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778건 처리시간 0.046초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Semi-Dried Oyster)

  • 김혜숙;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75-1483
    • /
    • 2006
  • 현재 남해안 일대에서 과량 생산되고 있는 양식산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영양과 건강 기능성을 함유하면서 신세대의 기호에 맞는 굴 조미 건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저장성 있는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제조를 위하여 동결 굴을 해동한 다음 굴 특유의 비린내를 차폐하기 위하여 무즙($5{\pm}3^{\circ}C$, 2시간)에 침지, 수세 및 탈수하고 5분동안 증자하였다. 이어서 탈수(10분) 및 가열$(105^{\circ}C)$한 다음 조미액(간장 33.6, 밀가루 7.2, 물 40.5, 솔비톨 8.8, 미림 9.9)에서 5분 동안 침지한 후 열풍건조기($45^{\circ}C$, 6시간)에서 건조처리 하였다. 그리고 1% sodium alginate 용액에 침지, 건조($45^{\circ}C$, 1시간)한 다음 레토르트 파우치 필름에 충전, 밀봉한 후 저장성 부여를 위하여 $F_0$ value가 5.4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코팅 및 조미처리 굴 가공품은 대조 제품(무코팅 및 무조미 건조 굴 가공품)에 비하여 수분 및 조회분이 약간 높았고,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낮았으며, 색조는 어두우면서 경도는 높았다. 코팅 처리 조미 반건조 굴제품은 또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으면서 곡류 제한 아미노산인 lysine과 n-3계 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능이 [Sarcodon aspratus (Berk.) S. Ito]중 단백질(蛋白質) 가수분해(加水分解) 효소(酵素)의 정제(精製) 및 성질(性質)에 관하여 (Purific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roteolytic Enzyme in Fruitbody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 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6-285
    • /
    • 1986
  • 능이 [Sarcodon aspratus (Berk.) S. Ito]로부터 단백질가수분해(蛋白質加水分解) 효소(酵素)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Tri-acryl CM-cellulose, Ultrogel AcA 54, Hydroxy apatite column chromatography와 preparative isoelectric focusing 방법으로 순차 정제되었고, 정제된 효소는 PAGE상에서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며 활성(活性)은 62.5O.D/mg.protein으로 조효소(粗酵素)보다 8.01배 증가하였다.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10.1로 alkaline protease였으며 작용최적(作用最適) 온도(溫度)는 $57^{\circ}C$부근이었다. $50^{\circ}C$ 이하의 온도(溫度)와 pH $4.0{\sim}10.8$ 범위에서 안정(安定)하였으나, $60^{\circ}C$에서 30분후 26%, $65^{\circ}C$에서는 65%가 실활(失活)되었다. $Mn^{++}$은 효소의 활성(活性)을 증가시켰으나 $Hg^{++}$$Cu^{++}$는 현저히 저해시켰다. SDS-PAGE에 의해 분자량(分子量)은 30,100으로 측정되었고, monomer임이 확인되었다. 등전점(等電点)은 9.80이었다.

  • PDF

고품질 금속 이온 첨가 MCM-41 분자체 촉매의 제법, 특성화 및 응용 반응 (Synthesis, Characterizations, and Applications of Metal-Ions Incorporated High Quality MCM-41 Catalysts)

