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uster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5초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버추얼 클러스터(Virtual Cluster)형 협업 플랫폼 개발 (Collaboration Platform Development of Virtual Cluster Type for Vitalizing Smart Work)

  • 이각범;오성은;황지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3-170
    • /
    • 2013
  • As global competition of enterprises heats up recently, there is a growing the need to introduce business knowledge platform. Many enterprises work with other partners in a variety of situations and collaboration has emerged as new competitiveness of them. Collaboratio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members, and besides it has an important bearing on innovation, resul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enterprise. Lots of businesses, locally and abroad, extend the environment of collaboration and try to share business contents efficiently. In addition, they look into ways of invigorating collaboration by providing community tools.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pushing smart work to respond effectively to this paradigm change. Smart work provides many types of collaboration and raises the productivity. Various infrastructures should be constructed for activating smart work. Most of all, core technology is to be developed. Virtual Cluster is the space of collaboration corresponding to change in business paradigm. In overseas policy of Virtual Cluster has been already enforced as an alternative to geographical clus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platform through Virtual Cluster can contribute to business competitiveness by smart work.

운전자 중심의 스마트 클러스터 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Elder Driver Friendly Smart Cluster)

  • 김민;김관형;김현희;변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41-1448
    • /
    • 2013
  • 차량 전자 및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을 위해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는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만, 운전자의 집중력 감소와 운전 작업부하의 상승을 가져왔다. 운전자에게 필요한 이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중심의 클러스터(계기판)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기반 스마트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가 익숙하지 못한 운전자나 고령의 운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 환경을 개발하고자 한다.

Smart Specialisation Strategy and the Role of Strong Clusters: As a Development Leverage in Asia

  • Anastasopoulos, Despina;Brochler, Raimund;Kalentzis, Arion Louis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02-112
    • /
    • 2017
  • In this increasingly globalised and rapidly-changing world, the various challenges that can arise are also increasingly globalised and complex. These may range from economic, environmental, societal or even demographic challenges. Solutions should therefore be applicable world-wide, but they need to be properly adapted to the specifications and needs at the regional and country level. This implies that past models of centralised innovation can be progressively substituted by new approaches based on openness and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the various players involved. There are various models of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research, development and innovation creating scientific networks at different levels. This paper is designed in a way to present the concept of smart specialisation and clusters and how they are linked and contribute to the support of Smart Specialisation Strategy in the Asian countries. The following paragraphs describe how smart specialisation is applied and the importance of clusters in developing a S3 strategy. In addition, the status of cluster policies in Asia as well as the steps towards S3 are also presented. The status of cluster policies and their steps towards S3 policies in Asia are described. The approach of China to adopt S3 in their R&I policy is also presented. The scop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policy framework of cluster and S3 policies in the region of Asia and how they are applied. China has been further analysed as a case, since they are more active in applying such policies.

6-도메인 스마트팩토리 성숙도 평가 모델 기반 도입기업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 of companies introducing smart factory based on 6-domain smart factory maturity assessment model)

  • 정도현;안정현;최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9-227
    • /
    • 2020
  • 스마트팩토리는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하나이다. 스마트팩토리에서 도입정도와 성숙도 수준 평가는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과 새로운 성숙도 평가 모델 기반 군집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에 응한 스마트팩토리 도입 기업의 약 68% 기업들이 기초수준에 해당하였고, 21% 정도만이 중간1 수준이었다. 대다수 중소기업들이 중간1로 진입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 자금부족을 꼽았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별 패턴은 유사하지만 정도의 차이에 따라 '상, 중, 하' 3개로 군집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6 도메인 중 프로세스가 상대적으로 성숙도가 가장 높았고, 데이터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를 통해 6개 도메인 기반 새로운 스마트팩토리 성숙도 평가 모델을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성숙도 수준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함을 보였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도입 기업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introducing Smart Factory System Using Data Mining Technique)

  • 오정윤;최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79-189
    • /
    • 2018
  • 현재 스마트팩토리에 관한 연구는 구축 방안이나 설립 시 고려사항 등에 대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한 기업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기초단계를 적용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하였고, 만족도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와 나이브베이즈 분석을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만족도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의사결정나무와 나이브베이즈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산성 개선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Identity-Based Key Management Scheme for Smart Grid over Lattice

  • Wangke, Yu;Shuhua, W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호
    • /
    • pp.74-96
    • /
    • 2023
  • At present, the smart grid has become one of the indispensable infrastructures in people's lives. As a commonly use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is gradually, being widely used in smart grid systems due to its convenient deployment and wide range of serious challenges to security. For the insecurity of the schemes based on large integer factorization and discrete logarithm problem in the quantum environment, an identity-based key management scheme for smart grid over lattice is proposed. To assure the communication security, through constructing intra-cluster and inter-cluster multi-hop routing secure mechanism. The time parameter and identity information are introduced in the relying phase. Through using the symmetric cryptography algorithm to encrypt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Through outpu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probability, the protocol makes the private key of the certification body no 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oretic studies and figures show that the efficiency of keys can be authenticated, so the number of attacks, including masquerade, reply and message manipulation attacks can be resisted. The new scheme can not only increase the security, but also decrease the communication energy consumption.

