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caseinat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인공탈회된 법랑질에 대한 카제인나트륨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caseinate on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 임희정;정임희;임도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8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mineralization effects of sodium caseinate and other substances on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Methods: We selected 25 healthy human premolars and molars and produced a total of 75 specimens by dividing them into five groups: control group, with distilled water; experimental group 1 (EG1), with 3% sodium caseinate; EG2, with 10% sodium caseinate; EG3, with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CPP-ACP); and EG4, with 0.05% NaF. Subsequently,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an artificial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60 min. The demineralized specimens were then immersed in a remineralization solution for 7 days. Surface microhardness was measured using a microhardness tester, and remineralized lesions were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garding statistical analysis, the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Although the surface hardness of the remineralized lesion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p<0.05), the average increm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CPP-ACP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at of 0.05% NaF and 10% sodium caseinate.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caseinate was similar to that of 0.05% NaF. SEM confirmed that all groups treated with the remineralization solution were remineralized. Conclusions: Although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caseinat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PP-ACP, it was similar to that of 0.05% NaF. Therefore, to enhance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caseinat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should be determined.

식품 포장재에 대한 가식성 필름의 응용성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Edible Films to Food System Packaging)

  • 천동호;박장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2
    • /
    • 1999
  • 본 실험은 라면 스프 포장재에 대한 가식성 필름의 응용성을 조사하였다. 기본 실험으로서는 라면 스프의 등온흡습곡선 및 BET 단분자막 수분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응용성 실험으로서는 가식성 필름의 인장강도, 신장률, 수분 투과도 및 용해도를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으로서는 methylcellulose, sodium caseinate 및 K-carrageenan을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는 glycerol과 polyethylene glycol (MW 400)을 사용하였다. 인장강도의 경우, methylcellulose 필름의 수치가 68.56 MPa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sodium caseinate 필름이 가장 낮은 수치인 7.11 MPa로 나타났다. 신장률에 대한 실험 결과, sodium caseinate 필름이 가장 높은 수치인 115.41 %를 나타냈으며, methylcellulose 및 K-carrageenan 필름은 각각 23.79% 및 0.60%로 나타났다. 상대습도 50% - 70%사이에서 methylcellulose와 sodium caseinate 및 K-carrageenan 필름의 측정된 수분 투과도 값의 범위는 각각 $0.25-0.38ng\;m/m^2{\cdot}sec{\cdot}Pa$$0.62-0.84ng{\cdot}m/m^2{\cdot}sec{\cdot}Pa$$0.31-0.55ng{\cdot}m/m^2{\cdot}sec{\cdot}Pa$로 나타났다. 가식성 필름의 용해도에 대해서는 sodium caseinate film의 경우 뜨거운 물에 대한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어 5초 이내에 이 필름은 물에 용해되었으며, K-carrageenan film은 높은 팽윤율을 나타내어 150초 이후에 필름의 붕괴 현상이 일어났다. Methylcellulose film의 경우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몇가지 천연 및 합성 고무질이 Sodium Caseinate의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Natural and Synthetic Gums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

  • 양승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43-752
    • /
    • 1993
  • To elucidate the effects of natural gums, i.e. carrageenan, locust bean gum and xanthan gum and synthetic gums, i.e. carboxymethyl cellulose(CMC) and methyl cellulose(MC)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 surface tension, absolute viscosity, turbidity, foaming ability, foam stability, and heat stability of the foams of the caseinate solutions with added gums were examined. The surface tension of sodium caseinate solution(5%) adding to gums at pH 4.0 and 5.0 were higher than those at pH 7.0 and 8.0. The viscosities of the solutions adding to gums(0.1, 0.2, 0.3 and 0.5%) ap pH 4.0, 5.0, 7.0 and 8.0 were 2.4~170.0, 2.5~190.0, 5.3~180.0 and 6.3~99.0 cps, respectively. Especially xanthan gums predominantly increased the viscosity. Turbidities were 97.3~98.2 at pH 4.0 and 5.0 and 93.0~95.8 at pH 7.0 and 8.0. Foaming abilities of the solution adding to xanthan gum, carrageenan and locust bean gum were increased, while those of CMC and MC were decreased. Additions of xantham gum, CMC and MC increased the foam stability, especially xanthan gum did predominantly. Xanthan gum, MC and locust bean gum were more effective than CMC and carrageenan for heat stability. For improving the foaming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 xanthan gum were best of five kinds of gums. Surface tensions and turbidities of the solution were related to foaming ability, and the viscosities were related to foam stability and heat stability.

