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hexametaphosphat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전분질첨가 김치의 숙성 중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5-200
    • /
    • 1998
  • 전분풀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의 세 시료를 1$0^{\circ}C$에서 2주간 저장하고 발효과정중 미생물 수 그리고 김치의 조직감과 김치액의 점도, 색상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조직의 견고성(hardness)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세 시료군 모두 감소하였는데 대조군값이 가장 높았고 밀가루풀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펙틴질 분획 결과 발효가 진행되면서 HWSP는 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증가하였고 HCISP는 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감소하였다. 김치액의 적색도는 발효기간 동안 세 시료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김치액의 점도 역시 찹쌀풀 첨가군>밀가루풀 첨가군>대조군의 순으로 모두 감소하였다.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발효초기 세 시료모두 점차 증가하다가 pH 4.0~4.5 사이의 최적숙기인 발효 5일째 밀가루풀 첨가군에서의 균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일 이후로는 세 시료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전분풀의 첨가는 김치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밀가루풀이 찹쌀풀보다 발효가 더 빨리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뢰스-고토양 퇴적물의 전처리 과정에 따른 입도분석 결과 비교 (Comparisons of Grain Size Analysis Results by Different Pretreatments Procedures in Loess-paleosol Sediments)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53-572
    • /
    • 2010
  • 퇴적물이나 토양의 입도분석은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지구과학적 연구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뢰스-고토양 퇴적물을 대상으로 10가지 전처리 과정에 따른 입도분석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퇴적물의 분산에 있어 확산제의 효과가 가장 크지만, 확산제와 염산의 처리 순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염산의 염소 이온과 확산제의 나트륨 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나트륨 이온이 효과적으로 퇴적물의 칼슘 이온을 치환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과산화수소와 염산은 끓는 물보다는 효과적이지만 퇴적물의 분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연구 목적 및 시료 특성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정해야 신뢰할 수 있는 입도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발아(發芽)가 유채의 질소화합물 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Fractions of Nitrogeneous Component of Rapeseed)

  • 윤석권;조병미;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77-388
    • /
    • 1985
  •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발아시키는동안 질소화합물, 전기영동pattern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유채의 단백질은 수용성비단백해 질소가 9.3%, albumin 25.1%, globulin이 24.7%, Prolamine of 2.2%, glutelin이 1.7%였는데 발아에 의하여 수용성비단 백태 질소는 증가하였으나 albumin과 globulin은 감소하였고 prolamine과 glutelin은 발아초기에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2. 2%SHMP에 의해 추출되는 유채단백질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53.5$\sim$54.5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3. 유채단백질을 7.5%polyacrylamide gel로써 전기영동한 결과는 2개의 큰peak와 2개의 작은peak를 보이던 것이 발아30시간에는 각peak의 모양이 둥그스럼해지고, 발아45시간 이후에는 큰Peak 1개만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났다. 4. 유채발아중 단백질추출액의 색도는 400$\sim$700mm의 전파장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500mm에서 현저하였다.

  • PDF

백김치 숙성중 식이섬유 및 펙틴질의 함량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Baik-kimchi)

  • 문수경;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06-1012
    • /
    • 1997
  • To observe the food quality of Baik-kimchi which is known as a watery Chinese cabbage pickles without fish sauce and red pepper paste, the changes of dietary fibers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at 5$^{\circ}C$ and $25^{\circ}C$ were studied. Baik-kimchi fermented at $25^{\circ}C$ showed a greater changes in pH and acidity than those of 5$^{\circ}C$ during storage. Ripened Baik-kimchi products fermented at 5$^{\circ}C$ could be prepared on 9~12 days of fermentation, and those had a pH range from 4.25 to 4.40 and acidity of 0.34~0.53. But in the case of $25^{\circ}C$ fermentation, Baik-kimchi ripened for 3 days showed a pH of 4.02 and acidity of 0.54. The pH and acidity of the Baik-kimchi juice chang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Baik-kimchi solid regardles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SDF) was ranged from 3.06 to 4.87% at 5$^{\circ}C$ and a wide variation in SDF was observed in the sample fermented at $25^{\circ}C$(4.15~11.22%). Insoluble dietary fiber(IDF) were increased from 21.66% to 28.42% in solid of Baik-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circ}C$ and ranged from 21.37% to 24.65% for sample fermented at $25^{\circ}C$. A notable amount of pectin had been dissolved in juice of Baik-kimchi till the best ripening time and showed the level of 223.2mg/100ml at 5$^{\circ}C$ on the day of 9 and 207.3mg/100ml at $25^{\circ}C$ on the day of 2. In contrast, the contents of pectin in solid Baik-kimchi decreased, whereas contents of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XSP) and HCl soluble pectin(HClSP) in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

  • PDF

시판 홍어 김치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kate (Raja kenojei) Kimchi on the Market)

