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fumig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Morphology of Arbuscular Mycorrhizal Roots and Effects of Root Age and Soil Texture on the Mycorrhizal Infection in Panax ginseng C.A. Meyer

  • Lee, Kyung-Joon;Park, Hoon;Lee, In-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49-156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orphology of mycorrhizal roots, and the effects of root age and soil texture on the mycorrhizal infection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ing in Korea. Ginseng roots at ages of two to six years were collected from fields in late June. Their infection by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was studied by clearing the roots and staining fungal hyphae with trypan blue. Root infection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roots. Young tertiary roots, in diameter of smaller than 0.8 mrn, formed during the current growing season had root hairs and were frequently and in some cases heavily infected by AMF. Hyphal coils and arbuscules were abundant, while vesicles were rarely observed. Older secondary or tertiary roots in diameter of bigger than 1.0 mm with fully differentiated primary xylem formed during the previous growing season had no root hairs, and were not infected at all. The rates of mycorrhizal infection in the young tertiary roots were not affected by the age of the ginseng plants, suggesting that fungal populations might have not much changed during the aging of the cultivated fields up to six years. The differences in the infection rates among the different ages of ginseng were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young tertiary roots in the samples. Soil texture, either sandy loam or clay loam, did not affect the rate of root infection. There were large variations in the infection rates among the different farms and locations within a farm. It strongly suggested that infection rates of the ginseng roots by AMF would be influenced by the practice of the farmers, possibly by avoiding consecutive planting, introduction of new topsoil, and the ways of handling the soil before transplanting the ginseng, such as fumigation or sterilization that might have affected indigenous inoculum sources of the AMF.

토양훈증제 처리가 2년생 인삼의 생육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fumigatio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안용준;김요태;김명수;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36
    • /
    • 1981
  • D-D외 3종의 토양훈증제를 인삼의 연작토에 15cm, 30cm 깊이로 처리하였을 때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1980년 3월 7일 처리, 4월 1일 이식, 8월 19일에 채취하여 근, 경, 엽으로 나누어 일반 무기성분(N, P, K, Ca, Mg, Na, Fe, Mn, Zn)을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훈증제처리가 2년생인삼의 지상하부의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2.8\~58.4\%$, 건물중의 경우 $8.1\~63.8\%$ 증가하였다. 2. 지상하부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a의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하부에서는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지하부에서는 증가하였다. 3. 미량요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Mn, Fe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Na, Zn의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훈증제의 처리깊이(15cm, 30cm)에 따른 차이에서 보면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I)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 - Focused on the case of US)

  • 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123-136
    • /
    • 2011
  • 우리나라에는 지중흰개미의 일종인 큐슈흰개미 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흰개미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 훈증처리, 토양처리, 방충방부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등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흰개미 피해가 심각한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의 피해 현황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1950년경부터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미국을 중심으로 흰개미 분포 현황 및 방제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에는 지중흰개미, 건재흰개미, 습재흰개미 등 다양한 종류의 흰개미가 분포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비해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흰개미 피해를 조사하고 적절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과정은 흰개미 피해 조사, 화학적 방제처리(토양 약제 처리,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 건축물 유지보수,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포하는 흰개미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흰개미 피해로부터 방제작업을 진행할 때도 흰개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지중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건축물에 대한 기피성 또는 비기피성 살충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흰개미 군체제거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반면, 건재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훈증처리,열처리 등을 통해 방제하고 있다.