  • PDF

가식성 필름 코팅에 따른 홍화씨 가공제품의 품질 변화 (Changes on the Quality of Safflower Seed Products Coated with Edible Films during Storage)

  • 김남우;주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2
    • /
    • 2005
  • 본 연구는 홍화씨 가공제품의 산패방지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가식성 필름을 코팅하여 저장 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 L 값과 적색도 a 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황색도 b 값은 감소하였다. 코팅한 홍화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의 증가보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산가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산가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증가를 보였으나 저장 30일째에 $25^{\circ}C$$50^{\circ}C$의 sodium caseinate와 k-carraggenan으로 코팅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 50\%$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는 두가지의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이 대조구에 비해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k-carrageenan으로 코팅한 홍화정이 sodium caseinate로 코팅한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유지 산패 측정의 주요 인자인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화정의 산패취를 방지하고 품질의 보존을 위한 방법으로 가식성 코팅제인 caseinate와 k-carrageenan 용제로 코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중성염의 종류 및 농도가 sodium caseinate의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ions and types of neutral salts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

  • 양승택;박형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34-439
    • /
    • 1993
  • 중성염이 단백질의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NaF, $Na_2SO_4$, NaCl, $NaNO_3$ 및 NaSCN 등 5종 중성염을 가지고 0.1, 0.5, 1.0, 1.5 및 2.0 M 농도별로 sodium caseinate(5%, w/v)에 작용시켜 이들 염류가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aSCN을 제외한 모든 염류들은 거품형성능 증진효과가 있었고, 거품형성능을 위한 염류의 최적농도는 $Na_2SO_4$, NaCl 및 NaSCN에서 각각 0.5, 1.5 및 1.0 M이었으며, NaF 및 $NaNO_3$에서는 각각 0.5 및 2.0 M 농도에서 거품형성능이 양호하였다. 거품안정성은 0.5 M $Na_2SO_4$의 경우 37.0분(대조구 4.0) 으로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0.5M NaF에서도 28.6분으로써 크게 증가하였으나, NaSCN의 경우는 역으로 모두 감소하였다. 거품안정성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0.5 M 농도의 경우, 거품안정성의 크기는 $Na_2SO_4$>NaF>$NaNO_3$>NaCl>NaSCN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음이온이 단백질의 염석효과를 나타내는 Hofmeister 계열순서와 거의 일치하였다. 본 실험의 중성염을 첨가하여 조제한 단백질 시료용액의 경우, 혼탁도, 표면장력 및 절대점도의 증감에 따른 거품성의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유청분말을 이용한 생고분자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Whey Powder-Based Biopolymer Films)

  • 조승용;박장우;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85-1294
    • /
    • 1998
  •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인 유청분말과 필름 matrix를 보조하는 sodium caseinate를 혼합 이용하여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필름용액의 최적 pH를 결정하였으며, 각기 다른 혼합비의 유청분말-sodium caseinate 혼합물로 제조한 생고분자필름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가소제의 영향을 조사하고, 유청분말의 혼합비율을 높게 하였을 때 나타나는 낮은 필름의 기계적 성질을 가교제를 첨가하여 개선함으로써 최대한 유청분말을 이용할 수 있는 혼합비율과 제조조건을 결정하였다. 필름제조 결과, 유청분말과 sodium caseinate의 혼합비율이 70 : 30까지 필름으로써의 기계적 기능을 부여했으며, 그 이상의 유청분말 함량에서는 유청분말 중의 높은 lactose의 함량에 기인한 끈적거리는 현상이 나타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실험을 할 수 없었다. pH에 따른 필름의 성상은 필름의 pH가 5.0이하이었을 때에는 필름용액이 겔화되어 유리판에 부을 수가 없었으며, pH 6.0과 7.0일 경우에는 필름용액 중 원료 단백질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입자가 존재하였다. 필름용액의 pH를 10.0으로 조절하였을 때 최대 인장강도(TS)와 최대 신장률(E)이 각각 15.2 MPa과 191.8%를 보여 가장 필름형성에 적합한 pH로 나타났다. 가소제로서 glycerol의 사용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소제로서 sorbitol을 필름원료 혼합물의 30%와 40%로 첨가하였을 때 제조된 필름의 최대 인장강도는 각각 10.8 MPa자 6.6 MPa로, 또한 최대 신장률은 각각 96.5%와 149.7%로 나타나 가장 필름형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름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가교제의 영향은 가소제로써 sorbitol 30%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odium citrate가, 가소제로써 sorbitol 40%를 사용하였을 때는 sodium chloride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름용액의 pH를 10.0으로 조절하고 가소제와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혼합원료 중 유청분말의 비율을 70%까지 사용하여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Transglutaminase를 처리한 분말 유제품의 특성 (Properties of Transglutaminase Treated Milk Product Powders)

