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croele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An Investigation on Migration of Uranium in Soils and Plants in a Phytoremediation System

  • Chang, Pei-chun;Satoshi-Yoshida;Kim, Kyoung-Woong;Kim, Soo-Young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2-75
    • /
    • 2003
  • Plant species have shown the capability to absorb U into the biomass. Norman(l952) even suggested that uranyl ion acts as an accessory microelement in growth of Lemna and flax roots. The plants, termed metal hyperaccumulators, can extract and accumulate more than 1000-10,000mg heavy metal per kilogram of dry weight of plants (0.1-1%). The most vital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ability and efficiency of phytoremediation is the ability of the plant to uptake the metals from soil before the accumulation mechanism happens in the plant tissue. (omitted)

  • PDF

대두 및 강낭콩내 미량원소의 농도 및 분포에 미치는 DTPA의 영향 (Effects of DTPA on Microelements in Soybean and Bush Bean)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3_4호
    • /
    • pp.40-44
    • /
    • 1973
  • Hawkeye(Fe-chlorosis resistant) and PI 54619-5-1(Fe-chlorosis sensitive) soybeans were grown with and without DPTA(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in Yolo loam soil.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leaf-stem distribution of microelements for different treatments which increase concentrations of microelements in plants to evaluate the role of the chelating agent in increasing translocation of the microelements. Plant responses and yields were recorded and Fe, Mn, Zn, Cu, Al, Co, N, Sn, Pb and Mo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determined by emission spectrography. Sulfur(soil pH4) increased leaf concentrations of Mn, Zn, Cu, CO, Ni, Sn and Pb. DTPA, particularly at 50ppm in soil, increased leaf concentrations of Fe, Mn, Zn, Cu, Co, Ni and Mo. It increased Ti in leaves for the PI 54619-5-1 soybeans only. DTPA increased the ratios of the concentration in leaves to that in stems for Fe, Zn, Cu, Al, Ti, CO, Ni and Mo. Sulfur which increased the microelement concentration in both leaves and stems did not have this effect. DTPA increased the ratio at soil pH 6 and 8.5 in leaves to that in stems of the bush bean plants for Fe, Zn, Cu, Ni, but to a lesser extent in bush beans than in soybeans. PI 54619-5-1 soybeans tended to contain less of most of the metals than did Hawkeye soybeans.

  • PDF

Impacts of Close-to-nature Management Technology on the Korean Pin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Northeast China

  • Wu, Yao;Qin, Kailun;Zhang, Jinfu;Li, Feng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300-306
    • /
    • 2013
  • Based on the guiding ideology of "Close-to-nature forestry",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forest which was early done by canopy gap control were analyzed of Liangshui nature reserve in northeastern Chin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rture of forestry crevice diaphanous tended to improve the soil nutrient conten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il nutrients existed among different levels of soil for the same forest type of Korean pine. At 0< $H{\leq}20$ cm layer, the content of available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vailable potassium,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in artificial pure Korean pine forest are 640.28 $mg{\cdot}kg^{-1}$, 7.54 $mg{\cdot}kg^{-1}$, 275.91 $mg{\cdot}kg^{-1}$, 1.114% and 0.075%, they all higher than the other kinds of forests and for average 1.1 times, 1.4 times, 1.3 times, 1.6 times and 1.2 times. From the layer of $0<H{\leq}20$ cm to 20 cm < $H{\leq}40$ cm, soil nutrient indicators showed various degrees of decreasing in which organic matter had the greatest decline, decreasing by 170.64% while PH had the lowest decline, decreasing by 4.66%.

우리나라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Red Pepper, Garlic and Onion Cultivation Areas in Korea)

  • 손보균;조주식;강종구;조자용;김길용;김현우;김홍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1
    • /
    • 1999
  • 우리나라의 주요 조미채소인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여 토양관리 및 시비 기준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추(132개지점), 마늘(59개지점) 및 양파(24개지점) 주산지 총 215개 지점의 근권토양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토양은 사양토(SL)와 양토(L)가 전체의 68%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토성별 빈도분포는 양토(L. 35.4%) > 사양토(SL,31.6%) > 미사질양토(SiL, 14.9%) > 식양토(CL.7.0%)의 순이었다. 토양 pH는 마늘 및 양파재배지 토양은 평균 6.0 이상이었으나 고추재배지 토양은 5.5로서 낮았으며, 전체조사지역의 58.7%인 126개 지점이 6.0 이하였으며, pH 5.0 이하인 지점도 전체의 21.4%인 46개 지점이었으며, 7.1 이상인 지역은 약 10.3%인 22개 지점이었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20{\sim}30g\;kg^{-1}$ 수준이H으며 양파재배지 토양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효 $P_2O_5$$719{\sim}746mg\;kg^{-1}$ 범위로서 작물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빈도분포는 전체 조사지역중 62.8%가 유효 $P_2O_5$ $600mg\;kg^{-1}$ 이상으로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1,000mg\;kg^{-1}$ 이상도 전체의 22.3%를 차지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인 K 및 Ca 함량은 마늘(1.27 및 $9.11cmol\;kg^{-1}$) 및 양파(1.20 및 $8.39cmol\;kg^{-1}$)재배지토양이 고추재배지 토양(0.96 및 $5.87cmol\;kg^{-1}$)에 비하여 높았으며, Mg 함량은 마늘재배지 토양이 $2.17cmol\;kg^{-1}$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고추 및 양파재배지토양은 각각 약 1.51 및 $1.80cmol\;kg^{-1}$으로 마늘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치환성 양이온인K, Mg 및 Ca모두 경작지 토양의 적정수준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미량원소는 Fe는 $54.3{\sim}60.1mg\;kg^{-1}$ 범위, Mn은 $31.3{\sim}42.3mg\;kg^{-1}$ 범위 Cu및 Zn은 각각 1.7~2.3 및 $4.8{\sim}5.5mg\;kg^{-1}$ 범위였다.