  • PDF

채소원예작물(菜蔬園藝作物)에 대(對)한 가스피해(被害)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1. 무우, 배추, 토마토, 오이에 대한 Ammonia 가스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Preventive Measures of Vegetable Crops to Gases -1. Effect of ammonia gas on radish, chinese cabbage, tomato, and cucumber)

  • 김복영;조재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45
    • /
    • 1987
  • 무우, 배추, 토마토, 오이의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에 가스접촉(接觸) 실내(室內)에서 Ammonia가스를 (0.05, 0.10, $0.2mg/{\ell}$ 농도(濃度)) 주간(晝間)과 야간(夜間)에 각각(各各) 2시간(時間)씩 접촉(接觸)하여 잎의 피해엽율(被害葉率), 엽록소함량변화(葉綠素含量變化), 질소함량변화등(窒素含量變化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Ammonia가스의 엽피해(葉被害)는 토마토가 가장 심(甚)하고 오이가 가장 경미(輕微)하며 주간(晝間)이 야간(夜間)보다 심(甚)하고 질소(窒素) 및 가리증시(加里增施)로 경감(輕減)하였다. 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많을수록 가스피해(被害)가 심(甚)하고 그늘과 야간(夜間)에서 피해(被害)가 경미(輕微)하였다. 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가스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이 감소(減少)되었고, 야간접촉(夜間接觸)에서 감소(減少)가 적었다. 라. 엽중(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가스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되었고 주간(晝間)과 야간접촉(夜間接觸)이 유사(類似)하였다. 마. 엽중질소함량(葉中窒素含量)의 증가량(增加量)과 엽피해율(葉被害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사. 엽피해율(葉被害率)이 큰 토마토가 가스 흡수량(吸收量)이 많았고 엽피해율(葉被害率)이 적은 오이는 가스 흡수량(吸收量)이 적었다.

  • PDF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법 (Termite monitoring and control managements for wooden building)

  • 이규식;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41-52
    • /
    • 2001
  • The wooden building is mainly damaged by the termite which have an effect of the structure by making emptied inner part of wood. One class, Japanese termite, inhabits throughout Korea and is often detected. So the deterioration by termite attacking the wooden building needs to be controlled. Termites are over 2,800 species in the world, usually they inhabit in the tropical or subtropical region and don’t over winter in dormant condition. So their activity and distribution are chiefly restricted by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ermite inhabiting in Korea is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 which known to have an optimal temperature range at $12~30^{\circ}C$ and minimum temperature at $6^{\circ}C$ for activation. These temperatures correspond to the mean temperature($5.6^{\circ}C$~$25.8^{\circ}C$) from March to November and the activity time of termitein Seoul. In addition,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industrial development, the climate of Korea is getting warm.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in Korea has been $1.1^{\circ}C$ for the past seventy five years, so it is expected that the damage of wooden building by termite will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wooden building from damages by termite, it needs not only development of new pest control methods, but also studies on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activity and growth of termit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larg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he wooden building in the open air,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methods of fumigation,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 treatment of wood materials, soil termiticideinjection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 PDF

강남콩에 대한 $SO_2$ 피해경감제로서 uniconazole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icacy of Uniconazole as a Phytoprotectant Against $SO_2$ Injury in Snap Bean)

  • 구자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9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using uniconazole,[(E)-1-(4-chlorophenyl)-4,4-dimethyl-2-(1,2,4-triazole-1-yl)-1-penten-3-ol)] as a phytoprotectant against $SO_2$ injury in snap been (Phaseolus vulgaris L. 'Strike'). Thirteen days prior to $SO_2$ fumigation, plants were given a 100 ml soil drench of uniconazole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0.02, 0.10, 0.25 and 0.50 mg/pot. All four uniconazol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SO_2$ exposure(3 h at 1.5 ppm), but uniconazole treatment above 0.02 mg/pot severely reduced stem elongation, leaf enlargement, flowering date and pod number and weight. Uniconazole treatment had little or no effect on stomatal conductance but reduced transpiration rate on a whole plant basis by nearly 40%. This may reflect an alteration in canopy structure by reducing stem elongation and leaf enlargement. Although uniconazole did not increase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and peroxidase(POD) in non-$SO_2$-fumigated plants, it significantly increased those enzyme activities in $SO_2$-fumigated plants. Chlorophyll concentration on the basis of unit area was increased 50-60% by uniconazole.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detected on the basis of dry weight. $SO_2$ increased variable chlorophyll fluorescence (Fv) 48% after 1.5 h of exposure in non-uniconazole treated plants but decreased Fv in the plants after 3 h of exposure. By appliing uniconazol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high Fv values in the latter group of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ytoprotective effects of uniconazole are related to its growth-retarding properties as an anti-gibberellin as well as the increase of activites of free radical scavengers such as SOD and POD.

