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aking solutions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염 및 당 침지 처리가 건조 사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oaking in Salt and Sugar Solutions before Air Dry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 소슬아;김종원;김아나;박찬양;이교연;샤피어라만;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8-817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oaking in salt and sugar solution prior to air drying at $50^{\circ}C$ on the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Pre-soaking solutions included single solutions of salt 2% and sugar 2%; and combined solutions of salt 2%+sugar 2% and salt 2%+sugar 5%, respectively. The effects of pre-soaking condition and drying were evaluated in terms of moisture content (MC), water activity, color,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ear force, microbi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apple slices. The control sample without pre-soaking showed the most rapid drying rate; in addition, the single solutions showed higher MC and water activity after drying time of 120 min, as compared to combined solutions. In all samples, MC and water activity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1 to 0.97; whereas, shear for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C and water activity. The single solution of salt 2% showed decrease in change of color, including L, a, and b values, an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during drying. In addition,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values of sensory pre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ried apple pre-soaked in single solution of salt 2%.

두부의 저장에 미치는 응고제와 침지액의 효과 (Effects of Coagulants and Soaking Solutions of Tofu (Soybean Curd) on Extending its Shelf Life)

  • 이갑상;김동한;백승화;전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6-122
    • /
    • 1990
  • 두부의 응고제와 침지액을 달리하여 저장 중 침지액의 미생물상과 이화학적인 변화를 검토하였다. 두부는 HAc로 응고시키는 것이 $CaCl_2$보다 저장성 향성에 효과적이었고 $CaCl_2$로 제조한 두부는 $30^{\circ}C$에서 15-17시간만에 부패가 시작되어 세균수는 $10^7cells/ml$에 달하였다. 침지액은 0.1% HAc용액이 3% NaCl 용액이나 0.1% K-sorbate용액보다 두부저장에 효과적이었다. 침지액의 탁도는 두부가 부패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 NaCl이나 0.1% K-sorbate 용액에 침지할 때 탁도의 증가는 심하였다. 두부의 부패가 진행될수록 침지액의 적정산도와 아미노태 질소량은 증가하였으며 pH는 1-2일 후에 증가하였다.

  • PDF

섬유소계 바이오매스의 분별을 위한 다양한 알칼리 전처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ne Pretreatment Methods of Cellulosic Biomass)

  • 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03-307
    • /
    • 2013
  • 이 연구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대한 알칼리 용액의 침지와 침출 전처리의 효능을 비교한다. 볏짚과 보리짚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매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 암모니아수 그리고 탄산나트륨 용액에 의해 침지 공정으로 수행되었다. 암모니아수에 의해 전처리된 볏짚과 보리짚의 효소 소화율은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 낙엽송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의 효소 소화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로 나왔다. 하지만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은 초기 바이오매스에 비해 효소 소화율이 약 5배 증가되었다. 또한 침출 공정으로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의 효소 소화율은 약 12배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전이법 기반 평막 제조과정에서 부직포 영향 분석연구 (Effect of Nonwoven Support During Fabrication of Flat Sheet Membranes via Phase Inversion Method)

  • 김민재;김수빈;김수민;이호익;김정
    • 멤브레인
    • /
    • 제32권2호
    • /
    • pp.109-11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용매로 침액되었을 시 전반적으로 더 균일한 상전이법 기반 평막 제조 시 주로 사용되는 부직포 지지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프용액의 점도가 낮을 경우 용액이 부직포층으로 쉽게 침투하여 불균일한 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층을 유기용매로 침액하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부직포층이 유기 분리막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투과 및 용매투과율도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직포 침액의 영향은 낮은 점도에서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고분자용액의 점도가 높은 경우 침액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in Unripe Peaches Jangachi according to Cultivar during Storage)

  • 홍민서;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7-1583
    • /
    • 2012
  • 영양생리학적 활성은 우수하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는 복숭아 유과의 이용 증진을 위해 품종별 복숭아 유과로 장아찌를 담아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평가(pH, 염도, 당도, 색도, 경도, 효모 및 곰팡이수의 변화,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아찌의 pH는 모든 품종의 장아찌와 침지액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아찌육의 염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침지액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모든 품종에서 장아찌와 침지액 모두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 b 값은 감소하였다. 경도는 저장 30일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저장기간 동안 2.30~5.55 log CFU/g 범위 내에서 증감을 반복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마도카와 장택백봉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두(大豆)의 Alkali 처리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ty of Soybean Milk)

  • 오준세;이규희;이원용;이가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88
  • 두유의 고삽미와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에 NaOH, $NaHCO_3$ 용액을 처리하여 phenol 화합물의 변화를 HPLC로 정량하였고, 두유중의 beany flavor를 GC로 분석하였으며, 두유의 일반성분 및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은 chlorogenic, p-hydroxybenzoic, p-coumaric, ferulic, gentis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중 chlorogenic acid는 주로 결합형, 기타 다른 phenol 화합물은 유리형으로 대부분 존재하였다. 대두를 0.1% NaOH용액으로 8시간 침지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는 85% 이상이 제거되었다. 대두중의 phenol화합물 제거에는 NaOH용액이 효과적이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거율도 높아졌으며, 0.1% NaOH용액에게서 $90^{\circ}C$, 1시간처리하였을 때 phenol 화합물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물, 0.1% NaOH 및 0.5% $NaHCO_3$ 용액으로 침지하여 제조한 두유의 일반성분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NaOH 용액 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beany flavor 중 hexanol은 증가하였으나, hexanal, propanal, pentanal은 60% 이상이 제거되었다. NaOH 용액처리, 고온침지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yellowness는 증가하였으나 물과 저온 침지처리에서는 whiteness가 증가하였다. 대두를 0.1% NaOH 용액으로 $9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 PDF

