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8초

울릉분지 퇴적물, 공극수 및 공기층 가스의 지화학적 특징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ore water, and headspace gas in the Ulleung Basin)

  • 김지훈;박명호;류병재;이영주;진영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3-37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 울릉분지의 제4기 후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 공극수와 메탄의 특징 및 상호작용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코어퇴적물을 원소 분석한 결과 C/N 및 C/S 비(wt. %)는 퇴적물 내 유기물이 주로 해양조류 기원을 가지고, 일반적인 해양 또는 정체 환경에서 퇴적되어Tdam을 지시한다. 그러나 Rock-Eval 열분석 결과는 유기물 기원이 육상식물(Type III)이고, 열적 성숙단계가 미성숙단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원소분석과 열분석간의 상반된 결과는 유기물이 침강하는 동안 또는 퇴적 후 이루어진 강한 산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물 내 공극수의 황산염 농도가 퇴적물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감소하는 경향은 크게 두 가지 (적선성, concave down)로 나누어진다. 이는 모든 코어에서 황산엽 환원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직선선의 황산엽농도 구배는 무산소 메탄 산화작용(AMO)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황산염 농도의 수직적 구배를 이용하여 SMI(sulfate-methane interface) 심도를 계산하면, 남부울릉분지의 코어 (03GHP-01, 03GHP-02; <3.5mbsf)가 북부울릉분지 코어(01GHP-05, 01GHP-07, 03GHP-03, 03GHP-04, 03GHP-05; > 6mbsf)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위와 같은 SMI 심도차는 메탄의 상부 분산량과 밀접한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가스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delta}^{13}C)$ 분석값들은 -83.5%o에서 -69.5%o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이산화탄소 환원작용($CO)_2$ reduction)에 의한 생물 (biogenic) 기원임을 지시한다.

  • PDF

한국 아동의 측모두부 수평 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Children)

  • 김경호;최광철;이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1-265
    • /
    • 1999
  •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수평 기준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재현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수평 기준선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성인 환자와는 다르게 성장기 아동에서는 발육단계에 따라 수평 기준선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평 기준선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아동의 골성숙도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Sella-Nasion (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성장기 남녀 아동 540명을 대상으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MA(Skeletal Maturity Assessment)를 이용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SMI 1-4를 A군, SMI 5-7을 B군, SMI 8-11을 C군으로 분류하고,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결과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성숙도와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는 $8.27^{\circ}{\pm}2.31^{\circ}$, 여자는 $8.59^{\circ}{\pm}2.24^{\circ}$, 전체에서는 $8.42^{\circ}{\pm}2.28^{\circ}$였다. 3. FH 평면과 구개평면이 이루는 각은 골성숙도,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1.09^{\circ}{\pm}3.21^{\circ}$).

  • PDF

Identificat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i for breaking and bending types lodging resistance in rice,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Koshihikari and a strong culm variety, leaf star