  • 임상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43-454
    • /
    • 2013
  • 콜로이드 실리카와 가용성 실리카를 이용하여 나트륨이 첨가되지 않은 다양한 금속이온 첨가 MCM-41 촉매를 제조하였다. 전이금속 이온인 $V^{5+}$, $Co^{2+}$$Ni^{2+}$이 MCM-41에 첨가되었을 경우 기공벽 내의 실리콘 이온과 등방치환을 하여 실리카 기공벽 내에서 독립된 단일 활성점을 형성하여 우수한 환원 및 활성 내구성을 보였다. 수소 승온 환원법을 이용하여 Co-MCM-41 촉매의 기공 곡률 반경효과에 대해 검토해 본 결과, 적절한 환원 처리와 기공 크기 및 pH 조절에 따라 코발트 금속입자의 크기를 1nm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었으며, 이 미세 금속 입자들은 표면 금속이온들과의 결합으로 인해 상당한 고온 안정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완전 환원 후에도 비정형 실리카의 부분 덮힘으로 인해 금속 입자들의 표면 이동 및 뭉침 현상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들 촉매의 반응 예로 금속 입자 크기에 민감한 단일층 탄소 나노튜브의 합성을 Co-MCM-41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금속 입자의 안정성 시험반응으로 Co 및 Ni-MCM-41을 이용한 CO 메탄화 반응, V-MCM-41을 이용한 메탄올 및 메탄의 부분 산화반응 및 기공곡률 반경이 촉매활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중금속(重金屬) 오염토양(汚染土壤)의 구산(枸酸) 침출(浸出)에 대한 pH의 영향(影響) (The Effect of pH on Citric Acid Leaching of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 정경배;박홍기;류경근;박제현;최의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5호
    • /
    • pp.13-19
    • /
    • 2013
  • 구리, 아연 및 납 등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사격장 토양으로부터 중금속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구연산용액을 이용하여 중금속 침출거동에 대한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연산 침출실험은 구연산과 구연산나트륨을 혼합하여 pH를 조절한 용액을 이용하여 시료입도 $75{\mu}m$이하, 반응온도 $50^{\circ}C$, 구연산 농도 1 몰, 광액농도 5%, 교반속도 100 rpm, 그리고 침출시간 1 시간의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침출반응 전후의 pH 변화는 미미하여 침출에 미치는 수소이온농도의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리, 아연, 납의 제거율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열역학적인 계산결과, 이와 같은 침출거동은 중금속 이온이 구연산염 이온종과 착이온을 형성하는 반응과 중금속이온이 수산화이온과 결합하여 수산화물로 침전하는 반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OT 역미셀을 이용한 $\alpha$-chymotrypsin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pH와 염의 영향 (A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alpha$-Chymotrypsin Using AOT Reverse Micelles; Effects of pH and salts)

  • 노선균;강춘형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64-669
    • /
    • 2000
  • 미셀 집합체들이 수용액에 존재하는 혼합물로부터 아미노산, 단백질, 그리고 효소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의 선돼적인 추출에 유용하게 샤용될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 구에서는 가용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AOT와 iso-octane의 유기상에서의 $\alpha$-chymotrypsin 가 용화에 대하여 pH의 영향, 염의 종류와 염의 농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NaCI과 KCI에 대하여서는 pH=5.0에서 최대 효 율을 나타내며, $MgCl_2$$CaCl_2$ 에 대해서는 pH=7.0에서 최대 효율을 나타내었는데 이와 같은 조건은 모두 $\alpha$-chymo$\sigma$ypsin 의 둥전점 이하 영역이다. 낮은 pH에서는 계변에 단백질이 광범위하게 침전되거나 엉킴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유기상 에서의 단백질 농도를 직접 측정하여 실험오차를 줄였다. 미 셀의 water po이 크기는 물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몰 비(Wo) 를 측정하여 추산하였다 .. 1: 1염인 NaCI과 KCI에 대하여 w。 값은 각각 30과 19로 거의 일정하고 $MgCl_2$$CaCl_2$ 의 1:2염 에 대하여서는 1: 1염의 Wo값보다 훨씬 작은 5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arge Single Crystal of Fully K+-exchanged Zeolite X (FAU), |K80|[Si112Al80O384]-FAU (Si/Al=1.41)

  • Lim, Woo-Taik;Jeong, Gyo-Cheol;Park, Chang-Kun;Park, Jong-Sam;Kim, Young-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41-48
    • /
    • 2007
  • Large colorless single crystals of sodium zeolite X, stoichiometry |Na80 |[Si112Al80O384]-FAU, with diameters up to 200 μm and Si/Al = 1.41 have been synthesized from gels with the composition of 2.40SiO2 : 2.00NaAlO2 : 7.52NaOH : 454H2O : 5.00TEA. One of these, a colorless octahedron about 200 μm in cross-section has been treated with aqueous 0.1 M KNO3 for the preparation of K+-exchanged zeolite X. The crystal structure of |K80|[Si112Al80O384]-FAU per unit cell, a = 24.838(4) A, dehydrated at 673 K and 1 × 10-6 Torr, has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s in the cubic space group Fd at 294 K. The structure was refined using all intensities to the final error indices (using only the 707 reflections for which Fo > 4σ (Fo)) R1 = 0.075 (based on F) and R2 = 0.236 (based on F2). About 80 K+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at an unusually large number of crystallographically distinct positions, eight. Eleven K+ ions are at the centers of double 6-rings (D6Rs, site I; K-O = 2.492(6) A and O-K-O (octahedral) = 88.45(22)o and 91.55(22)o). Site-I' position (in the sodalite cavities opposite D6Rs) is occupied by five K+ ions per unit cell; these K+ ions are recessed 1.92 A into the sodalite cavities from their 3-oxygen planes (K-O = 2.820(19) A, and O-K-O = 78.6(6)o). Twety-three K+ ions are found at three nonequivalent site II (in the supercage) with occupancies of 5, 9, and 9 ions; these K+ ions are recessed 0.43 A, 0.75 A, and 1.55 A, respectively, into the supercage from the three oxygens to which it is bound (K-O = 2.36(13) A, 2.45(13) A, and 2.710(13) A, O-K-O = 116.5(20)o, 110.1(17)o, and 90.4(6)o, respectively). The remaining sixteen, thirteen, and twelve K+ ions occupy three sites III' near triple 4-rings in the supercage (K-O = 2.64(3) A, 2.94(3) A, 2.73(5) A, 2.96(6) A, 3.06(4) A, and 3.08(3) A).

