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learning system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e-learning 플랫폼의 구축 (Construction on e-learning Platform of Smart Phone Environment)

  • 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25-132
    • /
    • 2012
  • 최근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이 구축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e-learning을 수행에 관한 전반적인 추세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스템은 스마트 포털, 학습관리시스템(LMS), 그리고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LCMS)으로 구성된 e-learning 플랫폼으로 구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e-learning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현하였다. 학습관리시스템은 자격취득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였다.

스마트 학습 공간 구성을 위한 Timed Button 기반의 다중스크린 동기화 기법 (A Study on Multi-Screen synchronization techniques based on Timed Button configuration for smart learning space)

  • 윤용익;조윤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91-99
    • /
    • 2013
  •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발과 발달,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편화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 개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하게 되었다. 기존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하나의 스크린을 분할시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PC환경과 다르게 스마트 디바이스가 발달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공간은 하나의 스크린 환경에서 다중스크린 환경으로 변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스마트 학습공간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융합하여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에 다중스크린 관련연구 분야와 다중스크린 환경에 합당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분석 설계하여 Timed Button이라는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동기화 기법을 제시한다.

하이브리드 웹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Web-based Smart Learning Systems)

  • 김종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370-3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운용 가능한 표준화와 고도화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연구에서는 스마트 러닝 시스템 기능 정의를 바탕으로 표준 API 사양서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의 데이터를 API 연동 규격에 맞게 ASP 페이지를 구현한다. 그리고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과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은 표준 API 방식 연동을 통한 Json/XML 형태의 데이터를 Https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호 연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별도의 기반 시스템 및 지원 시스템 없이 즉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의 수정 및 변화 없이 모바일 기반으로 학습 서비스가 가능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Legacy of Smart Device, Social Network and Ubiquitous E-class System

  • Abduljalil, Sami;Kang, Dae-K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1-5
    • /
    • 2011
  • Everyday, technology is evolved in many different disciplines. Computer and smart devices revolution take part of the evolved technology that continuously promising new features. Moreover, social networks services recently become widely popular, which most people in the world become a social-network-fond. In addition to the revolution of the evolved technology and social networks services, ubiquitousness is taking significant part in our daily lives. Although, there are many e-learning systems already existed, which use Internet technology along with a Web technology to provide education in various ways, in despite of that, there is no such existing system exploits the usefulness of smart devices along with the legacy of the online social networks besides the power of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Therefore, we propose a smart device application, which fills the gap that has been missing in the recent contemporary era. It is an application that runs on smart devices particularly Smartphone devices; we call our system “Smart Device based Social E-learning System(SDES)”. We have preliminary implemented our system on Android OS. In this paper, we intentionally propose the system in order to ease the way people learn, to provide interactive accessibility in our system, and to utilize the advanced technology more wisely.

스마트카드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E-Learning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E-Learning Model using Smart Card System)

  • 윤정한;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98-40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이용과 함께, 타 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교통, 유통, 학생증 기반을 제공하는 다기능 스마트 E-Learning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제휴를 제공하고, 미래교육인프라를 활용함과 동시에 첨단 IT 환경인 스마트카드를 적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비쿼터스 E-Learning 문화를 체험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지향적 첨단 E-Learning 생활을 유도함과 동시에 각종 시설물 이용 및 다양한 생활에 이용되어 더 나은 Smart E-Learning을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실적 및 통계자료의 활용을 통해 현황 파악의 신속성, 정확성을 기하여 21 세기 E-Leaning로서 경쟁력 강화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카드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E-Learning 모델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러닝 시스템의 보안성 개선을 위한 고장 트리 분석과 고장 유형 영향 및 치명도 분석 (Fault Tree Analysis and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for Security Improvement of Smart Learning System)

  • 천회영;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793-1802
    • /
    • 2017
  • In the recent years, IT and Network Technology has rapidly advanced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the usage of the smart learning service is increasing. Smart learning is extended from e-learning which is limited concept of space and place. This system can be easily exposed to the various security threats due to characteristic of wireless service syste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methods of smart learning system security by use of faults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FTA(Fault Tree Analysis) and FMECA(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utilizing the consolidated analysis method which maximized advantage and minimized disadvantage of each technique.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시스템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Smart-Learning System)

  • 이재영;김영태;이석한;김태은;최종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2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러닝(e-learning)에서 발전한 모바일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바일의 하드웨어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증강현실 관련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을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현실 세계에서 얻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엔터테인먼트 사업, 마케팅, 위치 기반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한 활용이 많은데, 앞으로 증강현실의 응용분야 중에서 가장 유망한 분야 중의 하나가 교육이다. 사용자에게 생동감 있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과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에 장착된 GPS, 디지털 나침반, 기울기 센서로 구현하는 위치 기반 기술에서 벗어나 카메라 입력을 통한 이미지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Net Framework를 이용한 영어 이러닝 시스템 (English E-Learning System Based on .NET Framework)

  • 전수빈;정인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57-372
    • /
    • 2012
  • 대부분의 이러닝 시스템은 복잡한 가입 절차를 거쳐야 하고 교육과정 또한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는 사용자가 학습에 대한 관심을 쉽게 잃게 만들 수 있고 학습 능률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이러닝 과정은 유아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아 보호자 없이는 학습을 원활이 할 수 없는 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이러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나이가 어리다는 것을 참고하여 사용자 측면의 환경을 최대한 쉽고 흥미롭게 구성 한다. 본 시스템은 3가지의 클래스로 구성되고 사용자들은 능력에 맞게 미리 정해진 코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 클래스별로 코스를 진행하게 된다.

안드로이드에서 e-learning 구축 (Construction of e-learning in Android)

  • 신성윤;이현창;김희애;이양원;표성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6-1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e-learning을 수행에 관한 전반적인 추세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스템은 스마트폰 포털, 학습관리시스템(LMS), 그리고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LCMS)으로 구성된 e-learning 플랫폼으로 구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e-learning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현하였다.

  • PDF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웹 콘텐츠 적응을 위한 부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for Adaptation of Web Cont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서진호;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5-333
    • /
    • 2016
  •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has brought the conversion of closed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into open flexible smart learning contents consisting of learner-centered modul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use of smart devices from the uniformed and passive classroo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t has been demanded an open, personalized and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wide supply of various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status of the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web contents for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by use of smart devices. And we propose a method how to block web contents, to extract them, and adapt personalized segments of web contents by adaptive algorithm into smart learning devices. We extract blocks from the web contents based on the smart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learners from existing web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learners environment. After specifying a block priority from the extracted web contents by the adaptive segment algorithm,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to the screen to fit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