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practice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1초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 연구 (Social Work Students and Their Attitude toward Research)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19-23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조사연구에 관한 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표본은 조사가 가능한 수도권 지역 대학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추출되었으며, 최종 321명의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중요성과 유용성에서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에 비해 낮았다. 학부생과 대학원생간의 태도 조사연구태도 차이는 유용성에 대한 태도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사연구수업에 대한 견해와 사회복지실무본질에 대한 견해가 조사연구태도인 중요성과 유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교육과 조사연구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 PDF

사회복지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지시적 실천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Belief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Practice Mode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27-252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인식론적 신념과 지시적 실천정도를 탐색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지식에 관한 이론으로서 사회복지사에게 실천행위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는 의미에서 사회복지실천과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식론적 신념은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인식론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지시적 실천정도는 Rothman 등이 제안한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유형을 근거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인식론적 신념이 지시적 실천정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인식론적 신념은 객관주의 인식론에 비해 구성주의 인식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객관주의 인식론은 사회복지사의 지시적 개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실천과정의 복잡성과 독특성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사에게 다양한 인식론적 입장이 필요하다는 것과 객관주의 인식론에 대한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가족"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Discourses in Social Workers)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53-70
    • /
    • 2004
  • 본 연구는 가족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담론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족실천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담론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담론과 실천의 연관성을 시사받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현장의 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하였다. 인터뷰 결과 가족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가족담론은 크게 4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가족을 사적인 공간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그 공간은 안식처와 피난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성별분업 담론은 다소 의식과 실천상에 간극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성별분업에 공감하고 이를 실천에 적용하는 경향이었다. 셋째, 전형적 가족 이미지는 구조상의 전형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융통성을 두고 있었으나 기능상의 전형성은 성별분업과 모성신화의 이미지에 기울어져 있어 절반의 전형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사회복지사들은 가족 유대의 질에 대해 자연적 제도이자 정서적 유대를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조사 결과는 사회복지사들이 가진 담론이 실천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 것으로서 사회복지실천이 과학적 지식과 기술만을 적용한다는 이미지에서 담론적 혹은 해석적 실천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

  • PDF

노자 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의 탐색 (In Quest of Alternative Thoughts for Social Work Practice Relationship Based on Lao-tzu's Work of Tao Te Ching)

  • 최명민;박승희;김성천;김기덕;이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139-162
    • /
    • 2014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는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사회복지실천관계에 대한 현행 담론은 이론적 정향과 실천적 유용성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사회과학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노자 도덕경은 유력한 대안 담론으로 검토될 만하다. 크게 본체론, 개체론, 수양론을 아우르고 있는 도덕경은 원인론, 인과론, 개체주의로 상징되는 서양철학의 전통과 달리 객관주의, 긍정적 비판주의, 인본주의, 평등주의, 상호성과 관계성을 지향하는 유기적 세계관을 지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노자 철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을 모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해 보았다.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지향점을 '자연적 인본주의'로 설정함으로써 실천관계를 인간본성에 근거한 상보적 존재로 규정한다. 둘째, 스스로 그러하다는 의미에서 자연스러운 존재로서 인간본성을 규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잠재적 가능성과 이를 저해하는 인위적 억압을 인식한다. 셋째, 노자적 관점을 취하는 사회복지사는 폐쇄적 전문주의를 넘어 성찰과 무위(無爲)의 실천 주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노자 도덕경은 서구중심의 관계론이 가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항 대립적 한계를 넘어 한국적 사회복지실천 관계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0권
    • /
    • pp.131-156
    • /
    • 2000
  • Many different interven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resolve the problem of clients, but research studie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uch practices can be overwhelming to social workers because of the conflicting results of them. In this study, meta-analysis was used to make sense of this research, offering the general effect size of social work practice. Meta-analysis can answer the question, "how effective is the intervention?" beyond the question, "is the intervention effective?". It can integrate the fragmentated results of research studies and provide the guidelines for best practice.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16 research studies, this study computed the general effect size of social work interventions. The mean d index was. 6636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of .5355, .8018). Conversion to Cohen's $U_3$ statistics allows for the inference that three-fourths (74.7%) of the client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vention group did better than the average clients of non-intervention group. This means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s are practically helpful to seven of every 10 clients who experience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ed the usefulness of meta-analysis, which can provid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nd guide the best approaches.