  • Samadi, Ahmad Fahim;Yamamoto, Toshio;Ueda, Tadamasa;Adachi, Shunsuke;Hirasawa, Tadashi;Ookawa, Taiichir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93-93
    • /
    • 2017
  • To develop rice cultivars with increased biomass and grain yield, superior lodging resistance is an essential trait. The new breeding approach can be adopted for the improvement of stem lodging resistance by enhancing culm strength. The resistance to breaking type lodging is attributed to bending moment of basal culm (M), which is composed of the section modulus (SM) and bending stress (BS). The resistance to the bending type lodging is attributed to flexural rigidity (FR) of stem, which is composed of the secondary moment of inertia (SMI) and Young's modulus (YM). Starch and cell wall components such as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physical strength of culm, and thus affect lodging. Leaf Star has a superior lodging resistance due to its thick and stiff culm because of its high M and FR compared with Koshihikari. Furthermore, Leaf Star contains high densities o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ow lignin density in culm compared with Koshihikari. In this study, we performed QTL analysis for these traits associated with culm strength, using 94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F_8$),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Leaf Star and Koshihikari. The SM in the RILs showed a continuous distribution. QTLs for SM were detected on chrs.2, 3 and 10. Leaf Star alleles increased SM on chrs. 2 and 3, but Koshihikari allele increased on chr.10. These QTLs overlapped with those QTLs identified using backcrossed inbred line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hugoku 117 and Koshihikari, the parents of Leaf Star. The FR in Leaf Star was higher than that in Koshihikari due to the larger SMI and YM. 3 QTLs for SMI were detected on chrs.2, 3 and 10. Leaf Star alleles increased SMI on chrs.2 and 3, and Koshihikari alleles increased on chr.10. One QTL on chr.3 and two QTLs on chr.5 for hollocelulose content were detected with Leaf Star alleles contribution. Moreover, two QTLs were detected for hemicellulose density on chrs.3 and 5. Leaf Star allele increased hemicellulose density on chr.5, and Koshihikari allele increased on chr.3. Furthermore, two QTLs for cellulose density were detected on chr.5, and one QTL on chr.2. For starch content, one QTL on chr.3 and two QTLs on chr.5 with Leaf Star alleles contribution were detected. TULK-6 carrying a chromosome segment of Leaf Star on chr.5 in the Koshihikari genetic background showed higher densities of starch and hemicellulose than those in Koshihikar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tected QTLs for culm strength could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of lodging resistance in rice by marker-assisted selection.

  • PDF

한국 어린이의 골 성숙도와 치아 석회화 단계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ental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 김성진;송제선;김익환;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5-26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의 골 성숙 단계와 여러 치아들의 석회화 단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 6 - 14세의 남아 359명, 여아 384명의 수완부 방사선사진,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하악 좌측의 7개 영구치의 치아 석회화 단계는 Demirjian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골 성숙도 단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완부 방사선 사진은 Fishman이 제시한 skeletal maturity indicators(SMI)에 따라 평가되었고,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은 Baccetti가 제시한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CVM) 방법에 따라 평가되었다. Spearman의 순위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아 석회화 단계와 골 성숙도 간에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 0.40-0.84, p < 0.001). 7개의 영구치 중에서 하악 제2대구치가 골 성숙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중절치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녀 모두에서 하악 견치의 stage G와 하악 제2대구치의 stage F가 SMI 6단계와 CS 3단계에서 나타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치아 성숙도와 골 성숙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의 치아 성숙도 평가는 성장기 아동의 골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veloping on the Soil Moisture Index(SMI) for forecast by using AQUA AMSR-E

  • Park Seung-Hwan;Park Jong-Seo;Park Jeong-Hyun;Kim Kum-Lan;Kim Byung-S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415-418
    • /
    • 2004
  • The Studying is on developing precision of the moisture information on a soil. We used the data of AQUA AMSR-E which were obtained by Direct Receiving System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lthough we know the Soil Moisture Information(SMI) helps the numerical weather model to produce the realistic results, we couldn't do it for the problem on a spatial resolution of the data is too low to apply. So we've tried to develop in a spatial resolution by using the AMSR-E data with a Digital Elevation Model(DEM) and Normal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from AQUA MODIS and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information in statics. The result is more precise than the simple algorithm by a polarization ratio, and we could get the better result to use in forecast practically, if it's apply to get more detail in the vegetation temperature.

  • PDF

PFGE를 이용한 경북지역에서 분리된 Brucella abortus의 유전형별 (Genotyping of Brucella abortus isolated in Gyeongbuk province by PFGE)

  • 조민희;김성국;김영환;김순태;엄현정;장영술;고영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7-264
    • /
    • 2009
  • Subtyping of Brucella abortus isolates is epidemiologically important for monitoring of bovine brucellosis outbreaks.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is considered as a gold standard of molecular typing methods to study the DNA polymorphisms of bacteria. In this study, we analyzed using PFGE the DNA fragment profiles of B. abortus isolated in Gyeongbuk province from 1998 to 2006. The genomic DNA was digested with the restriction endonuclease Xba I, Xho I and Smi I followed gel electrophoresis. No distinguishable patterns of the genomic DNA digested with Xba I and Xho I were observed among the field isolates of B. abortus tested in this study. But Smi I restriction enzyme resulted in two PFGE patterns consisting of 13-15 bands that ranged in size from 33 to 668bp by standard marker. The cluster analysis by DNA fingerprinting software showed 93.75% similarity between two PFGE patterns. No different PFGE patterns were recognized among the isolates originated from various years, regions and cow breeds.

