정;이혜현;주우홍;김정인;최영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78-1483
    • /
    • 2009
  • 곡물을 소재로 혈행개선에 효과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BK-17을 이용하여 고체 배양을 시도하였다. 고체배양에 접종하는 미생물은 영양세포보다 포자 접종이 혈전용해효소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포자 생산을 위한 배지는 SFM (0.8% nutrient broth, 0.05% yeast extract, $10^{-1}$ M $MgCl_2$, $10^{-3}$ M $FeCl_3$, $10^{-4}$ $MnCl_2$, $10^{-5}$ M dipicolic acid, pH 6.5)이 최적이었고, 포자 생성에 대한 최적 pH 와 온도는 각각 pH6과 $30^{\circ}C$였으며 포자는 배양 후 60 시간에서 가장 많은 생산을 보였다. 각종 곡물을 기질로 하였을 때 녹두가 혈전용해능이 가장 높았으며 강낭콩, 검정콩, 대두, 옥수수는 녹두의 약 90% 수준의 활성으로 높은 혈전용해능을 보였다. 반면에 보리와 밀과 같은 탄수화물 곡물은 낮은 활성을 보였다. 고체 배양한 발효 대두는 단백질과 지질 함량에 있어 발효하지 않은 대두보다 약 10%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과 일반 아미노산의 함량 역시 발효 대두 쪽이 약 5 - 20% 높은 것으로 보아 혈행개선기능성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 실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액체배지배양에서 당근 체세포배의 발아 억제 현상 (Germination Arrest of Carrot Somatic Embryos Cultured in Liquid Medium)

  • 소웅영;이은경;홍성식;조덕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0
    • /
    • 2000
  • 발아를 위한 MS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를 1주일간 배양하다가 고형배지로 옮겨 배양하면 92%가 발아하지만 액체배지 배양기간이 길어지면 발아율이 낮아져서 4주간 배양 후 고체 배지로 옮기면 26% 밖에 발아하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 발아처리된 체세포배는 배축과 유근의 생장은 충실하게 일어나데 일부에서는 배축에 2차배가 발생되거나 배축과 유근 기부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경우도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 경정분열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는 엉성하게 배열되어 있고 제1엽원기가 발생된 경우 그 구조가 충실하지 못하여 생장이 중단되어 있으며 엽원기의 발생이 않된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의 발아가 억제된 원인은 경정분열조직의 구조적 결함으로 경엽부 형성이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생물반응기 생산 현삼 신초의 순화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edia on the Acclimation of the Shoo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Produced in Bioreactor)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1
  • 본 실험의 목적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증식과 기내순화에 관여하는 적정 배지조건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4주간 배양한 신초의 발근과 생장은 1X MS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6주간 배양한 신초는 1/10 MS 배지에서 좋았다 2. MS 고체배지에서의 잎 전개율은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한 신초가 4주간 배양한 신초보다 높았다. 3. 잎이 전개된 신초의 수와 신초당 잎의 수는 1X MS 고체배지에서 많았으나 유리화도 1/2X MS 고체 배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4. 전반적으로 보아 신초의 지상부 생육은 MS 기본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지하부 생육은 암모니아 태 질소를 1/4로 줄인 배지에서 좋았다. 5. 암모니아태 질소를 1/4로 줄이고 아가농도를 1.2%로 조정한 배지에서 신초의 생육이 좋았으나 유리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6. 신초의 생육과 순화는 1X MS배지에 1.6% 아가농도가 좋았으나 1/2X MS에 1.2%의 아가를 첨가한 경우보다 유리화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신초의 순화는 1/2 MS 기본배지에 아가농도를 1.2%로 한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System for Eggplant and Study of a Potential Biotechnologically Useful Promoter