  • 김경희;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2
    • /
    • 2008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arket-available skate (Raja kenojei) kimchi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to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skate (Raja kenojei) and Baechu kimchi products are as follows: salt concentrations = 3.40% and 3.95%, respectively; pH and acidity values = 4.01 and 3.90, and 0.65% and 0.82%, respectively; redox potential Eh values = 119.82 mV and 123.08 mV respectively; reducing sugars levels = 15.51 mg% and 13.23mg%, respectively; ascorbic acid levels = 24.21mg% and 22.18mg%, respectively; color L-values = 46.86 and 44.54, a-values = 15.46 and 12.28, and b-values = 29.94 and 28.36, respectively; hardness properties = 11.36 kgf and 10.23 kgf, respectively; hot water soluble pectin (HWSP) contents and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 (NaSP) contents = 15.23% and 17.35%, and 32.51% and 29.64%, respectively; hydrochloric acid soluble pectin (HClSP) contents = 55.1% and 53.2%, respectively; total viable cell counts = $4.78{\times}10^8$ and $1.35{\times}10^8$,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counts = $5.18{\times}10^5$ and $1.32{\times}10^5$, respectively; and yeast levels = $8.52{\times}10^5$ and $5.23{\times}10^5$, respectively.

용액합성실험에 의한 에트린자이트 결정성장억제 연구 (A Study for Crystal Growth Inhibition of Ettringite by Solution Synthesis Experiment)

  • 이효민;황진연;오지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1
    • /
    • 2010
  •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Ca_6[Al(OH)_6]_2(SO_4)_3{\cdot}26H_2O)$는 콘크리트 내에서 특이한 성질을 나타내는 황산염광물이다. 팽윤성 결정구조로 인해 경화된 콘크리트에 이차적으로 생성되면 팽창과 균열을 발생하여 콘크리트 내구성을 저하함으로써, 흔히 콘크리트의 암으로 불려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스케일링 방지제 혹은 청관제로 활용되고 있는 일부 결정성장억제제를 선택 적용하여, 콘크리트에 유해한 황산염이차 광물인 에트린자이트의 결정성장억제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을 위한 에트린자이트 용액합성법을 개발하고, 세 가지 유형의 결정성장억제제들의 에트린자이트 결정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에트린자이트의 용액합성시험 결과, 수산화칼슘 포화용액에 대한 황산알루미늄 용액의 양적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순수한 에트린자이트가 생성되며, 용액 중 ${SO_4}^{2-}$ 이온에 대해 $Ca^{2+}$ 이온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모노설페이트(monosulfate) 혹은 세미설페이트(semisulfate)가 생성된다. 용액합성법에 의한 에트린자이트의 결정 생성은 용액들의 반응 시작과 거의 동시에 일어나며 (induction time < 2min.), 반응 시작 1시간 정도 지나면 반응이 거의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성장억제제들의 에트린자이트 결정성장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 폴리카르복시산염 (Polycarboxylate) 계의 PBCT (2-Phosphonobutane-1,2,4-Tricarboxylic Acid)와 무기인산염 (inorganic phosphate)계의 SHMP (Sodium Hexametaphosphate)는 실험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에트린자이트 결정성장억제의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유기인산염 (organic phosphate)계의 HEDP (1-Hydoxyethylidene-1, 1-Diphosphonic Acid)는 0.1 vol.% 이상의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에트린자이트 및 기타 황산염광물들의 결정성장을 억제하여 비정질의 겔(gel) 상의 물질을 생성하였다.

돌산 갓의 비휘발성 유기산, 무기질, 지방산 및 섬유소 조성 (Non-Volatile Organic Acids, Mineral, Fatty Acids and Fiber Compositions in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 박석규;조영숙;박정로;전순실;문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7
    • /
    • 1993
  • 국내 김치류 가운데 향토식품으로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있는 갓의 비휘발성 유기산, 무기질, 지방산조성 및 섬유소 등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는 비휘발성 유기산은 잎줄기보다 잎에 많았으며, 특히 malic acid의 함량이 79.lmg%로서 가장 높았고, citric acid는 23.7mg%로서 잎의 함량이 잎줄기보다 4배 정도 더 많았다. 잎과 잎줄기의 무기질은 칼슘(143.7, 81.3mg%)과 마그네슘(22.7, 14.5 mg%)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의 무기질함량은 잎줄기에 비하여 1~1.8배 정도 많았다. 특히 철 (6.9, 7.3mg%)은 다른 십자화과 채소에 비하여 상당히 많았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은 $\alpha$-linolenic acid, palmit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포화지방산에 비하여 3.7배 많으며, 잎과 잎줄기의 P/S비율이 각각 4.1과 2.9로서 잎이 1.4배 높았다. 식이성 섬유질 중 펙틴질에 있어서 잎과 잎줄기의 알코올불용성성분 (AIS)은 9.4및 6.7%로서 잎의 AIS함량이 1.4배 많았으며, 잎과 줄기에서 공통적으로 AIS는 열수수용성펙틴(HWSP), 인산염가용성펙틴(HXSP), 염산가용성펙틴(HSP)이 4.1 : 2.8 : 1의 비로 구성되며, HXSP와 HSP의 함량이 크게 차이를 보였다. 또한 총 식이성섬유질의 함량은 잎과 잎줄기에서 각각 1.2와 2.8%를 함유하며, ADF에 비하여 NDF함량이 많았으며, 리그닌이 가장 적었다. 셀루로스는 헤미셀루로스에 비하여 2.1배 많았으며, 대체로 잎줄기에는 잎에 비하여 각 식이성 섬유소의 함량이 약간씩 높았다.

