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5초

분광 상호정보를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분류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Using Spectral Mutual Information)

  • 변영기;어영담;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39
    • /
    • 2007
  •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자료는 객체에 대한 많은 정보를 함유하고 있어 객체의 보다 정확한 분류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분류를 위하여 SMI(Spectral Mutual Information)이라는 새로운 스펙트럼 유사도 측정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정보이론 분야에서 대두된 상호정보량의 개념을 차용하여 고안되었으며 스펙트럼간의 통계적 의존성을 측정할 수 있다. SMI는 영상의 각 화소스펙트럼을 확률변수로 간주하고 두 스펙트럼간의 유사 상호정보량을 통하여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영상을 분류한다.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SAM, SSV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동일지역에 대해 분류를 수행하고 분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SMI 기법은 하이퍼스펙트럴 영상분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 말속도와 쉼의 특성 및 말명료도와의 관계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peech intelligibility)

  • 정필연;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95-1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로 말속도와 쉼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말명료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26명이 참여하였다. 말문제와 언어문제가 없는 NSMI-LCT 4명,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 NSMI-LCI 그룹 6명, 말문제가 있지만 언어문제는 없는 SMI-LCT 6명, 말과 언어문제를 모두 동반하는 SMI-LCI 그룹 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고, Praat을 통해 말속도, 조음속도, 쉼 시간의 비율, 평균 쉼 횟수, 평균 쉼 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NSMI와 SMI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NSMI에 비해 SMI 그룹에서에서 쉼 시간의 비율은 더 높고, 쉼 횟수는 더 빈번하였으며 쉼 시간은 더 길게 나타났다. 셋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말명료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느린 말속도가 SMI 그룹의 말산출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이고, 말명료도에 있어서 조음속도와 말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성장기 아동의 수완부 골 성숙도를 이용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 (Assessment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by Skeletal Maturity on Hand Wrist Radiographs)

  • 유다열;김동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41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7세부터 15세 사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와 SMI 및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수완부 골 성숙도와 중지의 중절골 성숙도가 정중구개봉합 성숙 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 대상은 무작위로 선택된 7세부터 15세 사이 남자 132명과 여자 135명으로 교정 치료 전 교정 진단을 위해 촬영 되었던 CBCT 수평면 영상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5단계로 평가하였고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SMI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0.905,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 0.83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연령의 상관관계는 0.868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번 후향적 연구를 통해 골 성숙도 평가를 위한 SMI와 MP3 방법은 정중구개봉합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증명 되었으며 SMI 방법이 MP3 방법보다 더 나은 신뢰성을 보였다. 따라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가 필요한 모든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CBCT촬영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CBCT와 대체 가능한 SMI 와 MP3 방법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간단하게 성장기 아동의 악정형 장치의 최적의 치료 시기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hishing, Vishing, SMiShing 공격에서 공인인증을 통한 정보침해 방지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through Certified Authentication in Phishing, Vishing, SMiShing Attacks)

  • 박대우;서정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1-180
    • /
    • 2007
  • 최근의 사이버 범죄 중 사기성 피싱, 파밍, 비싱, 스미싱 등을 이용한 금융범죄가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공학 기법과 VoIP를 이용하는 피싱, 비싱, 스미싱으로 정보의 유출과 침해가 얼마나 손쉽게 발생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해커가 피싱과 비싱 사이트를 제작하고 서버를 구축하여 피싱 메일 및 바이러스, 악성코드, 비싱, 스미싱 문자, 키로거 방지 S/W의 무력화 등을 통한 사용자의 정보침해 과정을 실험한다. 실험 결과에서 피싱과 비싱, 스미싱으로 인한 정보가 유출 및 침해됨을 확인하고, 방지 대책으로 공인인증서와 White List 및 공인인증마크, 플러그 인 프로그램 설치 등을 실험하여 보안이 됨을 증명한다. 본 논문의 피싱과 비싱 공격에 대한 기술적인 실험 및 방지대책은 정보침해의 피해를 줄이고, 유비쿼터스 정보보안을 위한 학문 기술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따른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운동성 변화 (Changes of Sperm Motility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by Osmolality of Diluents)

  • 장영진;임한규;장윤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7-191
    • /
    • 2000
  • 삼투질농도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감성돔 정자는 정장과 등장인 삼투질농도에서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전해질(NaCl, KCl, $CaCl_2$, $MgCl_2$) 및 비전해질(mannitol, glucose, fructose, sucrose) 희석액의 삼투질농도가 증가할 때, 운동성을 획득하였다.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의한 정자운동지수(SMI)의 변화는 포물선을 그렸다 모든 희석액에서 SMI는 해수의 삼투질농도와 유사한 약 1,000 mOsm/kg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상에서는 다시 낮아졌다. 비록 정자의 운동성이 희석액의 삼투질농도에 의해 유발되고 해수와 비슷한 농도의 고장인 희석 액에서 SMI가 가장 높았지만, 고장이나 저장의 희석액에 정자를 노출시키는 것은 정자의 운동성 감소를 유발하였고 생존에 유해하였다.

