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disasters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재난 대비 안전한 의료환경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of Medical Environments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Respond to Disasters)

  • 이현진;송상훈;김태윤;김영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35-46
    • /
    • 2024
  • Purpos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to respond quickly to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nd disasters such as MERS, COVID-19, the Syrian earthquake, and the Miryang Sejong Hospital fire accident.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afe medical facilities and protect lives through emergency medical support and disaster response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status of regional medical facilities that play a central role in the event of a disaster. Methods: The target was 41 local public hospitals, including 35 regional medical centers and 6 Red Cross hospitals nationwide. We delivered a questionnaire to 41 medical facilities and collected data from 32 regional public hospitals that received responses. Results: In order to respond to safety acci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infections, falls, patient identification, and incorrect connections for medical accidents, and for in-hospital acci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entrapment, collision, water leaks, falling objects, and crime prevention. For natural disasters, we investigated the response environment for typhoons, floods, and snow damage, and for social disasters, we investigated the response environment for fire, power outages, and radiation damage. Implications: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andards and creating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s that are safe for everyone to respond to various disasters and prevent patient safety accidents in the future.

사회로부터의 기술혁신에 관한 연구: 재난영상전송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Society: A Case Study on the Real-tim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 윤진효;박상문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3-122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on how technological innovations are developed and deployed within social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innovation processes within social contexts and the role of innovation actors such as citizens,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he the Real-time Disaster Management System (RDMS) is an innovation for citizens to transmit digital images and video clips on disaster towar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respond to disasters. This case shows how an innovation in disaster management was developed by social interactions, how open innovation mechanism was deployed, and how end-users involved in innovation processes for disaster management. Finally this paper suggests implications to accelerate innov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social change.

  • PDF

재난안전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활용을 위한 코드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de System for Systematic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Disaster Safety Data)

  • 정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67-175
    • /
    • 2018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간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지닌 재난상황관리 담당자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각종 자연 및 사회재난에 대비하여 재난상황관리 업무를 하고 있으나,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과거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련 기록관리 및 정보 공유가 저조함에 따라 재난정보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재난안전 코드체계를 개발하였다. 22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중에서 대설, 강풍, 풍랑, 호우 등 4개 재난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재난분야 코드체계 사례분석, 구축방향설정, 분류체계 개발 및 유형화 과정을 통해 최종 재난안전 데이터 코드체계를 제시하였다. 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을 위하여 4개의 코드체계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제시한 코드체계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운용가능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용한 결과, 코드체계에 맞게 데이터가 축적되고 서비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드체계에 따라 과거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활용된다면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인명구조용 근력지원장치의 적용가능한 재난현장 분석 (Analysis of the Disaster Sites using Power-assisted Devices for Rescue)

  • Lee, Minsu;Park, Chan;Kim, Jingi;Lee, Donge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73-2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명구조용 근력지원장치 개발의 필요성, 목적,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개발완료 예정인 근력지원장치가 적용가능한 재난현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재난을 분류하고 근력지원장치가 적용가능한 대표적 공통 재난현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용가능한 재난현장으로 13개 재난현장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로 사회재난현장으로 8개 현장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현장은 화재현장(진압), 화재현장(구조), 붕괴사고현장, 교통사고현장, 폭발사고현장, 화생방사고현장, 환경오염사고현장, 기타 안전사고발생 현장이다. 두 번째로 자연재난현장으로 4개 현장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현장은 지진발생현장, 홍수발생현장, 태풍발생현장, 기타자연재난현장이다. 마지막으로 기타 재난현장으로 1개 현장으로 분류되었다.

Evacuation and Sheltering Assistance for Persons with Special Needs at Times of Disaster: Lessons Learned from Typhoon 23, Heavy Rainfall and Earthquake Disasters in the Year 2004

  • Tatsuki, Sshige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6-42
    • /
    • 2009
  • A series of heavy rainfall, typhoon and earthquake disasters caused a proportionately large number of deaths among the elderly in the year 2004 in Japan. In response to these tragedies, the national government set up committees to reduce damage within the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for the next three years. The discussions in the committee led to a new conceptualization that disaster vulnerability was caused by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a person's special needs and the environment's capacity and resources to meet them. This person-in-environment model of hazard vulnerability was applied to those who resided in the Nankai-Tonankai tsunami hazard-prone area. 123 home care service users were interviewed in terms of their self-evacuation ability, degree of social isolation, and building weakness as well as tsunami exposure risks. Results were quantified and scores of person-in-environmentmodel hazard vulnerability were obtained. These scores were then used to visualize socially created vulnerability by means of weighted kernel density mapping of both persons with special needs (PSN's) and persons with special needs at times of disaster (PSND's).