  • PDF

한국원료견질에 적응하는 자동조사 공정관리의 구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eration Control with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to be responded for Korean Silk Cocoon)

  • 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6
    • /
    • 1975
  •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find out the optimum silk reeling system by use of automatic silk reeling machine to increase raw silk yield and reeling efficiency with various silk reelable cocoon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ilk reelability ratio(X)of the Korean cocoons during the last ten years was 61 per cent, beside 64.7 per cent in autumn cocoon and 57.3 per cent in spring cocoon. However, the ratio variation of autumn cocoons was larger than that of spring cocoons. 2.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coon filament breaks during its process and silk reelability level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The cocoons of both poor and good reelability evidenced "J" shape distribution on the filament break graph by the order of reeling cocoon end. Many bave breaks were found at the inner shell of the cocoons, or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coons. 3. The morphology of broken cocoon ends during the process was classified into A, B, C, D, E and F types, The occurrence of B type was majority, but that of F type was minority among them. 4. In case of the cocoon cooking, H-type ion-exchanged soft water was better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Na and H-type ion exchanged neutral soft water for those of fair reelability, and alkaline (Na-type) soft water for those of poor reelability, respectively. 5. The modification of cooking water by mixing the above different types of water (50% Na-type and 50% H-type passed by standard natural water; 75% Na-type and 25% H-type passed by hard natural water; 25% Na-type and 75% H-type passed by soluble natural water) made higher yield of raw silk with tess breaks of thread. 6, In case cocoon ends groping water included sodium hexametaphosphate as much as 800 ppm. the groping efficiency and raw silk yield of cocoon was improved. The effect was pronounced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rdons. 7. The most reasonable cocoon cooking and silk reeling condition for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were observed to be rather incomplete cook with good reelability cocoons and optimum cook with poor reelability cocoons succeeded by the reeling bath temperature of 45$^{\circ}C$, 8. The reasonable silk reeling velocities were observed to be about 150m per min.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120m per min. for fair reelability ones and 90 to 120m per min. for poor reelability ones. 9. In order to improve the raw silk yield of cocoons and reeling efficiency, the cocoon stand-by-ratio for reeling should be kept at the level of 40 per cent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or at 60 per cent for poor reelability ones beside necessary end found cocoon condition.

  • PDF

Freeze - Flow Process 를 이용한 농축우유의 저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servation of Concentrated Milk by Freeze - Flow Process)

  • 이영춘;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0-505
    • /
    • 1985
  •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축우유를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하는데 적합한 복합냉동보호물질은 설탕 17.74%, glucose, 8.87% fructose 8.87%, glycerol 2%, HMP 0.25%, NaCl 0.25%, ascorbic acid 0.02%로 구성되었으며, 고형분 38%인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 38%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저장중의 품질변화중 관능적 품질과 이용성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단백질 변성에 의한 gel화현상 이었다. Gel화현상은 대조구에서 3주저장 후부터 발생하였으나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전 저장기간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우유 단백질의 저장중 변성현상을 뒷받침하는 단백질 침전량을 조사한 결과 control에서 3주 후부터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처리구에서는 저장기간동안 나타나지 않아TEk. 저장중 농축우유의 색깔변화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경미했으며, 대조구과 처리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냉동저장온도에서 비동결상태로 저장하면 통상적인 냉동저장방법과 같은 품질보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통 냉동저장시에 발생하는 우유단백질의 변성에서 오는 gel화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저장 후 제품의 품질과 이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었다.

  • PDF

청각채가 동치미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e Plant(Codium Fragil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박복희;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8-515
    • /
    • 2005
  • 동치미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각채를 첨가하여 발효숙성 시켰을 때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대조군 보다 청각채 첨가군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게, 총산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 환원 전위는 전체적으로 대조군에서 전위값의 변화가 적었으며, 김치 숙성의 최적기인 $25{\sim}40$일 사이에 Eh7값이 $-136.35{\sim}-185.12mV$로서 가장 혐기적인 상태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청각채 첨가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함량은 청각채 첨가군이 대 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청각채 첨가군이 가장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0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20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탁도의 경우는 발효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동치미 담금 직후에는 산가용성, 열수가용성, 염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게 나타났는데, 발효 20일 이후부터는 이들 가용성 펙틴의 구성비가 산가용성, 염가용성,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바뀌어 나타났다. 또한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