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factory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 및 스마트 팩토리 성과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the Quality Factor of Smart Factory on the Intention to accept Advance Smart Factor: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Smart Factory Performance)

  • 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67-38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팩토리 도입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에 대해 지각된 가치 및 성과를 통하여 현 수준보다 개선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 및 확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는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는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및 서비스 품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가치는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는 모두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은 지각된 가치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지각된 가치,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는 하나의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공장 정책 제언 (Policy Suggestions on the Smart Factor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om Smart Factory Suppliers)

  • 윤영호;이진;이은빈;문보명;서지형;이정철;장태우;성시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20
  • Purpose: This paper treats the survey result from the suppliers of smart factor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provided sugges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 of the smart factory. Methods: For providing political suggestions, the survey of smart factory is conducted.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by the correlation and association methods based on the stratification. Results: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for extracting policy-level suggestions. Multiple policy-level suggestions are identified and presented in the conclusion. Conclusion: Six policy-level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uppliers of smart factory.

스마트팩토리 도입 기업의 보안강화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curity Enhancement of Smart Factory)

  • 배춘석;고승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675-684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의 물결 아래 전 세계 선진 국가들은 스마트팩토리를 핵심기반으로 인식하고 관련 정책 수립 및 산업 육성을 통해 국가의 산업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 관련 부처들도 제조 혁신 3.0 전략을 수립하여 2025년까지 3만개를 목표로 스마트팩토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이론적인 취약점 연구들에서는 부족했던 스마트팩토리 보안 관련 기업 실무 사례를 분석하고 동종업계 적용방안을 제시하여 스마트팩토리의 중요정보 보호 및 안정적인 운영이 되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Analyzing Technological Trends of Smart Factory using Topic Modeling

  • Hussain, Adnan;Kim, Chulhyun;Battsengel, Ganchimeg;Jeon, Jeonghw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3호
    • /
    • pp.380-403
    • /
    • 2021
  • Recently, smart factories have gained significant importance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ise of global industrial competition. Therefore, the industries' survival to meet the global market trends requires accurate technological planning. Although, different works are available to investigate forecasting techn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mart factory. However, little significant work is available yet on the analysis of technological trends concerning the smart factory, which is the core focus herein. This work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trends of the smart factory, followed by a detailed investigation of recent research hotspots/frontiers in the field. A well-known topic modeling technique, namely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as employed for this study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ical trends were further strengthened with the in-depth analysis of a smart factory-based case study. The findings produced the technological trends which possess significant potential in determining the technological strategie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work may be helpful for researchers and enterprises in forecasting and planning future technological evolution.

Structural Framework to Measure Smart Technology Capability for Smart Factory of Manufacturing Fields

  • CHUI, YOUNG YOON
    • 한국경영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5-177
    • /
    • 2018
  • Smart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all kinds of industries. Manufacturing industry has built its smart technology environment appropriate for its manufacturing fields in order to strengthen its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The advance of smart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to efficiently produce products, and response customer's demands and services in a global industrial environment. The smart technology capability of manufacturing fields is very crucial for the innovative production and efficient operation activities, and for efficient advancement of the manufacturing performance. We have necessitated a scientific and objective method that can gauge a smart technology ability in order to manage and strengthen the smart technology ability of manufacturing fields.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can rationally gauge the smart technology capability of manufacturing fields for effectively managing and advancing their smart technology capabilities. In this research, we especially develop a structural framework that can gauge the smart technology capability for a smart factory of manufacturing fields, with verifying by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presents a 13-item framework that can measure the smart technology capability for a smart factory of manufacturing fields in a smart technology perspective.

스마트공장 표준 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 조사 (The Study on Perception of Adop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Smart Factory)

  • 김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53-158
    • /
    • 2017
  • 최근에 제조기업들간에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공장의 성공적 확산을 위하여 기업들이 자발적, 경쟁적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표준 인증제 수립을 위한 기본 모델을 제시하는 민관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인증 운영체계의 정비는 물론 스마트공장에 대한 사회 전반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도 도입에 대한 심도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아직까지 국내에 스마트공장 인증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증제도 도입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 결과, 과거 공장관리에서 전사적 경영으로 제조프로세스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었고, 조직의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제조프로세스관리체계와 관련 경영활동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인증제도는 협의해야 할 과제가 많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인프라 부실과 인증제도 추진시 인증제도의 부작용 등이 인증제도 도입의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증제도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하여는 인증 조직체계의 정비, 관련법 제 개정, 중소기업청 주도의 시범사업 운영, 전문인력 양성, 인센티브 정책 마련이 확립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6-도메인 스마트팩토리 성숙도 평가 모델 기반 도입기업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 of companies introducing smart factory based on 6-domain smart factory maturity assessment model)

  • 정도현;안정현;최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9-227
    • /
    • 2020
  • 스마트팩토리는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하나이다. 스마트팩토리에서 도입정도와 성숙도 수준 평가는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과 새로운 성숙도 평가 모델 기반 군집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에 응한 스마트팩토리 도입 기업의 약 68% 기업들이 기초수준에 해당하였고, 21% 정도만이 중간1 수준이었다. 대다수 중소기업들이 중간1로 진입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 자금부족을 꼽았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별 패턴은 유사하지만 정도의 차이에 따라 '상, 중, 하' 3개로 군집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6 도메인 중 프로세스가 상대적으로 성숙도가 가장 높았고, 데이터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를 통해 6개 도메인 기반 새로운 스마트팩토리 성숙도 평가 모델을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성숙도 수준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함을 보였다.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위한 IoT 장치 간 연계 알고리즘 (Linking Algorithm between IoT devices for smart factory environment of SMEs)

  • 정윤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33-238
    • /
    • 2018
  • 중소기업 및 영세기업들은 생산관리 뿐만 아니라 설비, 안전, 에너지 관리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운영 관리를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투자 여력이 없어 중소기업의 경영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공장 장비를 부분적으로 연동하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단계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전체 제조 공정 중 제품 정보와 출시 정보를 IoT 장치에 이용하여 수집 보관 관리 처리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안 알고리즘은 장치간 인증 정보를 중앙의 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함으로써 IoT 장치 수에 상관없이 IoT간 연계를 자동화하는 특징이 있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 알고리즘은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구축하기 전의 공장 프로세스와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13.7% 향상된 결과를 얻었고, 공장 내 제품 처리 시간도 19.8%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또한, 공정 프로세스에 투입된 인력 투입 비용도 37.1% 감소된 결과를 얻었다.

스마트 팩토리 디바이스의 보안 취약성 분석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Devices in Smart Factory)

  • 이용주;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3-506
    • /
    • 2018
  • 4차 산업의 혁명과 함께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에 스마트 팩토리의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 위협이 늘고 있어, 보안 취약성 문제로 인한 기업 데이터유출 문제가 우려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팩토리에서 필요한 보안 요구사항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중에서도 디바이스에 관련된 보안 취약점 등을 분석하고 최근 새로이 발생하여 급증하는 공격 유형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The Success of Smart Factory Adoption: Firm's Dynamic Capability Perspective

  • Kim, Gyeung-min;Nam, Mi-Jeo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45-57
    • /
    • 2021
  •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success of smart factory adoption is influenced by firm's dynamic capability. This research describes the underlying processes on how organizations manipulate or adapt organizational elements harmoniously to implement smart factory successfully. Although understanding of these processes is essential to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th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literature contains very few examples of this type. The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equence: first, the concept of dynamic capability is presented followed by research methodology; and then the analyses of case data are presented followed by discussions and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firms with higher dynamic capability adopted smart factory more easily through alignment of various organization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