  • PDF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당위성에 관한 고찰과 제언 (A Proposal in Enacting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Bill)

  • Choi, Sangok;Lee, Jeong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6-121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안전 교육 훈련 정책의 방향과 시행 기본원칙, 기본이념과 정의 등의 내용을 담은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필요성을 검토한 논문이다. 이 법의 주요 목적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국민들에게 안전교육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전의식을 고양하고 재난 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될 것이다. 이러한 국민안전교육진흥법의 제정은 재난안전 및 구호분야 교육 훈련과 정책수단 마련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며 치명적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속에서 국가사회 전체의 안정적인 재난 대처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국민의 안전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공공자연재해보험의 도입방안 - Microinsurance와 Index Insurance를 중심으로 (A Plan for a New Public Natural Disaster Insurance -With priority given to Microinsurance and Index Insurance)

  • 김정인;오경희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1-173
    • /
    • 2011
  • 기상재해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엄청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반복적으로 매년 정부는 엄청난 액수를 들여 재난 피해를 복구하고 있다. 이제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난에 대해서 정부가 모든 것을 다 부담할 수 없음으로 인해 민간 또한 재난을 준비하는 장기적이고 예방적인 자연재해보험정책을 논의할 때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단순한 재해보험도입이 아니라 재해 발생 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저소득층의 미래에 대한 불안 감소와 빠른 복구를 가능케 하는 사회보장적 성격을 지닌 재해보험을 도입한다는 것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안으로 현재 시행중인 microinsurance(소액서민보험) 방식과 index insurance(지수보험) 방식을 혼용하여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nvironmental Cooper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Urbaniz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CHOI, Choongik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28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desirable direction to solve future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framework research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urbaniz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article also attempts to explore solution to two Koreas'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cooperative perspectiv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draw future policy task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methodology, North Korea's legal system to cope with disaster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erms of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analyzes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North Korea's disaster management through case study, and draws policy measures for North and South Korea's cooperation scope and methods. Result - The results support that North Korea is very vulnerable to environmental disasters due to food shortages, economic sanctions, and enormous natural disaster damages including flood damages occurring each year, because of the lack of disaster prevention infrastructure such as river maintenance. Conclusion - At the current time when North and South Kor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crease, a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ve system is needed for the areas where South and North Korea manage through division.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regulations and procedures for support items in advance for a quick response to disasters in North Korean region.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주민 인식태도 연구 -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n Recognition Attitudes of Residents on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Chungcheongbuk-do)

  • 이상열;남재성
    • 시큐리티연구
    • /
    • 제58호
    • /
    • pp.81-106
    • /
    • 2019
  • 재난안전의 가장 중요한 주체 중 하나인 지방자치단체의 관리 및 대응역량은 지역주민의 삶과 직결될 수 있는 중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체계와 대응역량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향후 자치단체들이 주민들의 안전도 향상과 효과적인 재난안전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검토해야 할 정책 추진방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안전에 대한 위험 인식에 있어 자연재난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위험 인식이 사회재난이나 안전사고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재난안전 관리 영역의 중요도에 있어서도 자연재난의 영역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 업무 중 기본적 업무 수행에 대해서는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각 단계별 업무 수행 중 위험요소의 점검 및 전달, 단기적 복구체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에 대해서는 담당부서의 역량과 전문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안전 관련 조직의 규모나 예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재난안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해야 할 정책방향으로는 교육 및 체험 등의 정규교육 강화, 지역주민 대상 교육 확대, 시설 및 재원의 지원 강화, 주민참여 운동의 활성화, 소방 및 치안 분야 장비 및 처우개선, 수시 순찰 관리 및 감시, 재난 대비 훈련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강화하여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재난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확대, 지역친화형 재난안전체계 구축, 주민 참여형 협력체계 확대, 경찰이나 소방 등 안전 관련 기관과의 협력 및 지원체계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반려동물 동거가구의 재난예방을 위한 가상현실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for disaster prevention in households living with companion animals)

  • 한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83-589
    • /
    • 2021
  • 본 연구는 반려동물의 증가로 인한 반려동물 동거가구의 재난증가를 대비하기 위한 가상현실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저출산·고령화와 함께 나타나는 1인가구와 딩크족의 증가는 특히 반려동물로 인한 재난의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는 우선적으로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화재발생 증가가 있다. 화재발생 빈도가 제일 높은 것은 반려동물로 인한 전기레인지 화재이다. 특히 고양이로 인한 전기레인지 화재의 빈도수가 제일 높다.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를 줄이기 위해 주인의 주의깊은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반려동물의 양육은 정서적 교류로 인한 펫로스 증후군을 유발한다. 주인의 부주의로 인한 재난으로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반려동물의 상해와 엘리베이터에서의 주인의 상해가 있다.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에서의 상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본적 예절로서 반려동물을 안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기본예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반려동물로 인한 재난을 줄이기 위해서 가상현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가상현실은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사전 훈련에 있어 물리적 공간이 없어도 체험이 가능하므로 실제 재난사례들을 몰입감 있게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 주인의 부주의로 인한 재난, 펫로스 증후군의 감소 방안을 가상현실을 통해 학습하는 것은 재난예방과 사회적 비용 감소에 크게 공헌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