  • Claudiu Magioli;Ana Paula Machado da Rocha;Pinheiro, Marcia-Margis;Martins, Gilberto-Sachetto;Elisabeth Mansu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43-49
    • /
    • 2000
  • An efficient and reliable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procedure based on TDZ (thidiazuron)-induced organogenesis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six Brazilian eggp1ant varieties. Optimum transgenic plants recovery was achieved upon the study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ffecting transformation efficiency, using F-100 variety as a model: i) explant source; ii) pre-culture period; iii) physical state of the pre-culture medium and iv) coculture conditions. The highest frequency of kanamycin-resistant calli derived from leaf explants (5%) was obtained without a pre-culture period and co-cultivation for 24 h in liquid medium followed by five days on solid RM (regeneration medium). For cotyledon explants, best results were achieved upon a pre-culture of 24 h in liquid RM and a co-cultivation period of 24 h in liquid RM followed by three days in solid RM, resulting in a transformation Sequency of 22.7%. Kanamycin-resistant organogenic calli were also obtained from cultivars Emb, Preta Comprida, Round nose Shaded, Campineira and Florida Market. The expression pattern of an epidermis-specific promoter was studied using transformants expressing a chimaeric construct comprised by the promoter Atgrp-5 transcriptionally fused to the coding region of the gus gene. The expression pattern was similar to that previously observed in tobacco and Arabidopsis thaliana, with preferential expression at the epidermis and the stem phloem.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the Atgrp-5 promoter can be used to drive defense genes in these tissues, which are sites of pathogen interaction and spread, in programs for the genetic improvement of eggplant.

  • PDF

다양한 배지종류, sucrose 농도 및 갈변억제물질 처리에 의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체계확립 (Establishment of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of PLBs in Phalaenopsis by treatments of a variety of types of medium, sucrose concentrations and anti-browning agents)

  • 노희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23-228
    • /
    • 2014
  • 팔레놉시스 PLB (protocorm-like bodies) 조직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신초재분화 체계 확립을 위하여 다양한 증식배지,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효과, sucrose 농도 등이 PLB 증식과 신초 재분화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활성탄소, citric acid 및 ascorbic acid 등이 팔레놉시스 PLB 배양시 갈변화 현상을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과 식물에서 증식배지로 널리 사용되는 VW, HCa, Orchimax 및 Kudson C 배지 중 VW 배지가 PLB 증식에서 타 배지와 비교해서 최소 1.3배에서 최대 2배의 증식효율 그리고 신초 재분화에서도 50% 이상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다. 최적 배지로 선정된 VW배지에 apple powder 및 banana powder를 첨가한 VWAB 배지를 기반으로 액체 및 고체배양에서 PLB 증식효율과 신초재분화율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를 0 ~ 50 g 처리한 실험에서는 PLB 증식과 재분화 효율 둘 다 10 g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갈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소, citric acid와 ascorbic acid를 처리한 실험에서는 활성탄소 1 g이 1.5%의 가장 낮은 갈변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향후 팔레놉시스 PLB를 이용한 대량증식 및 재분화 체계 확립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Improvement of Fungal Cellulase Production by Mutation and Optimization of Solid State Fermentation

  • Vu, Van Hanh;Pham, Tuan Anh;Kim, Keu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20-25
    • /
    • 2011
  • Spores of Aspergillus sp. SU14 were treated repeatedly and sequentially with $Co^{60}$ ${\gamma}$-rays, ultraviolet irradiation,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One selected mutant strain, Aspergillus sp. SU14-M15, produced cellulase in a yield 2.2-fold exceeding that of the wild typ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the mutant fungal strain using solid-state fermentation were examined. The medium consisted of wheat-bran supplemented with 1% (w/w) urea or $NH_4Cl$, 1% (w/w) rice starch, 2.5 mM $MgCl_2$, and 0.05% (v/w) Tween 80. Optimal moisture content and initial pH was 50% (v/w) and 3.5, respectively, and optimal aeration area was 3/100 (inoculated wheat bran/container). The medium was inoculated with 25% 48 hr seeding culture and fermented at $35^{\circ}C$ for 3 days. The resulting cellulase yield was 8.5-fold more than that of the wild type strain grown on the basal wheat bran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