Crystal Structure of Fully Dehydrated Partially Cs+-Exchanged Zeolite X, Cs52Na40-X (The Highest Cs+-Exchanged Level Achieved by Conventional Method and Confirmation of Special Site Selectivity)

  • Bae, Myung-Na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251-256
    • /
    • 2007
  • The crystal structure of fully dehydrated partially Cs+-exchanged zeolite X, [Cs52Na40Si100Al92O384], a = 24.9765(10) A, has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s in the cubic space group Fd3 at 21 °C. The crystal was prepared by flow method for 5 days using exchange solution in which mole ratio of CsOH and CsNO3 was 1 : 1 with total concentration of 0.05 M. The crystal was then dehydrated at 400 °C and 2 × 10-6 Torr for 2 days. The structure was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1 = 0.051 and wR2 (based on F2) = 0.094 with 247 reflections for which Fo > 4σ (Fo). In this structure, about fifty-two Cs+ ions per unit cell are located at six different crystallographic sites with special selectivity; about one Cs+ ion is located at site I, at the centers of double oxygen-rings (D6Rs), two Cs+ ions are located at site I', and six Cs+ ions are found at site II'. This is contrary to common view that Cs+ ions cannot pass sodalite cavities nor D6Rs because six-ring entrances are too small. Ring-opening by the formation of ?OH groups and ring-flexing make Cs+ ions at sites I, I', and II' enter six-oxygen rings. The defects of zeolite frameworks also give enough mobility to Cs+ ions to enter sodalite cavities and D6Rs. Another six Cs+ ions are found at site II, thirty-six are located at site III, and one is located at site III' in the supercage, respectively. Forty Na+ ions per unit cell are located at two different crystallographic sites; about fourteen are located at site I, the centers of D6Rs and twenty-six are also located at site II in the supercage. Cs+ ions and Na+ ions at site II are recessed ca. 0.34(1) A and 1.91(1) A into the supercage, respectively. In this work, the highest exchange level of Cs+ ions per unit cell was achieved in zeolite X by conventional aqueous solution methods and it was also shown that Cs+ ion could pass through the sixoxygen rings.

Salvia의 생장(生長)과 개화(開花)에 미치는 Dikegulac과 Ancymidol의 효과(效果) (Effect of Dikegulac and Ancymidol on Growth and Fowering of Salvia splendens 'Bonfire')

  • 이종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21-26
    • /
    • 1979
  • salvia의 생장억제(生長抑制)와 측지발달(側枝發達), 개화반응(開花反應) 등(等)에 관(關)한 dikegulac과 ancymidol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salvia 품종(品種) Bonfire를 공시(供試)하여 dikegulac 0.06%, 0.12%(엽면살포(葉面撒布))와 ancymidol 50 ppm, 100 ppm(엽면살포(葉面撒布)) 및 0.1 mg/pot, 0.5 mg/pot(토양주입(土壤注入))을 처리(處理)하였다. dikegulac 처리(處理)는 정아(頂芽)의 생장(生長)을 저해(沮害)하여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키고 측지(側枝)의 발달(發達)을 유도(誘導)하여 개화경수(開花莖數)를 증가(增加)시켰으나 개화기(開花期)는 지연(遲延)시켰다. 또 잎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켜 관상가치(觀賞價値)를 증대(增大)시켰는데 특(特)히 chlorophyll a의 함량(含量)이 월등(越等)히 높아졌다. ancymidol 처리(處理)는 정아(頂芽)의 생장(生長)을 저해(沮害)하지 않고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켜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영향(影響)하지 않았으나 개화경(開花莖) 증가(增加)에는 0.1 mg 토양주입구(土壤注入區)를 제(除)하고는 거의 효과(效果)가 없었다. 또 잎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ancymidol 처리(處理)에 의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는데 dikegulac 처리구(處理區)와 마찬가지로 chlorophyll a의 함량(含量)이 현저(顯著)히 높아졌다. dikegulac은 salvia에서 매우 효과적(效果的)인 화학적(化學的) 적심제(摘心劑)로 사용(使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불소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 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ated Bleaching Agents and Post-treatment Fluoride Application on the Color and Microhardness of Enamel Surface)

