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device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정용 영유아 스마트 인큐베이터 개발 (The Development of Infant Smart Incubator for Home use)

  • 엄상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25-1330
    • /
    • 2020
  • 의학적으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신생아는 인큐베이터에 들어가게 된다. 인큐베이터는 이러한 유아들을 잘 돌볼 수 있도록 갖춰져 있지만 반드시 병원에 가야하고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큐베이터의 편의적 그리고 비용적 측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인큐베이터를 제안한다. 개발된 인큐베이터는 메인 제어 장치로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큐베이터 내의 환경은 DHT22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P5511 소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소리를 측정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및 습도 데이터가 기준 값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난방 패드를 가동하거나 팬을 돌려 공기 순환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인큐베이터 내의 측정값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모니터링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앱 인벤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하였다. 아기가 우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아기의 상태를 부모가 즉시 알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인큐베이터는 가정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유아를 돌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웹 기반 IoT 센서 수집 정보의 결함 허용 3D 시각화 (Web based Fault Tolerance 3D Visualization of IoT Sensor Information)

  • 민경주;진병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46-152
    • /
    • 2022
  • 라즈베리 파이나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기울기, 압력 센서 등에서 수집한 정보는 자동 항온, 항습 시스템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 농축산업에 활용하여 원격에서 스마트폰만으로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농축산업 종사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온도, 습도는 꺾은선 그래프 등으로 표현하여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은 최근 코로나19의 발열 검사를 위해 적외선 기기를 이용해 직관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라즈베리 파이와 DHT11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직관적인 시각화를 통해 공간상의 온도변화를 예측하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만들었고, 일부 센서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다.

Agreement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ith Those Using Actigraph Devices, Focusing on th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State

  • Seo, Kyoungsan;Jung, Mi Ok;Suh, Minhee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4호
    • /
    • pp.287-29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of physical activity (PA) between data obtained from wearable Actigraph devices an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nd PA.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physical measurements and surveys. PA was measured through both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the Actigraph GT3X+ devic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s well as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scores,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Bland-Altman plot method were employed. Results: Data from 36 healthy adults were analyzed. The overall levels of PA measured using the IPAQ and the Actigraph were 1,891.69 MET min/week and 669.96 MET/day, respectively. Total levels of PA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ologies. However, the moderate-intensity PA resulting from the IPAQ scor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ght-intensity PA recorded by the Actigraph. The Bland-Altman p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levels of PA as measured by the two different methods did not match. In addition, PA measured using the Actigraph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PA measured using the IPAQ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iv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the wearable Actigraph do not correlate or match in healthy adults.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 intensity through the Actigraph, or other wearable devices equipped with smartphone apps.

XGboost 기반의 WiFi 신호를 이용한 실내 측위 기법 (Indoor positioning method using WiFi signal based on XGboost)

  • 황치곤;윤창표;김대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70-75
    • /
    • 2022
  •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하다. 실내 측위를 위한 데이터는 스마트 폰의 앱을 통해 WiFi 장치로부터 RSSI 값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데이터는 기계학습의 원시 데이터가 된다. 특징 데이터는 측정된 RSSI 값이고, 레이블은 측정한 위치에 대한 공간의 이름으로 한다. 이를 위한 기계학습 기법은 분류에 효율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WiFi 신호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예측하는 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앙상블은 하나의 모델보다 다양한 모델을 통하여 더 정확한 예측값을 구하는 기법으로, bagging과 boosting이 있다. 이 중 Boosting은 샘플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델링한 결과를 통해 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다. 본 연구는 위 기법 중 XGboost를 이용하고, 다른 앙상블 기법과 이용한 수행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을 평가한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이동형 와이파이 확장기 구현 (Implementation of portable WiFi extender using Raspberry Pi)

  • 정복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63-68
    • /
    • 2022
  • 학교와 회사 건물의 복도 천장에는 보통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 엑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있다. 철문과 같이 신호 감쇠가 큰 재료로 구성된 출입문을 통해 와이파이 신호가 들어오는 건물 구조일 경우 문을 닫으면 인터넷 연결이 자주 끊기거나 실패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와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이동 가능한 와이파이 확장기를 구현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와이파이 확장기는 전원 플러그가 위치한 곳에만 설치해야 하는 장소의 제약이 있고 스마트폰 핫스팟 기능에 기반한 와이파이 확장은 일부 고급형 기종에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제안 시스템은 출입문 안쪽에서 와이파이 수신 신호가 가장 좋은 위치에서 설치 가능하므로 원신호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출입문이 닫힌 환경에서 사무실내 전파 음영을 해소하고, 웹브라우징과 720p 해상도의 동영상 스트리밍 시청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분산 ID 기반 모바일 학생증 구현과 활용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f Decentralized Identity-Based Mobile Student ID)

  • 조승현;강민정;강지윤;이지은;이경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115-112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이름과 학번, 학과, 안면 사진 등이 포함된 기존의 플라스틱 카드형 학생증에서 자기 주권 신원(Self Sovereignty Identity, SSI)을 보장하기 위한 모바일 학생증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모바일 학생증은 플라스틱 학생증을 분실하여 신원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자 학생증으로 편의성에 특화된 블록체인의 분산 ID(Decentralized Identity, DID) 기반으로 개발된 FRANCHISE 모델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개인에 의한 개인정보 제어로 안전성을 보장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편리하게 학생의 신분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교내 행사 참여, 온라인 인증, 다른 학교 간의 교류 등 다양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도서관 이용자는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How Do Library Visitors Use Spaces in a Public Library?)

