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alginate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8초

다시마 alginate와 bile acids의 결합능에 미치는 추출조건의 영향 (Effect Extraction Conditions on Bile acids Binding Capacity in vitro of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Laminaria spp.))

  • 유병진;임영선;정인학;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8
    • /
    • 1997
  • 추출조건에 따른 다시마 alginate의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용매인 $Na_{2}CO_{3}$의 농도를 1, 3, 및 $5\%$로 각각 조절하고 추출시간을 각각 1, 3, 5 및 10시간으로 하였을때 각 추출조건에서 추출된 alginate의 bile acids 결합능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다시마를 미세하게 마쇄할수록, $Na_{2}CO_{3}$ 농도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alginate 추출량은 증가하였다. alginate의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저 농도의 $Na_{2}CO_{3}$ 용액으로 단시간에 추출한 것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alginate에 의한 bile acids 결합능은 cholic aci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aurocholic acid, glycocholic acid, deoxycholic acid 순으로 조사되었다. 다시마로 부터 alginate를 추출하고 남은 잔사(RAEA)의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alginate의 경우와 같이 추출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ile acids와의 결합능은 cholic acid, taurocholic acid의 경우 alginate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고, glycocholic acid의 경우 alginate와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deoxycholic acid와의 결합능은 추출된 alginate보다도 오히려 높은 값을 보였다. 추출된 alginate의 점도와 중합도는 추출용액의 농도가 증가하고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에 비례하여 bile acid와의 결합능도 감소하였다.

  • PDF

식이 섬유소가 어류단백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Fish Protein)

  • Ryu, Hong-Soo;Park, Nam-Eun;Lee, Ka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1992
  • 단백소화율에 미치는 식이 섬유소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채소류(상치, 깻잎, 고추. 다시마)로부터 추출한 식이 섬유소와 시판용 정제 식이 섬유소 (cellulose, pectin, sodium alginate, gum karaya)를 어류 단백질인 말쥐치 단백질(냉동건조육 및 myofibrils)에 첨가 반응시켜, 단백질 의 소화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시료의 중성세제 추출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함량은 24.21%(고추) 9.75%(다시마)의 범위였고, 산성세제 추출섬유소 (acid detergent fiber) 함량은 20.85%(고추) 11.97%(깻잎)의 범위였으며, 수용성 섬유소 함량은 13.79%(다시마) 4.41%(상치)의 범위였다. 말쥐치 단백질에 대한 식이 섬유소의 반응 비율을 1 : 1 (wt/wt)로 하고, 37$^{\circ}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때. 말쥐치 단백소화율은 정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1.52%(cellulose) 9.97%(pectin)가 감소되었고. 추출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5.15%(고추) 12.36%(다시마)가 감소되었다. 섬유소의 trypsin 활성저해능은 단백소화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여, ANRC casein에 대한 soybean trypsin inhibitor 22mg/g (cellulose) 61.82mg/g(gum karaya), 49.75mg/g(고추) 171.52mg/g(상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 식이 섬유소에 의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변화는 sodium alginate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 어류 단백소화율의 저하는 식이 섬유소가 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비소화성 물질을 형성한 결과가 주도하리라 생각되었다. 말쥐치 단백질과 섬유소를 반응시킨 것을 효소 가수분해시킨 후에 측정한 유리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sodium alginate와 다시마 섬유소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며(75% 이상), isoleucine과 valine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Hysrocolloid류가 돈육 Patty의 이화학적.조직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Seneory properties of Pork Patties)

  • 박충근;송형익;남주현;정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6-591
    • /
    • 2000
  • 본 연구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첨가가 저지방 육제품에 품질에 미치는 영 향을 검토하였다. 생육, 가열육 및 배가열육 patty의 수분함량은 대구조가 낮은 반면 지방함 량은 높았다. 생육 및 재가육의 면도(L값)는 sodium alginate 첨가구가 다른 patty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황색도(b값)는 대조구가 현저하게 낮았다. 가열육 patty의 수율 및 최종수 율은 친수성 콜로이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가열육 patty의 지방 보유율 은 대조구가 91.3%로서 친수성 콜로이드 첨가구보다 낮았으며, 재가열육patty의 자방 보유 율은 모든 patty가 89.7~93.1%사이였다. 가열육 및 재가열육 patty의 경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현저히 낮았으며, 저작성은 대조구, CMC, sodium alginate 및 xanthan gum 순으 로 높았다. 보수력의 경우 친수성 콜로이드를 첨가한 가열육 및 재가열육 patty가 대구조보 다 현저하게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patty들 사이에 현저 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습성은 xanthan gum, sodium alginate, CMC 및 대조구 순으로 우수 하였다. 전체적인 결과 지방율 20%첨가한 대조구보다 지방 10% 및 물 10%에 친수성 콜로 이드를 각각 1%씩 물 10%에 친수선 콜로이드를 각각 1%씩 첨가한 patty가 조직적.관능 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 PDF