  • PDF

남서해안 고사리 생육지의 토양화학적 특성과 고사리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 (Nutrient Contents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of Its Habitat in the Coastal Area)

  • 이수영;박강용;박양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1-636
    • /
    • 2010
  • 전남 신안군 내 고사리 재배농가들의 기술지원을 위하여 고사리 재배시험을 수행하면서 고사리 생육지의 토양특성을 조사하였고, 나물용 고사리와 성숙고사리의 식물체를 채취하여 이들의 무기성분 함량들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고사리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들의 포장토양과 고사리 시료들을 채취하여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사리 자생지의 토양은 pH가 5.2, 유기물 19 g $kg^{-1}$, 유효인산 20 mg $kg^{-1}$ 이었고, 치환성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은 각각 0.32, 2.0, 및 1.3 $cmol_c\;kg^{-1}$이 었으며, 재배지토양의 화학성은 pH가 5.7, 유기물 13 g$kg^{-1}$, 유효인산 367 mg $kg^{-1}$ 이었고, 치환성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은 각각 0.81, 4.0, 및 1.4 $cmol_c\;kg^{-1}$로 고사리 자생지의 토양 pH,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슘의 함량이 매우 낮았으며, 유기물함량은 다소 높았다. 자생나물용 고사리의 무기성분 함량은 질소 4.40, 인 0.55, 칼륨 3.40, 칼슘 0.22, 마그네슘 0.32, 나트륨 0.09% 이었고, 철은 126, 망간 210, 구리 23, 아연 75, 붕소 11 mg $kg^{-1}$ 이었으며, 재배고사리의 무기성분 함량 중 질소는 5.50, 인 0.73, 칼륨 3.55, 칼슘 0.17, 마그네슘 0.28, 나트륨 0.07% 이었고, 철은 120, 망간 252, 구리 19, 아연 72, 붕소 20 mg $kg^{-1}$ 이었다. 나물용 고사리와 성숙고사리의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해 보면 3요소 성분을 비롯한 대부분의 다량성분과 미량성분 모두 나물용고사리에서 높았고, 고사리가 성숙되어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과 망간의 함량만은 성숙되어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생고사리와 재배고사리 간의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한 결과 질소, 인, 칼륨 등 3요소 성분은 재배고사리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마그네슘 함량은 자생고사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외의 성분들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농가의 고사리 재배에서 재배 1년차와 2년차로 구분하여 토양의 화학성과 고사리 생육을 조사한 결과 토양화학성은 pH가 5.5~5.7, 유기물 함량이 13 g $kg^{-1}$, 유효인산이 222~367 mg $kg^{-1}$, 치환성양이온 중 칼륨 0.40~0.81, 칼슘 3.4~4.0, 마그네슘 1.4~1.6 $cmol_c\;kg^{-1}$이었고, 고사리의 생육은 1년차의 포장은 간장 (지표에서 잎가지가 있는 부분까지)이 25 cm, 입모 수는 13개 $m^{-2}$ 이었으며, 2년차 포장에서는 간장이 89 cm, 입모수가 25개로 조사 되었다.

참외용 수경재배시스템에서의 순환배양액의 무기이온 함량의 변화 (Changes of Nutrient Content of Circulating Solution in Three Different New Hydroponics for Oriental Melons(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조익환;전하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8-174
    • /
    • 2002
  • 시설재배 참외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고안하여 참외 수경재배의 가능성을 검정하고, 순환식 수경재배 시의 배양액 관리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세 가지 수경재배방식에서 순환배양액의 무기이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외의 수경재배에서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양호한 수량과 품질을 나타내었다. 참외의 수경재배는 고형배지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보였으며 NFT방식은 고온기의 장해발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참외의 배양액은 야마자키 조성 멜론 배양액을 EC 2.0dS.m$^{-}$로 전 생육기간에 동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순환방식에서도 배양액의 EC와 pH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순환배양액내의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도 계속적으로 일정한 함량으로 유지되어 참외용 수경재배방식이 적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_3$-N, Ca, Mg은 모든 재배방식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안정적인 함량변화를 나타내었고, P은 다른 두 방식에 비해 펄라이트 배지에서 약 $1me{\cdot}{\iota}$^{-}$ 정도 흡수가 저하하였으며, K은 펄라이트 배지에서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으나 코코피트 배지에서는 안정적인 함량변화를 나타내었다. 미량원소는 Mo을 제외하고는 고형배지 방식에서는 대체적으로 안정된 함량의 추이를 나타내어 미량원소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NFT방식에서는 B와 Mn은 비교적 안정된 함량변화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원소들은 불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고온기에 미량원소의 흡수가 저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u. Zn, Mo의 흡수가 원활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참외를 위한 새로운 순환식 고형배지방식은 참외시설재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