테인트드로이드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 연구 (A Study on SMiShing Detection Technique using TaintDroid)

  • 조지호;신지용;이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테인트드로이드(TaintDroid)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URL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수신 하였을 때 테인트드로이드 서버로 URL을 전송하여 테인트드로이드 서버의 가상디바이스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악성행위를 탐지한다. 실제 스마트폰에서 스미싱으로 의심되어 설치하지 못하였던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디바이스를 통하여 테스트하고 악성행위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테인트드로이드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은 새로운 형태의 스미싱 문자메시지의 탐지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분석결과를 통해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의 확인이 가능하다.

비정상 간섭잡음 제거를 위한 광대역 MAFF-RLS 마이크로폰 GSC (MAFF-RLS Broadband Microphone GSC for Non-Stationary Interference Cancellation)

  • 이석진;임준석;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0-525
    • /
    • 2009
  • 적응 빔형성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간섭신호가 비교적 정상상태인 것을 가정하여 시간-평균을 취하거나 비교적 간단한 최소자승법 (Least Mean Squares)등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으나, 비정상 (Non-stationary) 상태의 간섭잡음의 제거 성능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정상 간섭 신호의 제거를 위해 MAFF-RLS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이를 수정, 적용한 광대역 GSC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기존의 SMI, RLS 방법을 이용한 빔형성기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Age-Related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in Young Korean Men

  • Jongseok Hwang;Jeong-Kun Lee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7-7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linic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age-related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LSMM) among young Korean male adult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955 men aged between 20-29 years. They underwent screening to assess the ALSMM. The study examined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skeletal muscle mass index (SMI), lifestyle-related habits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statu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BP/DBP),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s, as well as the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TC) levels. RESULTS: The variables that display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LSMM were height, weight, BMI, WC, SMI, FBG, TC, DBP, and alcohol consumption (p < .05). Serum triglyceride levels, SBP, and smoking status did not exhibi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5).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the contribut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LSMM in community-dwelling young adult males. These findings would enrich the current body of literature on ALSMM and provide potenti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in young Korean males.

동아시아 이상기후 감시 서비스를 위한 지면모형 기반 준실시간 토양수분지수평가 (Evaluation of near-realtime weekly root-zone Soil Moisture Index (SMI) for the extreme climate monitoring web-service across East Asia)

  • 전종안;이은정;김대하;김선태;이우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409-416
    • /
    • 2020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상기후 감시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Noah 3.3 지면모형으로 추정한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하여 준실시간 주간 근역층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를 산정하는데 있다. 동아시아영역(15-60°N, 70-150°E)에 대해 Noah 3.3 지면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양쯔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해당 유역에서 증발산과 현열을 FluxNet, FluxCom,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ERA-5, Generaliz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GCR)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양쯔강 유역에서 Noah 지면모형으로 추정한 증발산은 FluxNet, FluxCom, GLEAM, ERA-5, GCR에 의한 증발산과 0.96이상의 매우 높은 결정계수의 값을 보였으며, 현열의 경우에는 FluxNet 현열 자료와 0.71의 결정계수로 증발산 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주간 근역층 SMI 시계열로부터 2019년 7월부터 10월까지 중국의 동부지역에서 극한가뭄(Extreme drought)이 확장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월별 극한가뭄 발생일수의 트렌드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봄철에는 극한가뭄이 지난 20년 동안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가을철에는 한반도 전역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가 가뭄의 시·공간적 지속성 및 확장성과 최근 가뭄발생의 경향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하여, 가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대책 마련에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