Wireless sensor network design for large-scale infrastructures health monitoring with optimal information-lifespan tradeoff

  • Xiao-Han, Hao;Sin-Chi, Kuok;Ka-Veng, Yue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0권6호
    • /
    • pp.583-599
    • /
    • 2022
  • In this paper, a multi-objective wireless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optimization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information and lifespa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large-scale infrastructures. In particular, cluster-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ulti-type of sensors are considered. To optimize the lifetime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 cluster-based network optimization algorithm that optimizes the arrangement of cluster heads and base station is developed.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Bayesian inference, the uncertainty of the estimated parameters can be quantified. The coefficient of variance of the estimated parameters can be obtained, which is utilized as a holistic measure to evaluate the estimation accuracy of sensor configurations with multi-type of sensor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the optimal wireless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d estimation accuracy with the longest lifetime.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by designing the optimal wireless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of a cable-stayed bridge and a space truss.

추구편익에 따른 스마트폰 속성 중요도 (Importances of Smart Phone Attributes by Pursuit Benefits)

  • 김미애;주영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9-11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편익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소비자들에 대한 세분시장을 파악하고, 각 스마트폰 세분시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소비자들은 실용적 편익과 쾌락적 편익과 함께 네트워크 편익을 추구하고 있으며, 추구편익에 따라 스마트폰 소비자들을 모든 편익 추구 집단, 실용적 네트워크 편익 추구 집단, 쾌락적 네트워크 편익 추구 집단, 비네트워크 편익 추구 집단 등의 4가지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4가지 추구편익으로 세분화된 스마트폰 소비자 집단별로 중요시 하는 스마트폰 속성들은 단말기 가격, 단말기 브랜드, 단말기 반응속도, 어플리케이션 활용, 요금제, 무선인터넷 연결품질, 동일한 통신사 가입자 수 등의 7가지 스마트폰 주요 속성들 중에서도 다양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편익의 유형을 분석하여 이제까지 제품에 대한 추구편익의 유형으로 널리 인식되어 온 실용적 편익과 쾌락적 편익의 2가지 유형에 추가하여 네트워크 편익이 중요하게 구분되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 실용적 편익, 쾌락적 편익 및 네트워크 편익을 추구하는 수준에 따라 특징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스마트폰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 하여 각 세분 집단별 차별화 수단을 속성 차원에서 제시한 것 등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gional Industrial Policy by Linking Cluster Policy with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이종호;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99-811
    • /
    • 2016
  • 참여정부 이후에 명시적 및 암묵적 형태의 다양한 클러스터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산업집적지 경쟁력의 근본적 강화를 위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대안적인 지역산업정책 도구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 이론이 기존의 클러스터 정책과 어떠한 이론적 및 정책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 수립을 위해 어떠한 함의를 제공하는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은 지역특수성에 토대를 두고 산 학 관의 자발적 협력에 기초한 혁신의 합의공간(consensus space) 구축을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집적지의 관련 다각화 기반을 활용한 신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Improved Paired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in Vehicular Ad-Hoc Networks

  • Kim, Wu Wo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22-32
    • /
    • 2018
  • In VANET, frequent movement of nodes causes dynamic changes of the network topology. Therefore the routing protocol, which is stable to effectively respond the changes of the network topology, is required. Moreover, the existing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that is the hybrid approach, has routing delay due to the frequent re-electing of the cluster header. In addition, the routing table of CBRP has only one hop distant neighbor nodes. PCBRP (Paired CBRP), proposed in this paper, ties two clusters in one pair of clusters to make longer radius. Then the pair of the cluster headers manages and operates corresponding member nodes. In the current CBRP, when the cluster header leaves the cluster the delay, due to the re-electing a header, should be occurred. However, in PCBRP, another cluster header of the paired cluster takes the role instead of the left cluster header. This means that this method reduces the routing delay. Concurrently, PCBRP reduces the delay when routing nodes in the paired cluster internally. Therefore PCBRP shows improved total delay of the network and improved performance due to the reduced routing overhead.