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flict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6초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about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 박태영;김태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263-302
    • /
    • 2008
  • 본 연구는 홀어머니와 성인인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사례로써,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분화의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적 개입방법과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하여 부인(며느리)이 상담을 의뢰하여 시작되었고, 13회기동안 개인 및 가족상담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축어록과 치료자가 기록한 메모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부호화(coding)작업을 통하여 개념과 하위범주, 그리고 상위범주로 나누었다. 또한 코딩작업을 통하여 발견한 범주들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시한 관계망(network)와 매트릭스(matrix)를 활용하여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는 큰아들이 가족을 부양해주기를 원하였지만, 큰아들은 어머니의 기대와 달리 결혼을 하여 분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감춰진 불만이 드러나고 모자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이런 갈등의 저변에는 가족의 경계선문제, 미분화된 자아,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치료자는 모자갈등의 악순환고리를 끊기 위하여 치료적 동맹관계를 형성하였고, 의사소통방식의 지도, 반복되는 패턴의 조명, 재명명, 비유법을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와 큰아들은 자아분화, 기능적 의사소통의 활성화, 인식의 변화, 경계선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모자갈등의 소거와 더불어 가족관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책임감과 기대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유효한 개입방법들을 보여준다.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conflict in dual earner coupl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이인정;김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127-150
    • /
    • 2014
  •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목되고 있는 것은 자녀 양육 문제이다. 이로 인해 맞벌이 부부는 심각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다른 연령에 비해 매우 높아 이 시기 부부 관계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부부간의 갈등은 결혼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어린 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야기하는 등 매우 심각한 부정적 영향들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및 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가 이들의 부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부부간의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역동적인 관계 양상을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포함하지 못해왔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상호의존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629쌍의 커플 자료(dyadic data)를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로 분석하여 맞벌이 부부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남편과 아내 각각의 부부갈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남편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내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아내의 양육스트레스 또한 남편의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육스트레스의 부부갈등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대한 문제 파악 및 개입 시 부부의 상호의존적인 영향 관계를 반드시 고려해야할 필요성과 그에 따라 부부를 한 단위(unit)로 접근해야 함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결과라 하겠다.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송유미;이선자;이제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17-340
    • /
    • 2013
  • 본 논문은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 간에 일-가정 갈등이 가진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바람직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갈등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가정 갈등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정 갈등을 경감시키고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좋은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중시하는 가치를 공유하는 수준을 넘어, 조직 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탄력근무제와 직무표준화, 성과관리제 그리고 인사시스템 등을 갖추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 PDF

부부갈등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대처행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Mothers'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 민하영;김경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4호
    • /
    • pp.27-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66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between 3 years and 7 years of age, living in the North Kyongsang Province. Paired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ose situations whe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an avoidance coping strategy than an approach coping strategy. (2) Among the mothers who were experiencing marital conflict or child-rearing stress, the group that suffered a higher level of stress was more likely to employ an avoidance coping strateg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pproach coping behavior by the level of stress. (3) When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aring stress were controlled, approach coping behavior with marital conflict was still moderately correlated with approach coping behavior with child-rearing stress.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 고종욱;염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5-274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This study was carefully designed to overcome methodological shortcomings found in past research, and examined tw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outcome variable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02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LISREL technique. Result: It was found that: (a) three job stress variables(workload, role conflict and conflict with other medical staff)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main effects on the two output variables; (c) the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buffered by social support, and (d) social support mediates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ize of the mediating effects is small. Conclusion: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further refine this study.

