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nail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19초

접이식 웨지 장착 강관네일의 현장 인발시험 및 3차원 유한요소해석 (Field Pull-out Test and 3-D FEM Analysis for Steel Pipe Nailing Installed Foldable Wedge)

  • 권교근;최봉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C호
    • /
    • pp.313-3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접이식 웨지를 장착한 강관네일의 거동 특성 평가를 위해 현장인발시험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접이식 웨지를 장착한 강관네일의 현장인발시험 결과 접이식 웨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30% 정도의 인발 저항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강관네일의 합리적인 인발거동 분석을 위해 3차원 수치해석에서는 접이식 웨지가 장착 되지 않은 강관네일의 역해석을 통하여 현장 인발거동과 일치하는 네일과 지반사이의 마찰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접이식 웨지가 장착된 강관네일의 해석에 도입하여 그 거동을 분석하였다. 시행착오를 통한 역해석 결과 그라우트와 지반 사이의 마찰계수(${\mu}$)는 약 1.2 정도가 발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강관네일의 극한인발저항력은 $$T_L{\sim_=}32$$ tonf으로 접이식 웨지가 장착되지 않은 네일의 $$T_L{\sim_=}24$$ tonf 보다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현장인발시험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쏘일네일링과 앵커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공법의 거동 메커니즘 (Behavioral Mechanism of Hybrid Model of Soil-nailing and Compression Anchor)

  • 서형준;김현래;정남수;이인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7호
    • /
    • pp.117-1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쏘일네일링 공법과 앵커 공법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쏘일네일링과 앵커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공법은 철근과 PC강연선을 보강재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쏘일네일링에 비해 인발저항력이 증가하며,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때문에 지반의 변위를 억제하고 사면의 얕은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철근의 신장량이 PC강연선의 신장량보다 작기 때문에 철근에 하중이 집중되어 철근이 먼저 항복하게 된다. 따라서 PC강연선과 철근의 항복하중을 단순히 더하게 된다면 쏘일네일링과 앵커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공법의 항복하중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보강재의 항복시점을 일체화하기 위해 앵커바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즉, 하이브리드 공법에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은 지반의 변위를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선단에서부터 전이되는 압축력이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을 감소시켜 전체 설계하중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공법 내에서 하중전이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비교대상을 정하여 현장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하이브리드 공법의 인발저항력 증가를 규명하기 위해 우선 쏘일네일링에 대한 인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하이브리드 공법의 프리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를 0kN에서 196kN까지 변화시켜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발생한 압축력은 철근에 전해지게 되어 철근의 하중-변위곡선 기울기가 감소하게 된다. 즉, 철근은 신장량이 증가하여 PC강연선과 비슷한 항복하중을 가지게 되며, 본 논문에서는 하중전이 이론을 통해 이를 규명하였다.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삽입된 두 보강재가 일체거동을 보이게 되면 하이브리드 공법의 인발저항력은 쏘일네일링의 인발저항력보다 2배정도 더 증가하게 된다.

셰일지반에 설치된 MC앵커의 인발특성 (Pullout Characteristics of MC Anchor in Shale Layer)

  • 이봉직;김조순;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합형 지지방식으로 개발된 MC앵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C앵커는 선단 정착장치가 확장되어 천공된 공벽에 지압력이 발휘됨에 따라 인발력 증대와 그라우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앵커체가 지반에서 탈락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앵커강선과 더불어 보강철근을 삽입하여 인장손실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시공성을 높이고 앵커강선의 손실이 발생하였을 때 네일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어 장기적인 안정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MC앵커와 같은 복합형 앵커는 마찰형 앵커와 지지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지반과 그라우트의 마찰력에 의한 인발력 산정방식은 적합하지 않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복합형 앵커에 대하여 지반특성을 고려한 설계법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복합형 앵커의 인발력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형 앵커의 일종인 MC앵커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도변화가 심한 셰일지반을 대상으로 총 9개소에서 시험앵커를 시공하여 인발, 인장 및 장기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를 일반 마찰형 앵커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여 MC앵커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시험결과 셰일층에서 MC앵커는 일반 마찰형 앵커에 비해 인발력 증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