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forestry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Effect of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Extract on Odor Reduction

  • Gok Mi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81-286
    • /
    • 2024
  • With the commercialization and full-timeization of the livestock industry, civil complaints continue to increase, and the livestock industry is facing a crisis due to social problems such as odor caused by livestock manure, soil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in livestock farms, the amount of livestock manure generated is increasing due to excessive use of protein feed and high-density breeding environment, and complaints such as odor and water pollution due to management problems are increasing rapidly. Livestock odor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due to growing complaints, conflicts betwee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re even causing the livestock industry to lower its stat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olution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livestock industry and improve polici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 brand that can improve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livestock, reduce odors caused by livestock excrement,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farms in order to improve the increasingly serious odor problem in livestock sites. For Jeju livestock farms, which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environment by securing tourists, eco-friendly feed additive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 the results were derived, and the focus was on solving fundamental problems of odor gen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packaging of feed additive brands. We aim to fundamentally solve the odor problem of domestic livestock farms, secure eco-friendly livestock farms, and contribute to reducing livestock odors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rough research results that reduce ammonia levels in each livestock farm.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heir Recreational Motivations: A Case Study in a Korean National Park

  • Shin, Won Sop;Kwon, Heon Gyo;Han, Hang Yeo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63-169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itors' environmental attitudes as measured by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NEP) and their recreational motivation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national park in South Korea. The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visitor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motivation were multi-dimensional structures. The NEP composed of three factors named 'Humans over Nature', 'Balance of Nature', and Limit to Growth'. Visitors' motivation also composed of four factors representing 'Achievement and Stimulation', 'Escape and Enjoying Nature', 'Social and Leadership', and 'Famil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suggesting they were independent each other.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itors' motivation due to their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s.

Crop Science Approaches to Alleviate the Food Security Concerns in Korea

  • Hee-Jong Ko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
    • /
    • 2022
  • Unstable crop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COVID-19 pandemic has raised the food security concerns worldwide. In particular, Russia's invasion to Ukraine has blocked the grain trade such as wheat and com to importing countries, which has aggravated the situation. Korea has relied on foreign imports for about 80% of domestic grain demand, raising great concerns on food security. Considering situations related to Korea's food security, some points in view of a crop scientist are suggested and discussed as follows; 1) Domestic production of major grain crop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encouraging farmers by appropriate governmental subsidy programs 2) International corpo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diversified for sustainabl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for stable import even in case of food crisis and emergency. 3) Self-sufficiency target should be specified by law so that more budget investments could be put to alleviate the food security concerns. 4) Technologies for climate smart agriculture and for competitive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aided by social and governmental support.

  • PDF

노년기 농업노동의 사회복지비용 절감 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rming Labor in Later Life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 윤순덕;박공주;강경하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109-126
    • /
    • 2005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공공의 사회보장부문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급여를 사회복지비용이라 정의하고,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가 사회복지비용 지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농업노동 참여여부에 따라 1인당 그리고 한 해 사회복지비용 지출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소득·의료보장을 위해 지출된 2003년도 교통수당, 경로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국민건강보험급여 등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를 37개 동·읍·면사무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자료제공 협조를 요청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799명에 대한 원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 65~74세, 75~84세, 85세 이상 등 3개 연령집단별로 분석한 결과, 첫째,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 모두 모든 연령집단에서 농업노동에 참여한 노인보다 농업노동을 하지 않았던 노인에게 더 많이 지출되었다. 노인 1인당 차액은 연령집단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는데 생계지원비는 113,959~361,132원, 의료지원비는 15,644~51,418원이었다. 둘째,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여부는 65~74세, 75~84세 연령집단의 생계비 지출에, 65~74세 연령집단의 의료지원비 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년기 농업노동 참여에 따른 한 해 사회복지비용 절감액을 산출한 결과, 2003년도 기준 1304억원이었다.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and Indicators for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 in Korea)

  • 신혜진;김의경;유병일;서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24-3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임업현실을 반영하고 추후 민간차원의 시장도입을 고려하여 산림경영 단위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산림경영인증의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산림경영단위의 C&I 특성을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 중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과 지표의 도출을 위해 정책 생태 사회 경제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FSC 산림경영인증 심사과정에 참여한 현장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기존의 FSC 인증심사 시 제기된 문제 점과 인증심사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실제 인증심사 시 고려해야 할 우리나라의 임업특수성을 재조명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임업현실을 반영한 7개 기준 27개 지표를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로 선정하여 92개 현장점검 항목을 제시하였다.

