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shear strain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1초

Evaluation of Dynamic Properties of Trackbed Foundation Soil Using Mid-size Resonant Column Test

  • Lim, Yujin;Nguyen, Tien Hue;Lee, Seong Hyeok;Lee, Jin-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3호
    • /
    • pp.112-119
    • /
    • 2013
  • A mid-size RC test apparatus (MRCA) equipped with a program is developed that can test samples up to D=10 cm diameter and H=20 cm height which are larger than usual samples used in practice. Using the developed RC test apparatus, two types of crushed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were tested in order to get the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s of the materials with changing of shear strain levels. For comparison purpose, large repetitive triaxial compression tests (LRT) with samples of height H=60cm and diameter D=30 cm were performed also. Resilient modulus obtained from the LRT was converted to shear modulus by considering elastic theory and strain level conversion and were compared to shear modulus values from the MRCA. It is found from this study that the MRCA can be used to test the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properly. It is found also that strain levels of $E_{v2}$ mostly used in the field should be verified considering the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s and proper values of $E_{v2}$ of trackbed foundation must be used considering the strain level verified.

등방 및 비등방 압밀된 다짐풍화화강토의 항복곡선 (Yielding Curve of Isotropic and Anisotropic Consolidated Compacted Weathered Granite Soil)

  • 정진섭;양재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3-115
    • /
    • 2002
  • During this study, various stress path tests in previous isotropic and anisotropic (compression and tension) stress histories are performed on weathered granite soil sampled at Iksan, Jeonbuk. Yielding points are determined from various stress-strain curves(stress ratio-shear strain, volumetric strain, normalized energy and dissipated total energy curves).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isotropic and anisotropic yielding curves are examin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Yielding curries defined from stress ratio - normarized energy and dissipated total energy curves show almost perfect ellipse. 2) Directions of plastic strain incremental vector are not perpendicular to yielding curve. 3) Normarized energy and dissipated total energy spread with similar tendency with respect to yielding currie in stress space.

Mechanical behaviour of biocemented sand under triaxial consolidated undrained or constant shear drained conditions

  • Hang, Lei;Gao, Yufeng;He, Jia;Chu, Ji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5호
    • /
    • pp.497-505
    • /
    • 2019
  • Biocementation based on the microbi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MICP) process is a novel soil improvement method. Biocement can improve significantly the properties of soils by binding soil particles to increase the shear strength or filling in the pores to reduce the permeability of soil. In this paper, results of triaxial consolidated undrained (CU) tests and constant shear drained (CSD) tests on biocemented Ottawa sand are presented. In the CU tests, the biocemented sand had more dilative behaviour by showing a higher stress-strain curves and faster pore pressure reducing trends as compared with their untreated counterparts. In the CSD tests, the stress ratio q/p' at which biocemented sand became unstable was higher than that for untreated sands, implying that the biocementation will improve the stability of sand to water infiltration or liquefaction.

평면변형률 시험에서 이미지 해석을 통한 사질토의 전단면 특성 평가 (Assessment of Shear Band Characteristics in Granular Soils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Plane Strain Tests)

  • 장의룡;정영훈;김준영;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1-65
    • /
    • 2011
  • 전단면의 형성과 전단면에 집중되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변형은 지반 구조물의 거동과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단면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면의 형성 및 발달 패턴 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입도분포가 다른 세 가지 시료에 대하여 밀도와 구속압 조건을 변화시켜가면서 평면변형률 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단 중에 이미지를 촬영하고, 전단 초기에서부터 한계 상태까지 하중 단계에 따라서 이미지 해석을 수행하여 시료 내부의 변형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단면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확인하였고, 이 단계부터 응력 연화 단계를 지나 한계 상태에 이를 때까지의 전단면의 특성을 기울기와 두께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두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해석 절차도 마련하였다.

흙의 비틀림전단시험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orsion Shear Tests in Soils)

  • 홍원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1호
    • /
    • pp.17-28
    • /
    • 1988
  • 흙의 역학적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요소시험중 공시체의 주응력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는 비틀림 전단시험기의 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비틀림전단시험기가 점토시료에 사용 될 수 있게 개량제작되었다. 이 시험기를 사용하여 반죽성형된 Ko-견밀점토시료에 대한 약간의 비배수 비틀림전단시험을 실시하여 혼의 거동에 미치는 주수력축의 회전영향이 조사되었다. 우선, torque없이 비틀림전단시험기를 사용하여 얻은 흙의 역학적 거동이 통상의 축대칭삼축압 축시험에 의한 결과와 비교검토됐다. 흙의 응력일변형거동, 문극수압및 주응력비는연직하중과 torque에 의한 응력경로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전단변형률의 증가에 따라 주응력회전각과 주응력의 상대적 크기, b(=o2-o3)/(o1-o3)) 값토 점진적으로 커져 파괴시의 값에 수렴하였다.

  • PDF

불포화 이암풍화토의 동적거동 (Dynamic Behavior of Unsaturated Decomposed Mudstone Soil)

  • 배중선;이주상;김주철;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41-548
    • /
    • 2001
  • The interest in the dynamic properties of soils has increased strongly because of earthquake, heavy traffic, and foundations undergo high amplitude of vibrations. Most of soils in Korean peninsula are composed of granite soils, especially the decomposed mudstone soils are widely spread in Pohang areas, Kyong-buk provi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se types of soils. The most important soil parameters under dynamic loadings are shear modulus and material dampings. Furthermore, few definitive data exist that can evaluate the behavior of unsaturated decomposed mudstone soils under dynamic loading conditions. The investigations describ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identify the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 due to a surface tension for the unsaturated decomposed mudstone soils ulder low and high strain amplitude, For this purpose, the resonant column test and the cyclic triaxial test were performed. Test results and data have shown that the optimum degree of saturation under low and strain amplitude is 32 ∼ 37%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decomposed granite due to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as well as the type and proportion of chief rock-forming minerals.

