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778건 처리시간 0.051초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효과 증진을 위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 (Effects of the addition of Hizikia fusiforme, Capsosiphon fulvescen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on antioxidant and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enzymes related to type 2 diabetes of vegetable extract)

  • 통타오;장성매;고두옥;김보석;정광진;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0-467
    • /
    • 2014
  •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 ${\alpha}$-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 ${\alpha}$-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천연 염지제을 이용한 훈제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using natural curing agent)

  • 박연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5-653
    • /
    • 2016
  • 본 연구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의 품질 특성을 일반훈제오리와 비교하여 합성 염지제를 천연물로 대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으로 더 적합한 훈제오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잔류량, 저장기간 동안 훈제오리의 pH, 미생물량 및 색도변화, 관능평가, 항산화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에서는 아질산나트륨, 산화방지제, 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의 합성첨가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 동안 두 군 모두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발생하지 않았다. 훈제오리의 명도와 황색도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 동안 두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전 기간 동안 일반 훈제오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훈제오리에 대한 기호도 평가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관, 색, 맛, 후미, 질감, 전체적인 품질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맛이나, 질감, 전체적인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저장 기간 내내 유의적으로 천연훈제오리의 평가가 더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천연훈제오리가 일반훈제오리보다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배당침액, 셀러리파우더, 비타민 C를 포함한 천연염지제는 일반훈제오리 염지제를 대신할 수 있으며, 천연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는 식품첨가물이나 미생물 등이 검출되지 않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일반 소비자가 더 믿고 찾을 수 있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건강식품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 고추장의 C57BL/6 마우스에서 대장염 예방 증진효과 (Improvement of colitis preventive effects of Gochujang by addi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on C57BL/6 mice)

  • 박의성;허주희;임양이;주재현;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8-1194
    • /
    • 2017
  •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게 잡곡(보리, 수수, 기장)과 죽염, 종균(AB, ABL)을 접종한 메주로 만든 고추장을 섭취시켰다. MG-AB와 MG-ABL을 섭취한 마우스는 control에 비교해 대장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무게/길이비율은 감소시켜 대장염의 염증반응을 억제시켰다. MG-ABL은 혈청에서 IL-6의 발현을 control과 MG-A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apoptosis 관련 인자인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MG-ABL은 발효 시 첨가된 Lab. plantarum로 인해 대장조직의 손상을 억제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apoptosis 관련 인자를 조절하여 대장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염료로서 복숭아나무 전정가지의 이용성 (Utilization of Pruning Branch of Peach Tree as a Natural Dyeing Material)

  • 박윤점;박용서;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2
    • /
    • 2005
  •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포에 비해 색차(${\Delta}$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ntiplatelet Activity of [5-(2-Methoxy-5-chlorophenyl)furan-2-ylcarbonyl]guanidine (KR-32570), a Novel Sodium/hydrogen Exchanger-1 and Its Mechanism of Action

  • Lee Kyung-Sup;Park Jung-Woo;Jin Yong-Ri;Jung In-Sang;Cho Mi-Ra;Yi Kyu-Yang;Yoo Sung-Eun;Chung Hun-Jong;Yun Yeo-Pyo;Park Tae-Kyu;Shin Hwa-Sup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375-383
    • /
    • 2006
  • The anti platelet effects of a novel guanidine derivative, KR-32570 ([5-(2-methoxy-5-chlorophenyl) furan-2-ylcarbonyl]guanidine), were investigated with an emphasis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its inhibition of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KR-3257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ggregation of washed rabbit platelets induced by collagen $(10{\mu}g/mL)$, thrombin (0.05 U/mL), arachidonic acid $(100{\mu}M)$, a thromboxane (TX) $A_2$ mimetic agent U46619 (9,11-dideoxy-9,11-methanoepoxy-prostaglandin $F_2,\;1{\mu}M$) and a $Ca^{2+}$ ATPase inhibitor thapsigargin $(0.5{\mu}M)$ ($IC_{50}$ values: $13.8{\pm}1.8,\;26.3{\pm}1.2,\;8.5{\pm}0.9,\;4.3{\pm}1.7\;and\;49.8{\pm}1.4{\mu}M$, respectively). KR-32570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liberation of $[^3H]$arachidonic acid from the platele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complete inhibition being observed at $50{\mu}M$. The $TXA_2$ synthase assay showed that KR-32570 also inhibited the conversion of the substrate $PGH_2$ to $TXB_2$ at all concentrations. Furthermore, KR-3257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a^{2+}]_i$ mobilization induced by collagen at $50{\mu}M$, which is the concentration that completely inhibits platelet aggregation. KR-32570 also decreased the level of collagen $(10{\mu}g/mL)$induced secretion of serotonin from the dense-granule contents of platelets, and inhibited the NHE-1-mediated rabbit platelet swelling induced by intracellular acidif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platelet activity of KR-32570 against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s mediated mainly by inhibiting the release of arachidonic acid, $TXA_2$ synthase, the mobilization of cytosolic $Ca^{2+}$ and NHE-1.