  • PDF

윤작이 참깨의 생육과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 Rotation on the Growth of Sesame(Sesamum indicum L.) and Soil Properties)

  • 김동휘;서종호;김충국;최성호;고문환;허일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6-224
    • /
    • 1998
  • 윤작이 참깨의 생육과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3년간 옥수수, 콩, 보리, 호밀등을 도입하여 참깨 연 윤작 시험을 실시 하였다. 연 윤작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를 보면 토양내 유기물 함량과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참깨 연작구에 비하여 윤작구에서 높았다. 토양내 유효인산 함량은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에서 높았으며, pH는 처리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토양 가밀도는 참깨 연작구에서 가장 높고,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는 중간 정도였다. 토양의 공극률은 가밀도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내 Biomass-C, N 함량은 맥류+참깨 윤작구에서 그 양이 가장 많았으며,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도 그 양이 참깨 연작구보다 많았다. 참깨 병해발생은 연작장해의 가장 큰 요인이나 본 시험에서는 윤작에 의해 병발생이 감소하지는 않았다. 참깨 생육은 옥수수-참깨와 콩-참깨 윤작구에서 가장 높고, 호밀 보리+참깨 윤작구가 그 다음 이었으며 참깨 연작구의 생육이 가장 낮았다. 참깨 종실수량은 윤작구에서 월등히 많아 참깨 연작구에 비하면 '96년도에는 각각 옥수수-참깨 윤작구는 68%, 호밀+참깨 윤작구는 63%, 콩-참깨 윤작구는 57%, 보리+참깨 윤작구는 55% 증수되었고, '97년도에는 증수율이 '96년에 비해서는 감소했지만 그래도 각각 24, 28, 20, 19% 증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년간의 성적을 평균해 보면 이들 윤작구의 수량은 41, 41, 34, 33% 정도 참깨 연작구에 비해서 증가하여 윤작에 의한 증수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방제지역 식생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Managed Area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 한봉호;최진우;염정헌;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2-356
    • /
    • 2014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 중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06~2011년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해 관리년도가 명확하고 조사 및 관리가 용이한 탐방로 인접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는 소귀천계곡, 무수골,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 6개 지역 이었다. 조사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18개소 ($20m{\times}20m$)를 설정하였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 아교목층의 상대우점치, 도시화적응종 및 외래종의 상대우점치 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벌채 후 4년 이상 경과된 소귀천계곡과 무수골에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가 모두 크게 증가하였으며 벌채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지역 중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은 벌채 및 훈증 작업시 하층이 훼손되어 대조구에 비해 아교목 및 관목층 밀도가 낮았다. 하지만 원도봉과 도선사는 관목층의 밀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는데 다수의 유목이 이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의 세력 경쟁 측면에서는 다락원과 원도봉을 제외하고는 신갈나무가 쇠퇴하면서 졸참나무와 팥배나무가 우점하였다. 다락원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원도봉은 신갈나무가 지속적으로 우점하였다. 외래종은 일본목련, 아까시나무 등이 수관층이 개방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며, 소귀천계곡에서는 덩굴식생인 칡이 생육하였다. 토양환경에서는 전 지역에서 토양의 산성화(pH 4.49)와 더불어 유기물함량(3.23%), 유효인산(1.40mg/kg) 및 치환성양이온 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어 수목생육에는 불량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Uniconazole 과 Silver Thiosulfate 의 복합처리가 토마토의 오존피해경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Combined Treatment with Uniconazole, Silver Thiosulfate on Reduction of Ozone Injury in Tomato Plant)

