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role of public librar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사회적 역할 수행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Performance of Social ]note of Public Libraries)

  • 이용훈;심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7
    • /
    • 2002
  • 21세기 지식정보시대 공공도서관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서관 측에서 사회적 역할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도서관의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 수행 방안으로 도서관 권리선언 제정, 독서실 기능 폐지,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 및 인증제도 도입, 도서관 장서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PDF

사회자본과 공유경제의 매개체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Capital and Sharing Economy)

  • 이승민;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21-141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있는 사회자본과 공유경제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을 매개하여 전체적인 사회적 편익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을 설문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자본과 공유경제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현상이며, 공공도서관은 사회자본의 형성 및 공유경제에 대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공유경제를 매개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 측면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사회자본과 공유경제를 매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on Social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Utilizing the sentiment analysis

  • Noh, Younghee;Kim, Dong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41-65
    • /
    • 2022
  •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overall perception of our society about public libraries, analyzing the text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utilizing the semantic connection network & sentiment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last five years with keywords, 'Library' and 'Lifelong Learning Center' from January 1, 2016 through November 30, 2020 through the blogs and cafés of major domestic portal sites. With the collected data, text mining, centrality of keywords, network structure, structural equipotentiality,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ading' and 'book' were identified as representative keywords that form the soci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ie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keywords related to the use of the library and the untact service due to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Third, in seeking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keywords drawn to have positive meanings,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tinuous services that can form a new image of the librar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ixed role and image of the library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Fourth,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library services were recognized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Fif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ocial distancing, and temporary closure and closure of libraries are negatively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nd awareness of librarians has been identified as negative keywords.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 기제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a Construction Mechanism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9-160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 그리고 이들 자본이 재생산하는 사회적 계급의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 및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력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급일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화의 해소에는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의 현 단계에 관한 연구 - 부산 경남지역 공공도서관 사서의 일상적 의식세계에 대한 질적 분석 -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sciousness of Librarians in Their Everyday Lives in Pusan- Kyongnam Area Public Libraries.)

  • 김정근;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3-73
    • /
    • 1994
  • It is widely known that the public library in Korea has not been developed as a social agency which makes communication process possible. The public library in Korea just plays a role of the public study room for students using their own books. There is almost no public libraries in the sense of an open collection of comprehensive materials designed for use by anyone who seeks information. This study starts from this situation. It aims at identifying the presen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through investigating librarians' consciousness in their everyday lives. For this, a case study method is used for investingating,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discourse' of librarians in Pusan and Kyongsangnamdo area. Major suggestions include : First of all, it is most important for public library reformation to eradicate the 'conservatism' in the consciousness of librarians in their everyday lives. So,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ir life stories in various library conditions, and make them public discourse of librarians. Secondly,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should play a role to unify the librarians. For this role, it should maintain a R&D department and strengthen PR programs. Thirdly, Researchers who stud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should be always concerned with the real-life context in the field. The most important type of research in our third world situation is the one that is based on the present stage of the development of our own libraries and the real library situation in the field.

  • PDF

공공도서관 이용이 사서에 대한 인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Use on the Formation of Perception of Librarians)

  • 최지혜;이승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5-197
    • /
    • 2021
  • 공공도서관의 이용 및 정보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도서관 소장자료와 설비의 이용, 도서관을 통한 동아리 활동 참여는 사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은 정보적 활동에서 사회적 활동을 지원해 주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나 소장자료의 대출, 사서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사서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는 요인들이 사서에 대한 인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사서의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보다 실제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Indicators for Measuring Public Libraries´ Impact on the Community)

  • 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1-328
    • /
    • 2003
  •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서는 공공도서관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에 대한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영향력을 경제적 가치, 사회적 공헌, 그리고 정보 능력의 향상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각각의 측정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향력 측정에 사용 가능한 결과 지표(outcome indicators)와 그 개발 과정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적용이 가능한 지표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식센터로서의 공공도서관 분석 프레임워크 (Analysis Framework of Public Library as Knowledge Center)

  • 남수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81-190
    • /
    • 2013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공공도서관을 지식생성관점에서 연구한 문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공도서관을 전통적인 도서대출기능을 수행하는 주체로부터, 지식과 사회자본을 생성하는 주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지식관리와 지식도시 개념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 분석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뉴저지 주 리지우드 도서관을 하나의 사례로 분석한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을 위한 제언 (A Suggestion for Future Public Librarie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5-78
    • /
    • 2004
  •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사회의 변화와 발맞추어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변화 방향에 대한 제언이다. 인터넷의 발달은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방향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고, 사회의 변화는 도서관이 문화공간 역할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첫째, 정보접근점이 되어 주민에게 인터넷 정보탐색이 가능하도록 기기와 장소를 제공해야 하며, 인터넷 정보탐색 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문화를 창출하고 영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 안락하고, 편안하며, 고품격의 실내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주민에게 사회의 고품격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지역주민의 생활 문화중심 공간으로 그 기능을 다 하여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사서인식도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public library users, cognition degree for librarians)

  • 임동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275-300
    • /
    • 1996
  • The writer obtained a Conclusion through this thesis as follows: First : There a n.0, ppeared that users, Cognition degree for librarian's Social status is very high. As it were, response for questioning about librarian's scholarly attainments and business type is almost accurate that we anticipate the expectation value for the librarian is very high. Second : The satisfaction degree of information services acquired by the users through public library was very skeptic. Due to the poorness of information media that we wish, and deterioration of data, it losed its qualification as a creation organization for the true information, but lots of people emphasized their opinion it only role as a "study room". Third : A questioning about librarian"s assiduity in the public library, there are lots of users Complain. Main factor of that dissatisfaction is Unkindness, and business like(duplicated) assiduity. Not only this but main desire to the public library in pusan down town by the users is also a n.0, ppeared as Kind Service. Fourth : General Controversial points in public libraries in pusan area indicated by the users who responded to the subjective questions are poor data, lack of kind service attitude and poor facilities.oor fac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