Are Vitamin Beverages Good for Dental Health?

  • Kang, A-Reum;Park, Su-Hee;Woo, Jung-Woong;Hong, Da-Jung;Kim, Kyu-Ri;Sung, Chi-Yeong;Woo, Ji-Yeon;Jeong, Ju-Hui;Jung, Eun-Ha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5
    • /
    • 2020
  • Background: Although the consumption of vitamin beverages has increased because of the recent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guidelines addressing appropriate consumption habits are lacking.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rosive potential of several vitamin beverages and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intake of these drinks. Methods: Five vitamin beverages were selected after a pre-investigation of the current beverage market. Coca-Cola and mineral water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beverages. The pH of the beverages was measured with a calibrated pH meter, and the titratable acidity (TA) was determined by using 1 M sodium hydroxide to reach pH 5.5 (TA5.5) and 7.0 (TA7.0). The screening method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was used to measure pH variation (ΔpH) by using an under-saturated hydroxyapatite solutio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pH of the screening solution.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riplicate. Results: All vitamin beverages tested in this study exhibited a low pH (2.53~2.99), similar to Coca-Cola, which is known to be a highly acidic beverage. The highest TA5.5 and TA7.0 values of the vitamin beverages were 7.03 ml and 8.81 ml, respectively. The largest change in pH determined by using the screening solution was found in Bacchus D (ΔpH 1.44±0.05). The mean ΔpH of the vitamin beverages was 1.12±0.29,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ca-Cola (positive control, ΔpH 0.58±0.05). Conclusion: Vitamin beverages exhibited an erosive potential capable of damaging enamel surfaces. Therefore, the frequency of vitamin beverage intake should be limited, and individuals consuming these drinks should try to restore normal oral pH as quickly as possible.

천연 생약 복합 추출물이 Streu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인슐린, 혈청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 Extract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형래;조정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1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atural medicinal multi-plants extract (BG515), which consisted of multi extracts of Mori foliu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Dioscorea japonica,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radix, on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serum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 (STZ) induces a type 1 diabetes mellitus in rats. Type 1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islet cell autoantibodies (ICA), autoantibodies to insulin (IAA), and autoantiboid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which identify the autoimmune process that leads to $\beta-cell$ destruction. Thirty-five male Sprague-Dawley (SD) rats weighing $150\sim170g$ each (6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 and 4 STZ-induced diabetic groups, and were subj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 for 12 weeks. Groups A and B were fed basal diets and Group C, D, and E received the same diets as groups A and B, but with supplements of 150 mg/kg, 300 mg/kg, and 600 mg/kg of BG515 orally for 12 weeks, respectively. Diabetes was induced in Groups B, C, D, and E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mg/kg of STZ per body weight in sodium citrate buffer (pH 4.5) via the tail vein. In the BG515 groups, we found increases in serum insulin level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but these data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ast, blood glucose and serum MDA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e BG515 groups compare to the STZ-control group. At the 5th week, in all the BG515 administered groups, there were decreases in serum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STZ- control group, and this activity was very strong in the BG515-1 group at the 12th week.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bio-complex compounds (BG515) may slightly suppress STZ-induced changes in serum MDA concentration via the maintenance of serum insulin levels, due to the prevention of $\beta-cell$ and glucagon destruction by STZ.

