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emperature distribu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3초

광주지역의 토양미생물과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il Microoganism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in Kwangju area)

  • 김상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58
    • /
    • 1991
  • With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33 locations in Kwangju area,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soil microorganisms have been studied and the results of'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 Tlle temperatilre, pH, moisture and organic matter of sampling s'tes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21.O~28.O$^{\circ}C$, 4.0"6.6, 2.1"24.0% and 2.8~22.0% respectively.and that showed wide range distribution in moisture and organio mattrr particulary.and averase was 24.$^{\circ}C$ of temperature, 4.9 of pH, 11.9% of moisture and 8.9% of'organic matter.2. The general bacterial number, cellulolytic bacterial number, general fungal number and cellulolytic fungal number were measured in tile range of 23$\times$10$^{[-995]}$ _1548x10$^{[-995]}$ , 8.0$\times$10$^{[-995]}$ ~412.0$\times$10$^{[-995]}$ , 0.3$\times$10$^{[-994]}$ ~56.4$\times$10$^{[-994]}$ and 0.Ix10$^{[-994]}$ ~17.2x10$^{[-994]}$ , respectivelyand average was 378.4$\times$10$^{[-995]}$ of general bacteria, 102.5$\times$10$^{[-995]}$ of cellulolytic bacteria.13.OX10$^{[-994]}$ of general fungi and 4.3$\times$10$^{[-994]}$ of cellulolytic fungi.tic fungi.

  • PDF

난방 온실의 지중열 교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Heat Exchange in Heating Greenhouses)

  • 신현호;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8-223
    • /
    • 2016
  • 온실의 난방부하 중 지중전열부하는 산정방법이나 적용여부가 제각각이고, 온실의 규모에 따라 각각의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시설의 난방부하 산정방법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와 규모가 다른 3개의 연동 플라스틱 온실에서 난방기간 동안 지온분포와 토양열류를 실측하였으며,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고 난방설계에 필요한 기준자료를 도출하였다. 난방중인 온실의 지온분포를 실측하여 실내기온과 비교한 결과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높고, 온실의 끝부분과 모서리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중열이 공급되고, 온실의 측면 부분에서는 외주부를 통해서 열손실이 발생하며, 온실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의 외주부를 통한 열손실 개념을 도입하고, 온실의 규모를 반영하여 수정한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토양열류센서를 이용하여 실측한 지중전열량은 실내외 기온차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중전열량 분석 결과로부터 지중전열의 방향이 바뀌는 기준온도차를 도출하였으며, 국내 온실의 난방설계에서 대규모 온실은 $10^{\circ}C$ 내외, 소규모 온실은 $12.5{\sim}15^{\circ}C$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중열류 실측 결과로부터 온실의 외주부 단위길이당 열손실계수를 도출하였으며, 대규모 온실은 $7.5{\sim}10W{\cdot}m^{-1}{\cdot}K^{-1}$, 소규모 온실은 $2.5{\sim}5.0W{\cdot}m^{-1}{\cdot}K^{-1}$를 설계기준 자료로 제안하였다.

인삼포(人參圃) 토양(土壤)의 진균(眞菌) 및 Fusarium속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ungal and Fusarium spp. Propagules in Ginseng Field Soil)

  • 신현성;이형환;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9
    • /
    • 1986
  • 인삼(人蔘)의 토양병해(土壤病害) 방제에 효율성을 높이고, 증산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 주요 인삼 재배지인 금산(錦,山), 풍기(豊基), 괴산(槐山)의 3년근 재작지(再作地)와 초작지(初作地) 토양을 선정하여 이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토양 내 분포한 미생물들 사이에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Fusarium속의 월별 분포는 초작지 및 재작지 모두 가을철에 증가하였고, 괴산(槐山)을 제외한 풍기(豊基)와 금산(錦山) 재작지가 이들 동일지역의 초작지 보다 $1.9{\sim}2.6$배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Fusarium속/전 진균의 비도 금산(錦山), 풍기(豊基)의 재작지에서 증가하였다. 전 진균은 대체로 6,7월에 증가되었으나 기온변화에 따른 민감한 증감없이 고루 분포되었고 표층부에 많이 분포하였다. 유기물과 인산의 함량은 초작지에서 많았고, 인산/유기물량의 비, Mg/유기물량의 비, Mg함량 등은 재작지에서 많은 경향이 있다. 토양의 pH는 $4.5{\sim}5.7$로 모두가 약 산성 토양이었다. 토양의 수분량은 겨울철에 증가 되었으며 생육기간에 수분량은 큰 차이가 없고, 평균적으로 초작지는 24.6%, 재작지는 19.5%였다. 토양의 온도는 $7{\sim}8$월이 높았고, $1{\sim}2$월은 가장 낮았다.