  • 심연수;정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P를 이용하여,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 불소가 함유된 미백제, 그리고 10% CP로 미백한 후에 불소를 적용하여 하루에 8시간씩 14일 동안 처리함으로써, 치아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색조 변화측정 결과, 대조군을 제외하고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치아 미백 후 시간 경과에 따라 $L^*$ 값과 ${\Delta}E^*$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비슷한 수준의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의 색조에서 노란색이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미백 처리 전후의 법랑질의 표면경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유의한 미세경도 감소를 보였다(p<0.05). 특히 10% CP군은 가장 낮은 미세경도 수치를 보였고, 미백제에 불소가 함유된 군과 미백 후 불소를 적용한 군은 미세경도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주간 진행되는 10% CP는 치아미백에 효과적이며, 미백제에 불소를 함유시켜도 미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표면미세경도는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에 비해 덜 감소했다. 임상에서 미백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적정 농도의 불소를 이용해 적용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혈전증(血栓症)과 타박성(打撲性) 충혈(充血) 및 고지혈증(高脂血症)에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 및 화어탕(化瘀湯)이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f the influence of both of Shùnqìdǎotántāng and Huàyūtāng on thrombosis, contusion-hyperemia, and hyperlipidemia)

  • 박원환;최달영;문준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9-54
    • /
    • 1993
  • To see both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dissipate phlegm and promote vital energy circulation) and $Hu{\grave{a}}y{\bar{u}}t{\bar{a}}ng$(blood circulation and disperse blood stasis) influencing on thrombosis, contusion-hyperemia, and hyperlipidemia, at first we measured the density of FDP, the quantity of fibrinogen, prothrombin time, and the number of platelet of rat taken thrombosis by endotoxin. Secondly we measured the increase-rate of "paw swelling", the number of platelet, the quantity of fibrinogen, and prothrombin time of rat taken contusion-hyperemia. And then we measured the quantity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and of H.D.L-cholesterol and of triglyceride and of phospholipid and of ${\beta}-lipoprotein$, its weight, and the variation of the quantity of electrolyte of rat taken hyperlipidemia by the oral-injection of choleserol. As a result, we can conclude as follows : 1. Out of the test of thrombosis, we can recognize not only the noticeable increae of the number of platelet and the quantity of fibrinogen, but also the noticeable decrease of prothrombin time and the density of FDP in case of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injected rat and $Hu{\grave{a}}y{\bar{u}}t{\bar{a}}ng$-injected rat. 2. Out of the test of contusion-hyperemia, we can recognize not only the noticeable increase of the number of platelet and the quantity of fibrinogen, but also the noticeable decrease of prothrombin time and "increase-rate of paw swelling" in case of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injected rat and $Hu{\grave{a}}y{\bar{u}}t{\bar{a}}ng$-injected rat. 3. Out of the test of hyperlipidemia, at first we can recognize that test rat's weight increased as close as that of normal rat. And we can recognize the noticeable decrease of the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and ${\beta}-lipoprotein$." Also, in case of the variation of electrolyte we can recognize the decrease of calcium and potassium in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injected rat, and of sodium and magnesium in $Hu{\grave{a}}y{\bar{u}}t{\bar{a}}ng$-injected rat. Thus, as the above-mentioned, in covering thrombosis, contusion-hypermia, and hyperlipidemia, the effect of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 and $Hu{\grave{a}}y{\bar{u}}t{\bar{a}}ng$ can be recognized. Granting that $Hu{\grave{a}}y{\bar{u}}t{\bar{a}}ng$ reveals its effectiveness in thrombosis and contusion-hyperemia, and $Sh{\grave{u}}nq{\grave{i}}daot{\acute{a}}nt{\bar{a}}ng$ in hyperlipidemia, it can be inferred that contusion-hyperemia is like "model of blood stasis form" as thrombosis and hyperlipidemia "phlegm-retention diseases form", and both phlegm-retention and blood stasis have correlation each 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