  • 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5-2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내부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여 도서관 내부 공간에서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와이파이 수신기를 설치하였다.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률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도서관 공간 중에서 한 공간만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전체 중에서 27.17%로 나타났고 이들 중에서 28.69%는 1층 로비에서 도서반납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도서반납 편의성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서가 공간의 연계성이 낮다는 점에서 도서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다.

어깨 너머 공격을 차단하고 사용 편의성이 가능한 개선된 그룹 키패드 설계 (Design of an Enhanced Group Keypad to Prevent Shoulder-Surfing Attacks and Enable User Convenience)

  • 문형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41-647
    • /
    • 2023
  • 핀테크 환경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금융거래가 안전하게 거래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의 소유자에 대한 인증이 필수적이다. 스마트 폰을 이용한 인증기법은 패스워드 인증, 생체인증, SMS 인증 등이 있다. 사용자 인증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인증이 보편적이고 편리성이 높기 때문에 스마트 폰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손쉬운 인증이지만 키로깅 공격이나 엿보기 등의 공격에 취약점이 존재한다. 스마트 폰에서 패스워드 입력에서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 키패드가 제안되고 있다. 터치하는 위치로 입력하는 문자를 유추하는 공격에 강인한 그룹 키패드가 제안되었지만 사용 편리성 측면에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그룹 키패드에서 그룹핑된 키패드를 측면에 배치하고, 드래그를 활용하여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엿보기나 레코딩 공격에 강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기법은 레코딩 공격을 차단하기 위해 마지막 문자확인 대신 키패드의 새로운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고, 터치하는 방법에서도 드래그를 사용하였다. 국내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배치 방법을 제시하여 패스워드 입력에서 기존 방식보다 입력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시하였다.

시각적으로 자각되지 않는 단서자극이 변화 탐지 수행에 미치는 효과: 연속 플래시 억제를 사용하여 (The Effect of Invisible Cue on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using Continuous Flash Suppression)

  • 박형규;변신철;곽호완
    • 인지과학
    • /
    • 제27권1호
    • /
    • pp.1-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변화 탐지 수행에서 주의와 의식이 미치는 각각의 효과 크기에 대해 관찰하였다. 주의와 의식이 결합된 단서조건과 의식적 접근이 차단된 주의 단서가 제시된 조건에서 과제 수행결과를 비교하여 의식의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으며, 의식적 접근이 차단된 주의 단서조건과 주의 단서가 없는 통제 조건에서 과제 수행결과를 비교하여 주의의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변화 탐지과제와 연속 플래시 억제(continuous flash suppression, CFS) 현상을 사용하였다. CFS는 한 쪽 눈에 빠르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몬드리안 패턴이 제시되었을 때 관찰자의 다른 쪽 눈에 제시된 정적 시각 자극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CFS 현상을 촉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거울입체경 대신 스마트폰과 구글 카드보드를 사용하였다. 실험 1-1에서는 새로운 실험 기기로 구현한 CFS 현상이 시각자극의 인식을 억제하는데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1-2에서는 강제선택과제를 수행할 때, 새로운 실험 기기를 통해 제시된 비의식적 자극이 단서로 충분히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비의식적 자극이 단서로서 주의를 끄는데 더욱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1-1과 1-2를 통해서 스마트폰과 구글 카드보드를 사용하여 촉발한 CFS 현상을 후속연구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 2에서는 변화 탐지과제를 수행할 때, 제시되는 단서의 의식 수준을 조작하여 과제 수행에 의식과 주의가 미치는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독립변인을 제외한 나머지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해당 요인이 전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리하였다. 실험결과, 단서자극을 의식하는 수준에 따라 변화 탐지수행의 평균 정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의식적 단서는 의식적 단서가 제시되는 조건이나 단서가 제시되지 않는 조건과 다른 변화 탐지 패턴을 보임으로써 변화 탐지와 같은 인지적 처리과정에서 주의와 의식이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처리과정에서 의식과 주의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IoT 기반 Apache Spark 분석기법을 이용한 과수 수확 불량 영역 모니터링 아키텍처 모델 (Using IoT and Apache Spark Analysis Technique to Monitoring Architecture Model for Fruit Harvest Region)

  • 오정원;김행곤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58-64
    • /
    • 2017
  • 현대 사회는 급속한 세계인구의 증가, 농촌 인구의 고령화, 산업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 지역의 감소, 농촌 지역의 수익 구조의 불량 등으로 농부들의 탈농촌화 등으로 먹거리 문제 해결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농촌의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팜(Smart Farm)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팜 연구는 주로 온실의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온실의 조도, 습도, 토양 등이 불량해지면 재배 환경인자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자동으로 가동시켜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어 연구되고 있다. 즉, 실내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에 중점을 두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외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환경에 적용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과수원에서 자라는 과수의 수확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최상의 품질로 과일이 수확되게 지원하고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불량 지역의 수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집중 관리할 수 있은 기능을 제공하는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수확에 관련된 인자는 과일 색상 정보와 과일 무게 정보를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확 상관인자 데이터를 Apache Spark 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제안한다. Apache Spark 엔진은 대용량 배치성 데이터 분석 뿐만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 분석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PC User 와 Smart Phone User를 지원한다. 센싱 데이터 수신 장치는 센싱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서버로 전송하는 단순한 처리만 필요하므로 Arduino를 적용하였다. 과일의 수확시기를 조절하여 좋은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려면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판단하여 불량지역을 집중 관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해서 과일 수확의 불량지역을 판단하는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