콩나물 당 침지액의 항산화 효능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 김경미;정현정;성혜미;위지향;김태용;김기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87
    • /
    • 2014
  •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50^{\circ}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제외한 모든 실험 결과에서 올리고당이 대조구나 설탕 침지보다 DPPH radical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DH ALDH 효소 활성 실험 결과, 당액 첨가비율 25%에 비해 5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띄었고, 50%와 75%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은 시간 증가에 따른 일정한 증가 추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알코올 분해능 실험에서 1-3시간 추출 시 대부분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콩나물을 올리고당 당액($50^{\circ}Bx$) 50% (w/w) 비율 이상의 수준에서 단시간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콩나물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나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량의 당액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적인 절감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침지액을 달리한 발아현미의 GABA와 비타민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f GABA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

  • 문승희;이근보;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1-515
    • /
    • 2010
  • It was conducted to assess GABA(${\gamma}$-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s. For germination, samples were soaked in 5% glutamic acid solution and 5% lactic acid solution as test group to investigate GABA producing capacity, and samples soaked in the solution without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were set as control groups(rice and non-germinated brown rice). The GABA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44.80\;{\mu}g/g$ for rice, $59.90\;{\mu}g/g$ for non-germinated brown rice, $146.70\;{\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203.20\;{\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glutamic acid solution and $222.5\;{\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GABA producing capacity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in the soaking solution for brown rice germination. The GABA content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greatly increased, along with increases in niacin and vitamin E contents without losing vitamin $B_1$.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lactic acid in soaking solution is most suitable for germination of brown rice.

Effects of a Soaking-Fermentation-Drying Process on the Isoflavo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s of Soybean

  • Kim, Tae-Jin;Sung, Chang-Hyun;Kim, Young-Jin;Jung, Byung-Moon;Kim, Eung-Ryool;Choi, Won-Sun;Jung, Hoo-Kil;Chun, Ho-Nam;Kim, Woo-Jung;Yoo, Sa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83-89
    • /
    • 2007
  • In our study, lactic acid bacteria (LAB)-fermented whey solutions were applied in the soybean soaking process to minimize bacterial contamination and to enrich the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nents of isoflavo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mong the 11 LAB tested, Bifidobacteria infantis and a mixed culture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a lact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BT-3) displaying the greatest $\beta$-glucosidase activity were selected to produce improved biologically functional soybean preparations. In the soybean soaking processing (without water spraying), the LAB-cultured 10% whey solution was used to soak and to ferment the soybeans and the fermented soybeans were finally dried by heat-blowing at $55^{\circ}C$. The processing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inal soybean product had a reduced contamination by aerobic and coliform bacteria, compared to raw soybeans, likely due to the decrease in pH during LAB fermentation. The aglycone content of the isoflavone increased up to 44.6 mg per 100 g of dried soybean by the processing method, or approximately 8-9 times as much as their initial content. The GABA contents in the processed samples increased as the processing time of soaking-fermentation proceeded as well. The soybean sample that fermented by ABT-3 culture for 24 hr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GABA content (23.95 to 97.79 mg/100 g), probably as a result of the activity of glutamate decarboxylases (GAD) released from the soybean or produced by LAB during the soaking process.

두류의 Quick Cooking방법 개발과 이것이 제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roved Cooking Methods for Dry Bean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Cooked Products)

  • 이영춘;신동빈;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7-313
    • /
    • 1983
  • 건조 두류의 시료로 선정한 대두와 동부의 cooking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와 동부를 몇가지 선정된 soaking 및 cooking 방법으로 처리하여 cooking time을 비교하고, 이런 처리가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aking방법중 대두를 3%SBC 용액에, 동부를 $0.5{\sim}1%SBC$ 용액에 침지한 후 $95{\sim}100^{\circ}C$의 물에서 cooking했을 때 cooking time은 각각 40 분과 10분이였다 이는 control에 비하여 80%의 cooking time 단축에 해당한다. 2. 대두의 cooking방법중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하는 것이 cooking time 단축에 가장 효과적 이었고 (15분), 동부의 cooking시간은 1%SBC 용액에서 6분, $121^{\circ}C$ steam에서 5분이었다. 3. 최적 텍스쳐에 도달한 각 시료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한 젓이 제일 좋았고, 염용액에서 침지한 시료는 control과 대등했으며, 염용액에서 cooking 한 것은 control 보다 좋지 않았다. 4.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류를 단 시간에 cooking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두는 가압 steam cooking $(121^{\circ}C)$ 또는 3%SBC 용액에서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 이었으며, 동부의 경우 $0.5{\sim}1%SBC$ 용액에 침지 또는 가압 steam cooking$(121^{\circ}C)$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