  • 정지은;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45-3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카제인 나트륨, 유청 단백질, 탈지분유 및 전지분유에 TGase를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식품첨가물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카제인 나트륨의 경우 TGase효소 반응 후 pH 2, pH 4와 알칼리 범위에서, 유청 단백질은 pH 4에서 용해성이 향상되었고 탈지분유에서는 pH 4와 전지분유에서는 모든 pH 범위에서 용해성이 향상되었다. TGase를 첨가한 우유 단백질과 우유 분말 제품이 무첨가군에 비하여 pH 의존적으로 용해성, 유화활성 및 거품형성 등에 기능적 특성이 부분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Gase 첨가에 따라 일반성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인체내 소화효소에 의해 가수분해가 용이하였고 점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TGase를 첨가한 제품은 이화학적, pH 및 반응시간 등의 특징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식품에 응용할 경우 기능성들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Comparison of Emulsion-stabilizing Property between Sodium Caseinate and Whey Protein Concentrate: Susceptibility to Changes in Protein Concentration and pH

  • Surh, Jeong-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10-617
    • /
    • 2009
  • The stability of corn oil-in-water emulsions coated by milk proteins, sodium caseinate (CAS), or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was compared under the environmental stress of pH change. Emulsions were prepared at 0.1 of protein:oil because the majority of droplets were relatively small ($d_{32}=0.34$ and $0.35\;{\mu}m$, $d_{43}=0.65$ and $0.37\;{\mu}m$ for CAS- and WPC-emulsions,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depletion flocculation. As the pH of the emulsions was gradually dropped from 7 to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lectrical charges of the emulsion droplets between the 2 types of emulsions. However, laser diffraction measurements, microscopy measurements, and creaming stability test indicated that WPC-emulsions were more stable to droplet aggregation than CAS-emulsions under the same circumstance of pH change. It implies that factors other than electrostatic repulsion should contribute to the different magnitude of response to pH change.

탈유당 탈지분유를 이용한 모방치즈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ural Characteristics of Imitation Proceessed Cheese Formulated by Delactosed Nonfat Dry Milk)

  • Song, Jae-Chul;Park, Hyun-Jeong;Shin, Wan-Chul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71-576
    • /
    • 1990
  • 본 연구는 카제인 원료 대체를 위해 탈유당 탈지분유를 모방치즈에 사용하였을 때 야기되는 조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카제인 원료 대신 탈유당 탈지분유를 일부 대체 사용한 결과 fracturability, elasticity, gumminess성질은 향상하였으나 hardness와 cohesiveness 성 은 감소하였다. 비슷한 결과로 calcium caseinate와 sodium caseinate를 원료로 모방치즈를 만들었을 때 탈유당 탈지분유를 사용한 모방치즈와 비슷한 조직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탈유당 탈지분유를 카제인 원료대신 일부 모방 치즈에 대체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농도, 열처리 및 pH가 Caseinate의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ein Concentration, Heat Treatment and pH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Caseinate)

  • 양승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59-265
    • /
    • 1994
  • Sodium caseinate의 농도, 가열온도 및 pH가 거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를 1.0, 3.0, 5.0, 7.0, 및 10.0%로, 열처리온도를 $55^{\circ}C$$65^{\circ}C$로, 그리고 pH를 6.0, 7.0 및 8.0으로 각각 조절하여 표면장력, 겉보기점도, 혼탁도, 거품형성능 및 거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표면장력은 농도, 열처리온도 및 pH에 따라 전체적으로 $0.0455{\sim}0.0496\;Nm^{-1}$로써 큰 변화가 없었고 겉보기점도는 농도 및 가열온도에 따라 pH 6.0, 7.0 및 8.0에서 각각 $0.0019{\sim}0.1050$, $0.0021{\sim}0.0440$$0.0022{\sim}0.0490Pa{\cdot}s$이었으며 혼탁도는 pH 6.0, 7.0 및 8.0에서 각각 $70.3{\sim}97.4$, $44.4{\sim}94.8$$36.6{\sim}93.9$이었다. 전 pH 영역을 통하여 가열온도에 따른 거품형성능의 증감은 있었으나 어떤 규칙적인 변화는 없었고 pH 6.0에서가 7.0 및 8.0 영역에서보다 거품형성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거품형성능을 위한 적당한 단백질 농도는 $3.0{\sim}7.0%$이었다. 거품안정성은 전체적으로 10.0% 농도구에서, pH는 6.0 영역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pH 6.0 및 7.0에서는 가열처리구가 대조구보다 거품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pH 8.0의 10.0% 농도구의 경우는 모두 가열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안정성이 증가하였다(p<0.05). 표면장력, 겉보기점도 및 혼탁도의 증감에 따른 거품성의 규칙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