  • PDF

공내재하시험기를 이용한 미소변형 전단탄성계수 측정 (Measurement of Small-Strain Shear Modulus Using Pressuremeter Test)

  • 김동수;박재영;이원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4호
    • /
    • pp.109-120
    • /
    • 1997
  • 공용하중 상태에서 지반이 경험하는 변형률 크기는 0.1~1% 미만임이 밝혀지고 있다. 변형특성을 보다 엄밀히 평가하기 위하여는 미소변형률 영역에서의 신뢰성 있는 변형측정이 가능한 현장시험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내째하시험기(PMT)를 사용하여 지반의 미소변형률 전단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공내재하시험에서 시추공 설치에 따른 주위 지반의 교란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초기 하중재하단계가 아닌 역재하-재재하 단계에서 PMT 주위지 반의 응력상태 및 변형률 크기를 고려하여 미소변형률 잔단탄성계수를 결정하였다. 실내 토조에서 성형한 모래시료와 화강풍화토 현장지반에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시험결과로부터 본 연구 에서 사용한 PMT시험은 변형률 크기 10-2%~0.5% 범위에서 신뢰성 있는 전단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변형률 크기를 고려하여 다른 실내외시험에서 결정된 전단탄성계수와 비교 하면 서로 잘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흙노반재료의 회복탄성계수(MR) 결정을 위한 반복삼축압축시험법 제시 및 변형계수 상관성 분석 (A Possible Test Method Proposed for Resilient Modulus (MR) and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esilient Modulus and Shear Modulus of Track Subgrade Soil)

  • 박재범;최찬용;임상진;임유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5-98
    • /
    • 2017
  • 일반적으로 철도궤도 상부노반 흙재료는 연속적인 열차의 동적하중을 받게 되어 증가-감소 단계의 응력을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재하되는 축차응력(${\sigma}_d$)과 반복재하회수가 증가하게 되어 발생하는 회복변형률(${\varepsilon}_r$)의 비를 이용, 회복탄성계수($M_R$)을 산정할 수 있다. 현재까지 철도궤도하부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통일된 회복탄성계수 측정 시험법이 제시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철도궤도 하부구조에 적용 가능하며, 구속압, 응력조건 및 반복재하회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반복삼축압축시험에 의한 잠정 회복탄성계수 측정시험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반복삼축압축시험에 의한 잠정 시험법을 통해 산정된 회복탄성계수($M_R$)와 중형공진주시험을 통해 측정한 전단탄성계수(G)와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짐점성토(粘性土)의 동적전단탄성계수(動的剪斷彈性係數) (Dynamic Shear Modulus of Compacted Clayey Soil)

  • 강병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09-117
    • /
    • 1983
  • 구속응력(拘束應力), 전단변형율진폭(剪斷變形率振幅), 다짐함수비(含水比), 다짐에너지, 간극비(間隙比) 및 포화도(飽和度)가 다짐점성토(粘性土)의 동적전단탄성계수(動的剪斷彈性係數)에 끼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도주공진시험(圖柱工振試驗)을 하였다. 이들 각각(各各)의 요소(要素)들은 다짐 흙의 동적전단탄성계수(動的剪斷彈性係數)에 큰 영향(影響)을 나타내며 그 원인(原因)은 다짐에 의한 흙의 여러 가지 변화(變化)로서 설명(說明)할 수 있다. 흙의 동적전단탄성계수(動的剪斷彈性係數)는 다짐에 의해서 크게 증가(增加)되며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 건조측(乾燥側)의 함수비(含水比)에서 다지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効果的)이다. 그리고 동적(動的) 전단탄성계수(剪斷彈性係數)와 정적(靜的) 전단탄성도(剪斷彈性度)는 좋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며 이를 이용(利用)하여 어떤 일정(一定)한 구속응력(拘束應力)에 대한 동적전단탄성계수(動的剪斷彈性係數)를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로부터 쉽게 구할 수가 있다.

  • PDF

전단시험방법에 따른 토목섬유/모래 접촉면에서의 마찰특성 (Friction Characteristics on Interface Between Reinforcement and Sand by Direct Shear Test Methods)

  • 주재우;박종범;장용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9-45
    • /
    • 2003
  • 보강토 지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강재와 흙사이의 접촉부분으로서 이 부분의 전단강도 및 전단거동은 보강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보강토 지반에서 접촉부분의 전단특성을 얻는 방법으로서 인발시험방법과 직접전단시험방법 등이 있다. 실제 보강토 구조물내에서 보강재와 흙사이에 인발이 되는 부분, 전단이 되는 부분 등이 존재한다. 전단이 되는 경우에도 보강재가 전혀 변형을 하지 않는 경우와 보강재 자체가 변형이 되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전단시험기를 이용하여, 부직포/모래, 지오그리드/모래 등의 접촉면을 갖는 2종의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토목섬유의 인장변형이 허용되는 자유조건과 인장변형이 억제되는 고정조건 등 두가지 방법으로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자유조건에 비해 고정조건으로 시험을 행한 경우가 마찰각이 더 컸다. 그리고 전단응력이 피크가 되는 전단변형의 크기는 자유조건의 경우가 더 큰 값을 가졌다. 잔류응력의 경우는 고정법의 경우가 컸지만 잔류응력비는 자유법의 경우가 더 큰 값을 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