  • PDF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ema Mode Inventory (SMI)

  • Song, Younghee;Lee, Eu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248-25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schema modes have validity in Korean adults. We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hema Mode Inventory (SMI) in a Korean adult sample (N = 768; Mean age = 22.29 years; range = 19-55 years; 69.3% Males).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factor structure, internal reliability, as well as intercorrelations among subscales were asses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yield satisfying fits for a 61-item Korean Schema Mode Inventory. Thirteen Schema Mode Inventory scales were found to have adequate reliability of the original 14 schema factors. Furthermore, the SMI scales differentiated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participants as theoretically predicte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MI is a sound instrument to measure the schema mode model in a Korean setting for assessment prior to schema therapy.

낮은 복잡도를 갖는 Sample Matrix Inversion (SMI) 기법 (Low Complexity Sample Matrix Inversion (SMI) Technique)

  • 정성규;이정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5-17
    • /
    • 2010
  • 적응 어레이(adaptive array) 기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동일채널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인 기술이다. 적응 어레이 기법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SMI 기법은 높은 성능을 보이는 데 반해 상대적으로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행렬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SMI 기법의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안테나 어레이 중 받은 신호의 파워가 가장 작은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안테나 어레이의 개수를 하나 줄이는 방식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의 복잡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 PDF

New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maxillary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from mandibular incisors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A digital model study

  • Shahid, Fazal;Alam, Mohammad Khursheed;Khamis, Mohd Fadhl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1-179
    • /
    • 2016
  • Objective: The primary aim of the study was to generate new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based on mandibular incisors and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Methods: A total of 2,340 calculations (768 based on the sum of mandibular incisor and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and 1,572 based 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were performed, and a digital stereomicroscope was used to derive the the digital models and measurements. Mesiodistal width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were measured via scanned digital models. Result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ion of maxillary (r = 0.85994, $r^2=0.7395$) and mandibular (r = 0.8708, $r^2=0.7582$) canine and premolar width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oefficients were in the strong correlation range, with an average of 0.9.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ablish prediction equations. Predic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to estimate maxillary arches based on $Y=15.746+0.602{\times}sum$ of mandibular incisors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sum of mandibular incisors [SMI] + molars), $Y=18.224+0.540{\times}(SMI+molars)$, and $Y=16.186+0.586{\times}(SMI+molars)$ for both genders, and to estimate mandibular arches the parameters used were $Y=16.391+0.564{\times}(SMI+molars)$, $Y=14.444+0.609{\times}(SMI+molars)$, and $Y=19.915+0.481{\times}(SMI+molars)$. Conclusions: These formulas will be helpful for orthodontic diagnosis and clinical treatment planning during the mixed dentition stage.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 김경호;백형선;손은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89
    • /
    • 1998
  • 부정교합 환자에서 사춘기 성장 가속화시기의 치료는 악안면 골격 부조화의 교정과 안모의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춘기의 성장을 예측하고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정학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장 가속화시기와 연관해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교정치료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초경시기에 차이가 있는지와 초경시 골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1급 부정교합자 64명, II급 부정교합자 51명, III급 부정교합자 38명의 초경 전후 3개월 이내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 평균 연령은 $12.50{\pm}1.01$세 였다. 2. 각 군별 초경연령은 I급 부정교합군이 $12.36{\pm}1.04$세, II급 부정교합군이 $12.81{\pm}1.03$세, III급 부정교합군이 $12.32{\pm}0.82$세로서, 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 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늦은 초경연령을 보였다. 3.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SMI 7이 $45.10\%$, SMI 8이 $27.45\%$, SMI 9가 $10.46\%$, SMI 6이 $7.84\%$, SMI 10이 $7.84\%$, SMI 5가 $1.31\%$ 였다. 5. 초경연령과 수완부 골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25430).

  • PDF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The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dex by SWAT Model and Drought Monitoring)

  • 황태하;김병식;김형수;서병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B호
    • /
    • pp.345-354
    • /
    • 2006
  •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지역의 경제에 타격을 주며, 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하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준다. 이와 같은 가뭄에 대비하고 가뭄을 관리하기 위해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해 가뭄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Palmer의 가뭄심도(PDSI)가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순환의 고려없이 기후적인 조건만을 이용하는 단점과 한계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기후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준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즉, SWAT 모형을 이용해 토양수(soil water, SW)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적용해 구한 토양수분지수와 PDSI를 비교 분석하였다. 즉, 소양강댐 지점의 일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SWAT모형을 보정하고 검정하여, 장기 일 토양수를 추정하고, SWAT모형을 통해 모의된 토양수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 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A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결정계수가 0.651로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고, GIS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향상된 해상도를 가지고 가뭄감시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는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해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