일본에서의 토목${\cdot}$건설 지반조사를 위한 물리탐사 활용 현황 (The State-of-the-Art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applied to Site Characterization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 Japan)

  • 박삼규;김희준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1999년도 제2회 학술발표회
    • /
    • pp.1-20
    • /
    • 1999
  •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물리탐사 기술을 토목${\cdot}$건설분야에 널리 활용해왔다. 특히 굴절법 탄성파탐사는 지반조사법으로 이미 확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산악 터널, 댐, 산사태 등의 조사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회의 가치관의 변화와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용되는 물리탐사기술 및 그 적용범위가 많이 다양해졌다. 그리고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측정기술과 해석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은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반의 가시화기술로 탐사결과를 보다 알기 쉽게 영상화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지반개량 효과의 판정, 터널 막장의 전방탐사, 지하수의 거동, 오염 및 정화 과정의 모니터링 등에 관한 물리탐사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지반조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3차원의 물리탐사 기술이 완성단계에 이르러 이의 토목${\cdot}$건설분야에 대한 활용이 눈앞에 와 있다.

  • PDF

산림을 이용한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해외 사례 고찰 (Study on Forestry-Based Carbon Offset Programs)

  • 이승은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7
    • /
    • 2010
  • 산림의 조성 및 경영, 목제품 활용, 전용방지 등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고정 사업은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생태적, 경제적인 부가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산림 관련 활동을 통하여 획득된 이산화탄소의 순흡수량에 대하여 배출권을 발행하고 거래하는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이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나 자발적 배출량 감축, 배출규제의 준수 등에 활용되고 있고, 국내에도 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주요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기준, 방안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대상 사업 및 기준, 추가성 분석 방법, 배출권의 발행 형태,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정 및 모니터링, 비영속성 관리 방법, 부가 편익에 대한 요구사항 등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운영기관, 가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외의 선진사례들을 참조로 국내 산림 탄소상쇄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면서도 국제적 수준의 품질을 가지는 배출권을 생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한 방향성과 기본 조건 등을 파악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생태문화탐방로 이용자의 경험분석 - 부안 마실길과 군산 구불길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Users of National Ecological and Cultural Exploration Routes Using Big Data - A Focus on the Buan Masil Road and Gunsan Gubul Road -)

  • 이현정;안병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51-166
    • /
    • 2020
  • Various experience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of two National Ecological and Cultural Exploration Ro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erience keywords was analyzed by th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value calculated through the centrality analysis of the research site experience keywords. First, In the text mining analysis, 'walking' appeared as the top keyword in the I, II, and III periods of the two target areas. The keywords related to the stay type of "rental cottage" and "recreational forest" were derived for Masil Road in relation to accommodation facilities. However, the keywords related to the accommodation were not derived in Gubul Road. Second, as a result of the centrality analysis,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keywords "walking", "sea", "look", "salt flats" of Masil Road and "walking", "lake" and "park" of Gubul Road was high. The keywords located at the center are "walking" and "sea" in the Masil Road, and "walking" in the Gubul Road. As an influential keyword, Masil Road is "experience" and Gubul Road is "history".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keywords that appeared at the top of the Gubul Road are derived from the keywords related to the 1 ~ 8 course, and it is judged that the visitors are visiting the 1 ~ 8 course trail evenly. However, the Gubul Road only appears in the top keyword only for a few courses. Through this, it seems that three courses are intensively visited as the main course of 6 Gubul Road, 6-1 Gubul Road, and 8 Gubul Road.

산지유역 기반의 토석류 취약성 분석을 통한 재해방지 계획수립 연구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Debris Flow Vulnerability Based on Mountain Basin Features)

  • 김만일;이문세;홍관표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393-403
    • /
    • 2017
  • 최근 10년간(2005~2014) 산지재해 발생현황을 분석해 보면 산지재해 발생 총면적은 4,393 ha, 연평균 인명피해는 7명, 연평균 산지재해 복구비는 798억원으로 사회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산지재해는 1차적으로 산지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되어 2차적으로 계류를 따라 토석류로 이동 및 확산되면서 산지 하부지역의 시설지와 주거지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산지재해의 발생원인은 자연적인 요인으로 태풍, 국지성 강우 등이 있으며, 인위적인 요인으로 산지 개발로 인한 산지지반의 훼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을 3개 유역으로 구획하고, 산지유역의 지형, 지질, 산림 특성을 고려하여 FLO-2D 분석 결과를 반영한 토석류 취약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잠재적 산지재해에 대한 조사, 분석, 평가 방안에 따라 산지사면 및 계류에 대한 취약성 분석을 통해 잠재적 산지재해의 발생 위험유역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유역 기반의 종합적인 재해방지시설 계획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Green ODA 요건에 따른 산림 분야 공적개발원조 대상국 탐색 (Exploring Countries Eligible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wards Global Forest Conservation Focusing on Green ODA Criteria)

  • 장은경;최가영;문주연;전철현;최은호;최형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30-344
    • /
    • 2022
  •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사회·환경 부문의 이행 준비 및 필요성을 분석하여 '그린 ODA'에 충족될 수 있는 협력 대상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산림 협력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나아가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로 산림 협력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량·에너지·수자원·산불 등 산림 전용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녹색기술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사업 활동과 재원, 참여자의 다각화를 통해 산림분야 양자 ODA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부문 양자 협력 대상국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 산림 파괴가 진행 중인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