Iron succinyl casein encapsulated alginate beads for the treatment of iron deficiency anemia

  • Ko, Hye-Ran;Oungbho Kwunchit;Park, Jeong-Sook;Kim, Chong-K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47.1-247.1
    • /
    • 2003
  • Iron deficiency is the most common nutritional problem worldwide. Oral iron supplementation programs have failed because of noncompliance and gastrointestinal tox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ginate gel bead as an oral controlled release system of iron supplements and increase the stability of iron succinyl casein (ISC). Alginate beads containing ISC were prepared by the gelation of sodium alginate with calcium cations. The release profiles of ISC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olymer, the drug/sodium alginate ratio, the concentration and type of cation, curing time and pH of calcium chloride solution. (omitted)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Sodium Alginate Membranes for the Dehydration of Organic Solvents

  • Goo, Hyung Seo;Kim, In Ho;Rhim, Ji Won;Golemme, Giovanni;Muzzalupo, Rita;Drioli, Enrico;Nam, SangYong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6권1호
    • /
    • pp.55-60
    • /
    • 2004
  •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interest in membrane technology has been observed in chemical and environmental industry. Membrane technology has advantages of low cost,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clean technology comparing to conventional separation processes. Pervaporation is one of new advanced membrane technology applied for separation of azeotropic mixtures, aqueous organic mixtures, organic solvent and petrochemical mixtures. Sodium alginate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for the enhancement of long-term stability of pervaporation performance of water-ethanol mixture using pervaporation. Sodium alginate membranes were crosslinked with CaCl$_2$ and coated with polyelectrolyte chitosan to protect washing out of calcium ions from the polymer. The surface structures of PAN and hydrolysed PAN membrane were confirmed by ATR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Jeol 6340F) operated at 15 kV. Concentration profiles for Ca in the membrane surface and membrane cross-section were taken by an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alyser (Jeol) attached to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eol 6340F). Pervaporation experiments were done with several operation run times to investigate long-term stability of the membranes.

Bifidobacterium의 생존력 증대를 위한 세포포집기술개발 (Development of Cell Entrapment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Bifidobacterium Viability)

  • 박희경;배기성;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89-395
    • /
    • 1999
  • Bifidobcterium spp. can provide human being with several beneficial physiological. Therefor,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nterest in products Bifidobcterium spp. dietary supplements or as starter cultures for probiotic products that may assint in the improvement of health on the human. But indusrial applications have been limited because Bifidobcterium spp. are sensitive to acidic pH due to organic acid produced by themselves and various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new method for improvement of Bifidobcterium viability by entrapment im calcium alginate beads. We have a plan to select the most suitable polymer through the comparison with acid tolerance oxygen tolerance and theological properties of polymer. Increase of the viable number of Bifidobcterium induced increasing acid tolerance and oxygen tolernce trough the development of entrapment technique. The 4%, 3030mm diameter) sodium alginate beads led to the best survivability under acid condition. Especially, addition of 6% mannitol, 6% glycerol or 6% sorbitol to the sodium alginate helped a beneficial effect on viability against acid, bile salt, hydrogen peroxide and cold strage. The number of viability of entrapeede cells by retreatment was 96 fold higher than non-entrapeed cells after 5 hours of storage under pH 3 acidic condition. These experimental data clearly demonstrate that a whole cell immobilization by entrapment in calcium alginate beads is an important survival mechanism enable to withstand environmental stresses as the acidic condition, hydrogen peroxide toxicity and frozen state.

  • PDF

Calcium Alginate Gels을 이용한 Cooked Rice Analog의 제조에 대한 물리화학적 인자의 영향 (Effects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Production of Cooked Rice Analogs by Calcium Alginate Gels)

  • 노혜진;조은희;김홍덕;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0-25
    • /
    • 2016
  • This study elucidated the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the production of cooked rice analogs using calcium alginate gels. Cooked rice analogs were prepared using various sodium alginate concentrations, agitation speeds, dropping distances, coating times, curing times and heating times. The diameter ratio and rupture strength of authentic cooked rice were 0.38 and 268.4 kPa, respectively. The diameter ratio of the analogs prepared with 0.7% (w/v) sodium alginate was 0.39, which was the closest to that of authentic cooked rice. When sodium alginate solution (0.7%, w/v) was dropped into calcium chloride solution (2%, w/v) via a nozzle, the diameter ratio of the analogs at an agitation speed of 520 rpm was 0.39. The optimal dropping distance was 8 cm and the optimal coating and curing times were each 20 min. The analogs were coated with β-cyclodextrin to improve their physical properties. The diameter ratio of the coated analogs was little changed; however, the rupture strength decreased slightly after heating for 60 min at 95°C.