청년세대의 연령주의 유형화 및 연령주의 유형과 세대갈등·노인복지정책 인식의 관계 (Identifying subgroups of ageism among young adults, and it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generational conflict and elderly welfare policy)

  • 이선희;김미리;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25-846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의 20~39세 청년층을 중심으로 연령주의 유형을 파악하고, 나아가 이 유형이 세대간 갈등 및 노인복지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8년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에서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연령주의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교차분석 등을 통해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령주의 유형이 세대간 갈등 및 노인복지정책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층의 연령주의 유형은 '노화인식 양가감정·적극적 노인차별형', '노화불안 중수준·소극적 노인차별형', '노화불안 저수준·탈 노인차별형'이 도출되었다. 연령주의 유형은 세대갈등 인식 및 노인복지정책 인식에 있어 공통적 영향요인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노인복지정책 인식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 통합 구현을 위해 노화인식에 대한 교육 활성화 및 세대간 통합을 위한 교류 확대, 세대간 상생을 위한 사회분위기 쇄신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또래와의 갈등 대처양식과 또래 괴롭힘의 가해·피해·친사회적 행동과의 횡·종단적인 관계 (Children Coping with Peer Conflict :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Correlates of Bullying, Victim, and Prosocial Behavior)

  • 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61
    • /
    • 2001
  • This study explored concurrent and prospective relationships of the coping strategies of 4th and 6th grade children in peer conflict focusing on bullying, victim, and prosocial behavior. Instruments were the Self-Report Coping Scale and the Peer Relations Questionnaire. Concurrent results of Study I showed children using more avoidance and fewer approach strategies were more likely to bullies or victims; and children using fewer avoidance and more approach coping strategies were more likely to be prosocial children. Externalizing best explained bullies and victims; seeking social support best explained prosocial children. Prospective results of Study II showed children using more externalizing and fewer problem solving were more likely to be bullies; and children employ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s; and children using more seeking social support were more likely to be prosocial children. It was also found that externalizing at Time I best predicted bullies, internalizing best predicted victims, and seeking social support best predicted prosocial children.

  • PDF

The Long-Term Effects of Parental Divorce or Separation on Childhood, Adolescent and Adult Psychosocial Health in UK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2호
    • /
    • pp.51-59
    • /
    • 2004
  • Parents' marital conflicts are often linked to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ural difficulties of their children but rarely known about later adolescent and adult l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if serious parental conflict such as divorce and/or separation in childhood was associated with emotional and social performance during later adolescent and adult lives. The research literature on divorce was briefly reviewed.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National Child Development Study (NCDSS 1974/age 16 - 1991/age 33) which followed the lives of 17,500 individuals born on March 3-9, 1958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strong evidence that the experience of parental divorce or separation in childhood negatively affects the child's emotional and social performance in their subsequent life. The higher likelihood of having emotional problems, being less competent at their job, experiencing health/disability problems, being a lone-parent, unemployed, and homeles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parental divorce or separation experienced in childhood. Intervention is desirable to address the concerns influencing socio-psychological performance amongst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or separation.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geism and Age Integration on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

  • 정순둘;정주희;김미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5-24
    • /
    • 2016
  • 본 연구는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각 세대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세대갈등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00명의 조사대상자들을 인구 비율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후 청년층 476명, 중년층 369명, 노년층 155명의 3개의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의 세대갈등인식의 차이, 연령주의 관련 변수와 연령통합 관련 변수가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로 세대갈등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연령주의 관련 변수 중 연령차별 심각성 인식이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차별을 심각하게 받아들일수록 세대 간 갈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갈등인식이 연령 그 자체에서 기인하는 인식과 편견들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4호
    • /
    • pp.23-39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This study included 316 married employees who live in Seoul and have children attending junior high or lower grade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December 1-30, 2018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child care centers, kindergartens, schools, companies, religious institutions, and other location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degree of family→work conflict was higher than that of work→family conflict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indicating that role conflict at work is greater due to family role pressures. Second,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ual-career couples, monthly income, family→work conflict (an independent variable), and family problem-solving skills (a moderating variable; a subcategory of family strength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the lower the family→work conflict, and the higher the family problem 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feeling of happiness among dual-income married couples. When the work role conflicts from family life roles were more highly perceived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Moreover, family→work conflict and an interaction term of family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ppiness. Third, family problem-solving ability was identified as a moderator buffering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