  • PDF

사회복지분야의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s of Social Workers to Corporate Philanthropy in Social Work Field)

  • 박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09-136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회복지분야의 새로운 자원제공자로서 부상하고 있는 기업 사회공헌의 주체적 파트너로서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 개념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공생적 파트너십 유형', '사회적 당위유형', '전략적 실리추구 유형' 등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 유형들은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고전적 관점, 사회-경제적 관점, 현대적 관점, 자선적 관점들을 절충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모호하게 이해되었던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개념적 인식들을 체계적으로 밝히고 유형화함으로써 관련 이론, 실천, 교육 등 제반 영역 내에서, 그리고 각 영역들 간의 논의와 소통, 협력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바우만(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An Analysis of Liquidity of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throuth Bauman's Theory of Modernity)

  • 김기덕;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53-75
    • /
    • 2014
  • 최근 한국사회복지실천에 등장한 복잡하고 혼돈스러운 현상들이 기존의 이론이나 관점으로 설명되지 못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과 본질에 관한 의문과 더불어 사회복지실천이 시대적 변화에 적절히 조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과 반성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Bauman의 유동적 근대성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사회복지실천에서도 급속한 변화와 시대적 복합성으로 인한 혼란, 빈곤에 대한 비중 감소와 소비논리의 팽배, 영역의 세분화와 문제해결의 개인화, 관료제와 관리주의의 강화에 따른 실천성의 약화, 사회복지 정체성과 윤리성에 대한 요청 등 유동적 근대사회 특유의 현상들이 분명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대응은 유동적 사회에 부합하는 수단이 아니라 기존의 고체 근대 시대의 전략과 수단을 더욱 강화하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사회복지실천이 당면하고 있는 유동화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가의 자율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PDF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한 사례관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Case Management in the Modern Society)

  • 최명민;정병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01-324
    • /
    • 2015
  • 최근 사례관리가 사회복지실천의 주류 실천방식이자 전달체계의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정작 그 수행주체인 사례관리자들은 계속 혼란과 스트레스를 호소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근원적 이유를 탐색하기 위하여 Foucault의 계보학을 이용하여 사례관리의 발생지점에 대한 역사적 미분을 시도함으로써 존재론, 주체론, 방법론 측면에서 사례관리에 내재된 본질적 특성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 사회적 필요에 따라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기제로 출현한 사례관리의 태생적 속성들과 이를 신자유주의적 방식으로 제도화하려는 시도들이 사회복지실천 고유의 지향이나 정체성과 충돌하면서 혼란과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 본연의 정체성을 실현해 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에 배태된 통제성과 관리성을 인식하고 사례의 주인공인 인간성을 강화하며 과도한 관리성을 견제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The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 to Consumerism in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 박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69-19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복지의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개념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소비자주의에 대한 주관적 개념은 임파워먼트형, 시장기제형, 다중개방형, 전통가치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들은 각각 소비자주의에 대한 특정적 확장적 차원에 의해, 전통적 개혁적 차원에 의해, 수단적 목적적 차원에 의해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모호하게 이해되고 있는 소비자주의 개념을 구체화함으로써 소비자 친화적인 정책 및 실천 프로그램과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그리고 소비자주의를 지향하는 장애인복지의 정책, 실천현장, 이론, 운동 등 제 영역들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권력의 장치로서의 사회복지 : 푸코의 권력이론에 입각한 '권한부여' 비판 (Social Welfare as an Apparatus of Power : A Critique on 'Empowerment' from the Foucault's Theory of Power)

  • 이혁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328-357
    • /
    • 2000
  • From Foucault's Perspective of power, this study is trying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mpowerment' which is widely accepted as a central value and practice skill of social work. Notwithstanding the superficial consensus on the empowerment, the author shows that it is a confusing concept with contrasting expectations and conflicting methodologies or only a wishful rhetorical jargon. Furthermore, he argues that the empowerment is not just a value-free intervention skill working outside the ruling power but a ruling-discourse or power-mechanism of a liberal society which makes citizens responsible voluntarily.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se arguments, the 2nd chapter reviews Foucault's theory of power. The 1st part of the 3rd chapter summari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mpowerment practice and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2nd part reviews the existing critics on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empowerment, and the last part reveals, based upon Foucault's theory of power, that the empowerment is a typical mode of ruling power in liberal societies.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may warn the moral and intellectual superiority complex of social work discourse and help stimulate the ethical sensibility and responsibility in social work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