Sodium Alginate, Gum Karaya 및 Gum Arabic이 Sodium Caseinate의 거품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dium Alginate, Gum Karaya, and Gum Arabic on the Foaming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

  • 양승택;김미숙;박춘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9-117
    • /
    • 1993
  • 친수성 콜로이드를 식품에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sodium alginate, gum karaya 및 gum arabic 등 3종의 고무질을 sodium caseinate에 첨가하였을 때 이들이 거품성에 비피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표면장력은 pH 7.0(대조구, 43.9 dyne/cm)에서 고무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43.7{\sim}44.7\;dyne/cm$이었으며 pH 8.0(대조구, 42.7 dyne/cm)에서는 $43.6{\sim}44.0\;dyne/cm$이었다. 비점도는 sodium alginate 첨가시 pH 7.0에서 0.2 및 0.3% 첨가하였을 때 각각 15.6 및 39.1로써 대조구(2.8)에서 보다 크게 증가하였으며 pH 8.0에서도 12.1 및 8.2로써 대조구(2.6)에서 보다 증가하였다. Gum karaya 첨가시는 pH 7.0에서 0.1, 0.2 및 0.3% 첨가농도에 따라 $3.3{\sim}10.7$로써 대조구(2.6)에서 보다 증가하였으며 pH 8.0에서도 농도에 따라 $3.4{\sim}4.4$로써 다소 증가하였다. 혼탁도는 pH 7.0(대조구, 69.0)에서 고무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69.5{\sim}74.0$, pH 8.0(대조구, 67.0)에서 $68.0{\sim}72.5$이었다. 거품형성능은 전체적으로 고무질 첨가구가 대조구에서 보다 떨어졌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pH 8.0에서 보다 pH 7.0에서가 다소 양호하였다. 거품형성을 위한 고무질의 첨가농도 및 whipping 시간을 보면, 전체적으로 보아 sodium alginate의 경우 0.1% 및 15분, gum karaya는 0.2% 및 20분, 그리고 gum arabic은 0.1% 및 10분이 비교적 양호한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거품안정성은 pH 7.0에서 sodium alginate 및 gum karaya가 0.3%, pH 8.0에서는 0.2%가 적절한 첨가농도이었으며 pH 8.0보다 pH 7.0에서가 더 양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표면장력, 점도 및 혼탁도의 증감에 따른 거품형성능 및 안정성의 뚜렷한 증감은 보이지 않았으나, 동일 pH 영역에서는 표면장력과 혼탁도가 낮으면 거품형성능이 높아지고, 점도가 높으면 거품안정성이 증진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심바스타틴 자가유화약물전달시스템의 마이크로캡슐화를 통한 고형제제의 개발 (Preparation of Solid Dosage Form containing SMEDDS of Simvastatin by Microencapsulation)

  • 강복기;윤복영;서광수;정상영;길희주;강길선;이해방;조선행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2호
    • /
    • pp.121-12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olidify the simvastatin 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 and to improve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solidified alginate beads using sodium alginate. Typical simvastatin SMEDDS was composed of various oils, surfactants and cosurfactants. Also solidified-alginate beads was prepared by crosslinking liquid emulsion mixtures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other excipients (cetylpyridinum chloride (CP-Cl),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tarch and so on). in $CaCl_2$ solution,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the drug release pattern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were varied with the ratio of cationic lipid (CP-Cl). Solidified sodium alginate beads containing simvastatin SMEDDS were redispersed into media without re-aggregation. Oil droplet size of redispersed solidified-beads in media produced smaller than the initial size. The density of beads and drug loading amou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tionic lipid content. These systems have advantages of storag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drug release rate.

알긴산나트륨/PEO, 알긴산나트륨/PVA 나노섬유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dium Alginate/PEO and Sodium Alginate/PVA Nanofiber)

  • 박고은;박수아;김근형;김완두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06-212
    • /
    • 2008
  • 알긴산은 $\alpha$-($1{\rightarrow}4$)-L-guluronic acid(G)와 $\beta$-($1{\rightarrow}4$)-D-mannuronic acid(M)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체친화성, 무독성, 생분해성, 친수성 및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인해 창상피복재나 조직공학용 지지체 및 약물운반체 등 생의학적 분야에 널리 이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알긴산 자체는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수용성인 알긴산나트륨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수용액은 매우 점도와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전기방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기방사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oxide)(FEO)와 poly(vinyl alcohol)(PVA)을 혼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재료인 알긴산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수용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섬유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나노섬유는 SEM 분석 및 평균 직경 분석, XRD 분석 등을 통하여 최적 조건을 수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