  • PDF

남극 King Geroge Island 토양의 종속영양 세균 분포상과 효소 활성도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l Flora in Soil on th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and Their Enzyme Activities)

  • 김상진;이승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9-203
    • /
    • 1990
  • 남극 토양생태계 세균의 분포와 세균의 생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King George섬의 세종기지(한국)와 Te-niente Jubany기지(아르헨티나) 주변의 토양 17점을 남극 하계 기간(1989년 2월) 동안 채취하여 종속영양 세균의 수오 채외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종속영양 세균수는 시료채취지역과 배양온도가 다른 조건에서 자란 세균의 경우에도 그 평균값이 비숫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protease는 $4^{\circ}C$에서 자란 세균의 경우 92%로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배양온도에 따라 매우 변화가 켰으며 산술평균값은 배양온도 $37^{\circ}C$, $25^{\circ}C$, $4^{\circ}C$에서 각각 $2.5\times 10^{4}$, $2.7\times 10^{7}$, $6.9\times 10^{5}$ CFU/$cm^{3}$soil로 나타났다

  • PDF

Terrestrial pest gastropod diversity an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highland agricultural lands of Sri Lanka

  • Dinelka Thilakarathne;Nadeela Hirimuthugoda;Kithsiri Ranawana;Shalika Kumburegam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60-73
    • /
    • 2024
  • Background: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terrestrial pest gastropods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worldwide is scarce and outdat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address this gap by conducting the first comprehensive survey of pest gastropods in the Nuwara Eliya District, an important vegetable growing area in the highlands of Sri Lanka. Eighty agricultural lands were surveyed over two years by establishing ten 1 m2 sampling plots per crop type in each agricultural land. Geo-coordinates, air temperature, elevation, relative humidity, daily rainfall, soil p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ere recorded for rainy and non-rainy periods.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multi-regression models and distribution maps. Results: Out of the 14 species recorded in agricultural lands, nine were identified as exotic pest species. Species abundance (t = 4.69, p < 0.05) and diversity was higher in the rainy period and the dominant species during this period were Bradybaena similaris (t = 2.69, p < 0.05) and Deroceras reticulatum (t = 2. 46, p < 0.05). Eggs and estivating adults were found in soil and under decaying organic matter during the non-rainy period. The exotic species showed broader preferences for the measured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wed a wider range in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native species. Variation in pest gastropod composition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elevation, relative humidity, soil pH and daily rainfall. Additionally, th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varied across locations due to the combined effects of elevation, crop type and stage, and field type. Conclusion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biology and ecology of gastropod pests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soil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targeting specific habitats and crop stages, it is possible to mitigate pest populations and minimize their impact on agricultural lands. Overall, this research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ynamics and interactions of terrestrial gastropods in agricultural ecosystems, supporting sustainable pest management practices.

수도재배기간중(水稻栽培期間中)의 저온(低溫) 및 이앙기(移秧期) 한발출현유형(旱魃出現類型)과 분포(分布)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dverse Climatic Conditions Focussed on Low Temperature and Drought during Rice Transplanting Period)