  • 구자형;원동찬;김태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0-58
    • /
    • 1992
  • 대기오염의 주원인 오존이 식물이 미체는 피해를 경감시키고자 생장왜화제인 uniconazole를 0, 0.001, 0.01, 0.1mg/pot의 농도로 토양주입하고 다시 antiethylene제인 STS를 0, 0.3, 0.6mM로 엽면살포 한 후 0.2ppm의 오존에 20시간 계속하여 처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Uniconazole은 식물체의 왜화정도가 클수록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켜 무처리구의 36% 피해에 비하여 11%까지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STS 처리도 uniconazole과 같은 정도의 피해감소를 보였으며 두 약제를 복합처리한 결과 단독처리 보다 낮은 농도의 처리로도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2. Uniconazole은 토마토의 초장 및 엽장을 감소시키고 chlorophyll함량을 증대시켰으며 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STS는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증산량을 다소 증가시켰다. 오존처리는 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uniconazole은 오존에 의한 증산량의 감소를 막아 주었으나 STS처리는 감소효과가 없었다. 3. Uniconazole과 STS는 모두 오존피해로 유발되는 ethylene의 발생량을 크게 경감시켰다. 그러나 uniconazole은 오존피해로 일어나는 자엽의 낙엽 및 잎의 epinasty증상을 방지시킬 수 없었는데 반하여 STS처리에서는 자엽의 낙엽과 epinasty현상을 뚜렷하게 막아 주었다. 4. SOD와 POD의 활성은 uniconazole에 의하여 약간 증가되었으나 STS는 두가지 효소의 활성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STS의 처리는 토마토의 개화를 3일 정도 촉진시켰고 uniconazole는 6-8일 정도 촉진시켰으며 두 약제 모두 착과율을 증진시켰다. 두 약제를 복합처리함으로써 오존피해로 인한 착과의 감소를 완전하게 막을 수 있었다. 6. 이상의 결과로 보아 uniconazole은 식물체를 왜화시킴으로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큰데 비하여 STS는 주로 피해로 인하여 유발되는 ethylene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내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두 약제의 복합사용은 식물체의 왜화를 최소한으로 유도하면서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Uniconazole(XE-1019) 처리가 토마토의 오존피해경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Uniconazole(XE-1019) Treatment in Reducing Ozone Injury to Tomato Plant)

  • 원동찬;구자형;김태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9
    • /
    • 1992
  • 토마토의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키고자 생장 외화제인 uniconazole을 0, 0.001, 0.01, 0.1, 0.2mg/pot의 농도를 토양주입하고, 0.3ppm이 오존에 처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Uniconazole은 0.001mg/po1의 낮은 농도에서도 식물체를 크게 왜화시켰으며, 왜화정도가 클수록 오존에 대한 내성을 증대시켜 무처리구의 25% 피해에 비하여 0.01mg/pot의 낮은 농도처리에서도 10% 이하로 피해를 경감시켰다. 2. Uniconazole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토마토의 초장, 엽장, 엽면적 및 생체중을 감소시키고, chlorophyll 함량을 증대시켰으며 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오존처리는 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uniconazole 처리는 오존에 의한 증산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Uniconazole은 오존피해를 경감시킴으로 ethylene의 발생량을 크게 경감시켰으나 자엽의 낙엽 및 잎의 epinasty 발생을 방지시킬 수 없었다. 4. 오존처리는 POD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으나, SOD의 활성은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Uniconazole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POD와 SOD의 활성을 약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5. Uniconazole을 처리한 다음 $GA_3$ 를 엽면살포한 결과 생장왜화효과가 소멸되면서 오존에 대한 내성도 감소되었다. 6. 이와같은 결과로 종합하여 볼 때, 토마토에 있어서 uniconazole의 오존 피해경감은 식물체의 왜화와 엽록소의 함량증대에 따른 오염물질의 세포 내 유입억제와 함께 oxyradical의 해를 중화시킬수 있는 요소의 활성증대가 일부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