  • PDF

고창 구시포 해안 곰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 박종민;김성원;박성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5-375
    • /
    • 2009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구시포해수욕장 주변에 위치한 곰솔 방풍림을 대상으로 곰솔림의 생장특성을 조사 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곰솔림의 토양은 모래의 함량이 많은 사토이고, 약산성(pH 5.73)이며, 토양염분농도는 1.42dS/m이다. 곰솔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형상비(수고/흉고직경)는 저밀도 임분, 중밀도 임분, 고밀도 임분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절간생장량은 고밀도 임분일수록 많았다. 특히 저밀도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관폭이 크고, 형상비 60 이하인 수목의 비율이 많았다. 이것은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수목이 건전하게 생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많은 수목이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져 생육하고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수목이 생장 초기 단계에 바람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일부는 태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목의 기울기 방향의 분포율이 이 지역의 주풍방향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모래언덕과 곰솔림 내부에는 총 81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목본식물(24분류군)보다 초본류(57분류군)가 더 많았다. 사구식물의 경우 모래언덕이 잘 발달해 있는 명사십리 구역에는 10종류가 출현하였는데, 방파제 축조로 인해 모래언덕이 형성되지 않은 구시포해수욕장 구역은 3종의 사구식물만이 간헐적으로 출현하였다. 이 지역의 곰솔림이 건전하게 성장하고 유지되어 해안방풍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와 중밀도 임분에 대한 적정한 간벌이 필요한 상태이다.

저전력형 LED 보안등의 PWM형 구동제어 특성 개선 (Improvement of PWM Driving Control Characteristics for Low Power LED Security Light)

  • 박형준;김낙철;김인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68-3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20[V] 상용전원을 대체한 태양전지 모듈을 응용하고 등 기구는 할로겐 등이나 나트륨 등을 대체한 LED 조명을 이용한 저전력형 LED 보안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LED 구동제어기의 발열문제와 구동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PWM형 구동제어회로를 설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에서, 광 효율에 대한 측정값은 93.6 [lm/W] 이고, LED 램프의 발열 제어를 위하여 제어기 내부에 고 정밀 온도센서(TC1047A)를 사용하였다. LED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금속 삽입형 방열 장치를 통하여 대기 속으로 신속하게 다중분산 시키도록 설계하였다. LED 조명등의 발열제어 온도 범위는 $50{\sim}55[^{\circ}C]$였다. LED 보안등의 광속 및 점등 속도는 0.5[sec] 이고 LED 램프의 빔 확산 각도는 높이 6[m]를 기준으로 하는 배광곡선에 의해 약 $110[^{\circ}]$의 빔 각도를 얻었다.

초등학생 학부모의 고혈압 관련 지식에 관한 조사 (Survey of Knowledge on Hypertension among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진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1호
    • /
    • pp.29-38
    • /
    • 2005
  • 전북지역의 김제시의 2개 초등학교 4-6학년 학부모 434명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 20일부터 2003년 11월 30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혈압 관련 지식의 정답률은 77.4%-94.5%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고혈압에 대한 혈압수치의 정답률이 77.4%로서 제일 낮았다. 그러나 비만인 사람이 고혈압에 더 걸리기 쉽다는 응답의 정답률이 94.5%로서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 둘째, 혈압측정을 실천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 측정율이 53.7%인 반면 어머니의 측정율은 54.8%로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한 학부모들의 자기혈압을 알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알고 있다는 인지율이 아버지는 84.1%, 어머니는 91.1%로서 비교적 잘 알고 있었으며 이들이 작성한 자기 혈압 수치를 혈압 분류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아버지들의 고혈압 전단계(120-139mmHg/80-89mmHg) 비율이 12.2% 및 고혈압(140/90mmHg)이 28.6%로 나타났다, 반면 어미니들의 고혈압 전 단계 비율이 7.7% 및 18.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지역 사회 대상 접근 방법이 기존의 보건의료기관에서 내소자를 중심으로 개인 대상 접근 방법보다 더 중요함을 시사하므로 적극적인 홍보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이 갖고 있는 고혈압관련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데 이러한 지식을 생활하면서 실천 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고혈압 예방 및 관리에서 학교라는 지역 사회시설과 감수성이 높고 교육효과가 크다고 증명된 초등학생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등학교에 고혈압 예방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