  • 이량수;정영상;류인수;한원식;김병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09
    • /
    • 1983
  • 우리나라 수도작기간중(水稻作期間中)의 재해기상(災害氣象) 위험도(危險度)를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냉해(冷害)와 한발(旱魃)과 출현빈해(出現頻害)와 역별분포등(域別分布等)에 대한 조사(調査)를 실시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았다. 1. 1970년(年) 이후(以後) 한발(旱魃)과 저온출현(低溫出現)이 많아졌으며 침수해(浸水害)의 발생은 감소(減少)하였다. 2. 저온유형(低溫類型)의 출현빈도(出現頻度)는 전기저온형(前期低溫型)과 장기저온형(長期低溫型)이 많았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수원(水原) > 대구(大邱) > 광주(光州)의 순(順)이었다. 3. 수도이앙기(水稻移秧期) (4~6월(月)) 강수량(降水量)의 년도별(年度別) 변화 주기(週期)는 약(約) 15년(年)으로 나타나며 최근년(最近年)은 소강우(少降雨) 주기(週期)에 해당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이앙기(移秧期) 한발빈도(旱魃頻度)는 대구(大邱), 포항지역(浦項地域)에서 가장 많았고, '82년도(年度) 강수량(降水量)과 저수율(貯水率)을 기준(基準)한 한발극심(旱魃極甚) 지역(地域)은 영남내륙(嶺南內陸) 및 서남해안지대(西南海岸地帶)이었다.

  • PDF

제올라이트에 의한 농약의 흡착

  • 감상규;김길성;안병준;이민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7-10
    • /
    • 2001
  • Adsorption of the pesticides (phosphamidon, fenitrothion, triadimefon and diniconazole) in natural zeolite (CL $I_{N}$) and several synthetic zeolites was incestigated. The pesticides were not adsorbed on zeolites (Na-Pl, SOD, ANA, JBW and CAN)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 $K_{D}$) and the Freundlich constant ( $K_{F}$)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s. FC $C_{W}$ (waste catalytic cracking catalyst)>FA $U_{F}$ (FAU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FAU+Na-Pl)$_{SF}$ (the mixture of FAU and Na-Pl synthesized from the ratio of Jeju scoria 6 to coal fly ash 4 by weight)>CL $I_{N}$ among the zeolites; diniconazole>fenitrothion> triadimefon>phosphamidon.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esticide adsorbed per unit mass of zeolite increased for FC $C_{W}$, FA $U_{F}$ and (FAU+Na-Pl)$_{SF}$ but it decreased for CL $I_{N}$, for all the pesticides used in this study. It was independent of pH for phosphamidon, fenitrothion and triadimefon, but decresed as pH was increased for all the zeolites used in this study.y.udy.y.y.y.y.y.y.

  • PDF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지표면 수문인자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the Surface Hydrological Parameters using Landsat TM Data)

  • 채효석;송영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6-59
    • /
    • 1999
  • 원격탐사는 넓은 지역에 대한 수문학적 상태나 변화량을 관측할 수 있는 시 공간적인 수문인자나 변수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표면 알베도, 식생정보 및 지표면 온도 분포등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문 인자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표면 수문인자의 시 공간적인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문인자의 변화 분석을 위해서 1995년도 금강 상류의 보청천 유역에 대해서 획득된 5개의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COST 모델을 이용하여 대기보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토양중에 포함된 수분의 양과 태양고도각의 변화에 따라 알베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andsat TM 자료로부터 추출된 지표면 온도와 기상관측을 통해서 얻어진 대기온도 사이의 차이가 $2.5^{\circ}C$ 내지 $3.86^{\circ}C$로 나타났다.

  • PDF

GIS를 이용한 야생동물의 공간적·환경적 분포특성 분석: 강원도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Wild Animals Using GIS: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Region, Gangwon-do)

  • 박정묵;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0-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wild animals in Baekdudaegan region using field survey and GIS data.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7 species in 6 families) and rare endemic plants (14 species in 11 families). These crucial factors include stand factors (forest type, DBH class, and crown density), soil factors (bed rock,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geographical factors (elevation, slope, aspect) and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rain fall, humidity). Finally, 10 factors were selec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categorized for analyzing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Four families such as Muridae, Sciuridae, Suidae and Talpidea in wild animal showe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10 factors.

이종매질에서의 지중 송전케이블 허용전류 계산 (A Permissible Current-Carrying Capability Calculation of Power Cables Installed in Thermally Dissimilar Soil Materials)

  • 정성환;최상봉;남기영;이재덕;류희석;김대경;김형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67-469
    • /
    • 2004
  • When power cables cross regions with unfavorable thermal conditions, conductor temperatures higher than the design value can occur. This paper proposes the calculation algorithms of the permissible current-carrying capability using the algorithm of calculating the longitudinal conducto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power cables installed in thermally dissimilar soil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